일본 기둥이 흔들린다…"2050년 자동차 시장 반토막" [정영효의 일본산업 분석]

입력 2022-05-26 07:59   수정 2022-05-26 16:53


제조강국 일본의 기둥 자동차 산업이 흔들리고 있다. 100년 만의 대변혁기를 맞은 자동차 시장이 송두리째 바뀌면서 2050년 일본의 자동차 보유대수가 80%, 판매대수는 50% 급감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미즈호은행이 지난달 펴낸 '2050년의 일본 산업을 생각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430만대였던 일본의 신차 판매대수는 2050년 225만~275만대로 36~48% 줄어들 전망이다. 자가용과 택시를 포함한 일본의 승용차 보유대수는 2021년 6192만대에서 2050년 1126만~1372만대로 80% 감소할 전망이다.

공유차와 무인 자율주행셔틀(MaaS) 보급률이 도쿄, 오사카, 나고야 등 3대 도시권에서는 50%, 나머지 지역은 10%를 넘는다는 가정에서의 예상치다.
이동수요 급감..車 필요 없어진다

보고서는 일본의 디지털화 속도에 따라 자동차 시장의 규모 변화를 2가지 시나리오로 예상했다. 첫번째는 재택근무, 온라인 쇼핑, 온라인 진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온라인 서비스가 가능해지는 일반적인 디지털화의 시나리오다. 또 하나는 생산성 향상으로 출근일수가 줄어들고, 모든 교육기관이 일부 수업을 온라인으로 진행하며 배달음식의 보편화로 외식수요가 감소하는 등 디지털화가 가속화하는 시나리오다.

2050년 신차 판매대수는 일반적인 디지털화의 시나리오에서 225만대, 디지털화 가속화의 시나리오에서 275만대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승용차 보유대수 역시 일반 시나리오에서는 1372만대, 디지털화 가속화의 시나리오에서는 1126만대로 디지털화가 진전될 수록 승용차가 가파르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자동차 산업이 반토막나는 건 인구가 감소하고, 디지털화로 이동의 수요가 줄어들면서 자동차를 보유할 필요성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2050년 연간 여객수송량은 304억(디지털화 가속화)~472억(일반적인 디지털화)명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574억명이었던 2020년보다 적게는 18%, 많게는 47% 감소한다는 예상이다. 연간 여객수송량은 이미 코로나19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다. 코로나19 확산 직전인 652억명이었던 여객수송량이 2020년 574억명으로 12% 감소했다.

자동차 보유대수와 판매대수가 급감하는 대신 공유차와 무인 자율주행셔틀의 보급으로 자동차 1대가 매일 실어나르는 사람의 수는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2020년 2.54명이었던 1일 운송인원은 2050년 7명으로 3배 가까이 늘어날 전망이다. 3대 도시권은 12.7명, 나머지 지역은 4.8명으로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개인 소유의 자동차는 일상의 발 역할을 하는 소형 저가차량과 이동 수단 이상의 가치를 추구하는 고급차로 양분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일본 경제의 미래가 달린 산업

자동차 산업은 제조 강국 일본을 대표하는 산업이다. 일본자동차공업회에 따르면 2018년 기준 자동차 관련 시장에서 일하는 일본인은 542만 명이다. 전체 취업 인구의 8.2%를 차지한다.

세계 최대 자동차회사인 도요타자동차는 일본 최대 기업이다. 도요타자동차만 7만명, 도요타그룹 전체는 37만명을 고용하고 있다. 연결 자회사는 600곳 이상이다. 직간접적으로 거래 관계가 있는 협력사가 일본에만 4만 곳에 달한다.

일본 자동차 업계의 총생산 규모는 18조1000억엔(약 180조원)으로 일본 국내총생산(GDP)의 3.3%다. 제조 업종 가운데 최대 규모다. 수출 총액은 16조7000억 엔으로 일본 전체 수출의 20.5%를 담당한다. 역시 단일 수출 품목으로는 가장 큰 규모다.

반도체와 가전 등 한때 세계를 석권했던 일본이 주도권을 한국과 중국에 차례로 내준 이후 자동차 산업은 일본이 세계적인 경쟁력을 보유한 마지막 완제품으로 평가받는다. 일본 경제의 미래는 자동차 산업에 달렸다고 일본 재계가 평가하는 이유다.

비중이 큰 만큼 자동차 산업의 쇠퇴는 다른 산업에도 충격을 줄 수 밖에 없다. 일본의 자동차 생산과 가솔린 수요가 줄어드는 영향으로 2050년 일본의 조강 생산량과 석유제품 수요는 2020년보다 각각 40%와 70% 감소할 전망이다.

자동차산업이 생산하는 부가가치가 절반으로 준다고 가정할 경우 기계, 철강, 비철금속 산업의 부가가치와 고용에도 큰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2018년 일본 기계산업이 생산한 부가가치는 15조6540억엔, 고용인원은 133만명이었지만 자동차 산업의 쇠퇴에 따라 부가가치는 5조5030억엔(-35.2%), 종업원수는 47만명(-35.2%) 감소할 전망이다.

7조630억엔의 부가가치를 생산하고 29만명을 고용하던 철강산업의 부가가치는 5290억엔(-7.5%), 고용인원은 2만2000명(-7.5%)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제조업 전체로는 부가가치 6조9780억엔(-6.5%), 고용인원 60만명(-5.6%)의 손실이 발생할 전망이다.
車산업 현지생산·소비로 바뀐다
자동차 수출도 타격이 불가피하다. 전기차 전환과 주요국의 자체 공급망 확보 정책 등으로 인해 중장기적으로 자동차는 현지에서 생산해 현지에서 소비되는 구조로 재편될 전망이기 때문이다. 매출의 60%를 해외에서 올리는 일본 자동차 업체들의 대응이 시급한 이유다.

2021년 도요타는 해외에서 581만대를 생산했다. 일본에서는 276만대를 생산했고 62%인 172만대를 수출했다. 스즈키는 일본에서 84만대를 생산해 20만대를 수출했다. 닛산과 혼다도 일본에서 각각 45만대와 63만대를 생산해 23만대와 8만대를 해외에 팔았다.

자동차가 현지에서 생산해 현지에서 소비되는 구조로 전환하면 많게는 자국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수출하는 현재의 생산체계를 바꿔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기차와 공유경제의 시대가 본격화하면 자동차는 독자적인 업종에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표준화한 가전제품의 한 분야로 바뀐다는 분석이 많다. 개인들의 차량 소유의욕이 사라지면서 자동차는 '싸고 편리한 이동수단이거나 공간 및 체험의 가치를 누리는 오락수단'이 된다는 설명이다.

자동차의 모델수도 감소한다. 제작방식도 완성차 업체를 정점으로 부품회사가 피라미드식으로 늘어서는 수직 계열화에서 주요 기업이 핵심 부품을 나눠서 만드는 수평분업 체제로 바뀔 전망이다.

기존 완성차 업체는 자사 브랜드 차량을 생산하는 사업과 전기차를 위탁생산하는 사업으로 나뉠 것이라고 보고서는 내다봤다. 완성차 업체가 자사 브랜드 사업과 위탁생산사업을 나눠 독자적으로 운영하는 시나리오도 예상된다. 보고서는 "자동차의 생산과 판매, 사용방식이 바뀌면서 일본 자동차 업체들도 통합과 재편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도쿄=정영효 특파원 hugh@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