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카락보다 가늘게 새긴 '신라 금박 유물' 공개

입력 2022-06-16 17:50   수정 2022-10-10 16:26

한국이 제조강국이 된 것은 ‘손재주 유전자’ 덕분이 아닐까. 16일 문화재청이 공개한 8세기 신라 유물 ‘화조도(花鳥圖) 금박’은 신이 어느날 갑자기 우리 민족에게 손재주를 안겨준 게 아니란 것을 보여준다.

손가락 두 마디 정도 크기로 얇게 편 금박에 머리카락 굵기(0.08㎜)의 절반가량(0.05㎜) 선으로 새 두 마리와 꽃들이 조밀하게 새겨져 있어서다. 맨눈으로는 무늬를 제대로 알아볼 수조차 없고, 현미경으로 들여다봐야 식별이 가능하다. 국가무형문화재 조각장 김용운 보유자는 “현대 기술을 써도 재현하기 어려워 보인다”며 혀를 내둘렀다.

문화재청은 2016년 11월 경주의 신라시대 궁궐 터 유적인 동궁과 월지(안압지)에서 발견한 금박 유물을 이날 처음으로 일반에 선보였다. 발견 당시 유물은 둘로 찢어져 각각 팥알 크기로 구겨져 있었다. 어창선 국립경주박물관 학예연구관은 “처음 유물을 발견했을 때는 그림이 있는 줄도 몰랐다”며 “보존 처리를 통해 두 유물이 원래 하나였다는 사실을 알아냈고, 연구와 복원 작업을 거쳐 마침내 선보일 수 있게 됐다”고 했다.

금박 유물의 크기는 가로 3.6㎝, 세로 1.17㎝, 두께 0.04㎜에 불과하다. 순도 99.99%의 순금 0.3g이 사용됐다. 금속 가공 기술도 놀랍지만 그림 솜씨는 더욱 놀랍다. 선 두께는 머리카락보다 가느다란 0.05㎜. 철필(鐵筆·끝부분이 철로 된 펜)로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 문화재청은 “국내에서 발견된 유물 중 가장 세밀하다”고 했다.

그림은 새의 종류와 암수를 구분할 수 있을 정도로 정교하다. 문화재청은 “멧비둘기로 보이며 꼬리 깃털 등을 보면 왼쪽이 암컷, 오른쪽이 수컷일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새 주변에는 단화(團華·상상의 꽃) 문양이 빼곡하다. 이송란 덕성여대 교수는 “신라인들이 천상의 세계를 금박에 표현한 듯하다”고 분석했다. 유물은 장식용 혹은 신에게 봉헌하기 위해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17일부터 10월 31일까지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에서 열리는 ‘3㎝에 담긴 금빛 화조도’ 전시를 통해 실물을 감상할 수 있다.

성수영 기자 syoung@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