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개입도 안 먹혀…"원화가치, 인니 루피아·日 엔화보다 더 하락"

입력 2022-06-23 17:24   수정 2022-07-01 16:30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3년 만에 원·달러 환율 ‘1300원 시대’가 닥치면서 한국 경제에 비상이 걸렸다. 시장에선 원·달러 환율이 1350원을 넘볼 수 있다는 관측마저 나온다. 고물가 속 경기 하강 우려로 ‘S(스태그플레이션)’ 공포도 커진 가운데 고환율로 국내 증시의 외국인 이탈이 빨라질 가능성도 거론된다.
○개장하자마자 치솟은 환율
원·달러 환율은 23일 외환시장에서 거래가 시작된 지 약 10분 만에 1300원대로 치솟았다. 전날보다 1원70전 오른 1299원에 거래를 시작한 원·달러 환율은 오전 9시30분에는 1302원80전까지 급등했다. 이후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정부는 환율 상승에 따른 시장 불안 등 부정적 영향이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필요하면 시장 안정 노력을 하겠다”며 구두 개입성 발언을 내놨다. 여기에 외환당국의 개입으로 추정되는 물량이 나오면서 원·달러 환율은 오전 10시30분께 1296원60전으로 떨어졌다. 하지만 결국 1300원대를 방어하지 못하고 거래를 마감했다.


추 부총리는 “전 세계적인 인플레이션에 따른 통화 긴축 가속화 및 이로 인한 경기 침체 우려 등으로 달러 강세가 계속되면서 원·달러 환율 상승세도 지속되고 있다”며 “주요국 여타 통화도 달러 대비 약세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이달 들어서는 원화 약세가 두드러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원화 가치는 이달 초 대비 4.96% 하락했다. 같은 기간 엔화(-4.19%) 유로화(-0.74%)와 비교해도 하락 폭이 가파르다. 원화는 아시아 신흥국인 인도네시아의 루피아(-2.90%)보다도 절하율이 크다.
○韓, 수출 둔화 가능성 커져
원화 가치가 최근 유독 약세를 보이는 것은 경기 침체 공포가 확산하면서 수출 비중이 높은 한국 경제에 경고등이 켜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원화뿐 아니라 수출 경쟁국의 통화도 동반 약세를 보이는 데다 국내 기업들의 해외 공장이 늘면서 과거와 달리 고환율이 수출 경쟁력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은 제한적이다.

올해 들어 무역적자 폭은 확대되고 있다. 관세청에 따르면 올해 들어 무역수지는 154억69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고유가·고환율에 따라 수입(3393억6600만달러)은 급증하는 데 수출(3238억9700만달러) 증가세는 더디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올해 상반기 무역적자 규모는 반기 기준 역대 최대치를 기록할 가능성이 커졌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내놓은 올해 경제전망에서 연간 수출 증가율을 3.3%로 내다보면서 하반기에는 1.1%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문홍철 DB금융투자 연구원은 “한국 이외의 수출 비중이 높은 신흥국은 원자재를 수출하기 때문에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타격이 덜하다”며 “한국은 공산품 수출 비중이 높아 세계적 경기 침체에 따른 수출 둔화 가능성이 커졌다”고 내다봤다.

한국과 미국의 금리 역전이 확실시되는 것도 원·달러 환율 상승을 부추기는 요인이다. 미국 중앙은행(Fed)은 다음달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자이언트스텝(기준금리를 한 번에 0.75%포인트 인상)을 예고했다. 한은은 7월 FOMC가 열리기 2주 전인 다음달 13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 인상을 결정한다. 한은은 내부적으로 미국과 같은 자이언트스텝은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가 연 1.75%로 같은 상황에서 한은이 빅스텝을 단행하더라도 Fed가 자이언트스텝을 밟으면 기준금리는 미국이 연 2.5%, 한국은 연 2.25%로 역전된다.

시장에선 외환당국이 ‘환율 1300원대’를 용인할 것이란 관측이 많다. 기재부나 한은이 환율이 지나치게 빨리 오르는 건 제한할 수 있지만 환율을 특정 수준 이하로 끌어내릴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있다. 백석현 신한은행 이코노미스트는 “연말에 1350원까지 오를 수 있다”고 내다봤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내수와 수출, 물가 등의 불안 요인이 더욱 커지면서 원·달러 환율이 더 오를 수 있다”며 “1300원대 후반까지는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