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매출 10억인데 "남는 게 없다"…유명 빵집도 문 닫아 '절규'

입력 2022-09-12 15:30   수정 2022-09-12 16:53

<svg version="1.1" xmlns="http://www.w3.org/2000/svg" xmlns:xlink="http://www.w3.org/1999/xlink" x="0" y="0" viewBox="0 0 27.4 20" class="svg-quote" xml:space="preserve" style="fill:#666; display:block; width:28px; height:20px; margin-bottom:10px"><path class="st0" d="M0,12.9C0,0.2,12.4,0,12.4,0C6.7,3.2,7.8,6.2,7.5,8.5c2.8,0.4,5,2.9,5,5.9c0,3.6-2.9,5.7-5.9,5.7 C3.2,20,0,17.4,0,12.9z M14.8,12.9C14.8,0.2,27.2,0,27.2,0c-5.7,3.2-4.6,6.2-4.8,8.5c2.8,0.4,5,2.9,5,5.9c0,3.6-2.9,5.7-5.9,5.7 C18,20,14.8,17.4,14.8,12.9z"></path></svg>서울 강서구에서 지역 빵집으로 유명했던 한 가게는 지난달 매장을 철거했다. 연매출 10억원 이상을 거뜬히 올린 잘나가는 가게였지만, 최근들어 이익률이 4분의 1토막 정도로 급감했기 때문이다. 밀가루 값이 지난해 30% 급등한 데 이어 올해 40% 뛰는 등 원재료 값이 줄줄이 올라 이익이 많이 남지 않았다. 설상가상으로 건물주로부터 월세 인상 통보를 받으면서 가게를 유지하기 어렵겠다는 판단을 했다. 이 가게 사장 김모 씨는 “이대로 가게를 운영하다간 직원들 월급도 제때 지급하기도 힘들겠다는 생각이 들어 매장 운영을 접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한국인 1인당 하루 빵 섭취량은 2012년 18.2g에서 2018년 21.3g으로 늘었고 85g 단팥빵 1개를 기준으로 연간 소비량은 78개에서 91개로 증가했다. 가구당 월평균 빵 및 떡류 소비지출액도 2020년 2만2000원으로 2015년(1만9000원)보다 16.6% 늘었다. 그러나 빵집 경영은 녹록지 않아졌다. 밀가루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는 등 원부자재 값이 폭등하면서 수익률이 크게 떨어지고 있어서다.

12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1~6월) 전국에서 폐점한 제과·제빵 매장 수는 1263건(지방자치단체 인허가 기준)에 달한다. 매달 전국에서 210곳 이상이 문을 닫았다는 의미다. 같은 기간 서울시 내에서 신고된 폐업 건수만 해도 최근 5년 내 가장 많은 378건에 이른다. 창업 전문가들은 “밀 설탕 식용유 가격이 급등하는 바람에 이를 원재료로 많이 쓰는 업소들이 직격탄을 맞았다”고 설명했다..

수입 곡물 가격 상승세는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국제 곡물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던 3∼6월 구입 물량이 시차를 두고 국내로 들어오고 있는 데다 원-달러 환율이 급등한 데 따른 것이다. 최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산 곡물 수입국을 제한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점도 밀 가격을 끌어 올리는 요인이다. 지난 7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시카고상품거래소(CBT)에서 12월물 밀 선물 가격은 전 거래일보다 3.3% 오른 부셸당 8.4425달러로 장을 마감했다. 종가 기준 7월11일 이후 최고치다.

수입 곡물 가격이 오르면 이를 원재료로 사용하는 국내 식품이나 사료 가격도 오를 수밖에 없다. 빵을 비롯해 밀가루를 주로 사용하는 제품들은 벌써 큰 폭으로 올랐다. 서울 동작구의 한 아파트 상가에서 약 16㎡(5평)짜리 소규모 빵집을 운영하는 이모 씨(38)는 “밀가루나 식용유, 유제품, 과일 등 원자재 값이 전반적으로 많이 뛰어 매출 대비 재료비 비중이 월평균 70%를 넘는 수준까지 높아졌다”며 “이 와중에 월세가 인상되면서 고정 지출도 많아져 아무리 빵을 많이 팔아도 매달 수입이 급감하는 추세를 보이니 폐업을 고민 중”이라고 전했다.


급격히 증가한 인건비, 월세, 대출 부담 등은 자영업자를 짓누르는 또 다른 요인이다. 내년 시간당 최저임금이 1만원에 육박(9620원)한 수준으로 확정됐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금융권의 자영업자 대출 잔액(가계대출 포함)은 1051조2000억원으로, 코로나 사태 직전인 2019년 말(737조5000억원)보다 42.5% 불어났다.

폐업한 가게들이 늘면서 집기를 사는 업체들의 창고는 대부분 꽉 찼다. 특히 문 닫은 제과·제빵업체의 오븐, 냉장고, 작업대 등 주방용품이나 탁자, 의자 등 가구가 많다. 경기 김포의 한 폐업처리업체 대표는 “최근에도 이 지역에서 장사가 잘되기로 손꼽히던 번화가의 한 대형 빵집이 문을 닫았다”며 “폐업 문의는 하루에도 수십 건씩 오지만 창고가 꽉 차 이제 받아주기도 어렵다”고 했다.

안혜원 한경닷컴 기자 anhw@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