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파운드화 37년 만에 최저치…"패리티 시대 온다"

입력 2022-09-25 15:36   수정 2022-10-22 00:01



영국 파운드화가 지난 23일(현지시간) 1985년 이후 37년 만의 최저치로 떨어졌다. 이날 영국 정부가 발표한 대규모 감세 정책의 여파다. 월스트리트에서는 유로에 이어 1파운드 가치가 1달러와 같아지는 ‘패리티’ 시대가 올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24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지난 23일 외환시장에서 달러·파운드 환율은 장중 3.7% 하락해 1.084달러로 밀렸다. 이후 낙폭을 일부 회복해 1.09달러선에서 장을 마감했지만, 24일 다시 1.0849달러로 떨어졌다. 영국 국채도 매도세가 몰리면서 금리가 폭등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5년 만기 영국 국채 금리는 23일 0.5% 포인트 올라 1991년 이후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한때 세계 기축통화였던 파운드화 가치는 지난 5일 파운드당 1.144달러로 37년 만의 최저치를 찍은 후 수 차례 새 기록을 썼다. 이전까지는 강달러 영향이 컸지만 이날은 리즈 트러스 총리의 영국 내각이 발표한 총 450억파운드(약 70조5000억원) 규모 감세안의 직격탄을 맞았다. 영국 정부는 법인세 인상 계획 철회 및 소득세 기본세율 인하 등 감세를 통해 투자를 유치하고 경제성장률을 높이겠다고 발표했다.



시장이 냉랭한 반응을 보인 건 정부 부채가 급증할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영국 싱크탱크 재정연구소는 올해 영국 정부 부채 규모가 1900억파운드(약 293조5700억원) 이상으로 2차 세계대전 이후 3번째로 높을 것으로 전망했다. 래리 서머스 전 미 재무장관은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영국은 신흥국 시장이 스스로 침몰할 때처럼 행동하고 있다”며 “주요국 중 최악의 거시경제 정책을 시행한 나라로 오랫동안 기억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정치·경제적 도박”이라는 표현을 썼다.

파운드화 가치가 사상 처음으로 달러와 같은 수준까지 떨어질 가능성도 점쳐진다. 씨티그룹은 파운드화가 향후 몇 달간 1.05~1.1달러 사이에서 거래될 것으로 예측하며 패리티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분석했다. 네덜란드 은행 ING가 최근 산정한 연내 패리티가 발생할 확률은 17%로 6월(6%)의 3배 수준이다.

파운드화 가치의 폭락을 막기 위해 영국 중앙은행(BOE)이 더 공격적인 금리 인상으로 대응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도이체방크는 “시장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다음주에라도 BOE가 긴급 금리인상을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시장은 BOE가 현재 2.25%인 기준금리를 내년 8월까지 5% 이상으로 올릴 것으로 보고 있다.

영국 자산시장이 흔들리며 뉴욕증시도 하락했다. 다우존스는 23일 1.62% 떨어지며 3만선을 밑돌았다. 2020년 11월 이후 최저치를 썼다. 골드만삭스는 S&P500 지수의 연말 전망치를 기존 4300에서 3600으로 낮췄다. 23일 종가(3693.23)보다 낮다.

노유정 기자 yjroh@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