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레논 살인범조차 놓지 못한…'중2병' 소년의 이야기

입력 2023-02-24 08:40   수정 2023-04-27 13:49


'사춘기(思春期)'. 한자 그대로 풀이하면 '봄을 생각하는 시기'라는 뜻이죠. 식물이 언 땅을 깨고 새 싹을 틔우려고 진통을 겪듯이, 인간도 청춘을 꽃 피우느라 애를 씁니다.

동서고금 문학작품 속에서 사춘기를 가장 요란하게 보낸 청소년을 꼽자면 단연 이 인물일 겁니다. 홀든 콜필드. 1951년 출간된 J. D. 샐린저의 <호밀밭의 파수꾼> 속 주인공 말이에요.

열여섯의 홀든은 등장부터 심상치 않습니다. 소설 첫 장, 홀든은 독자를 향해 말해요. "아마도 가장 먼저 알고 싶은 것은 내가 어디에서 태어났는지, 나의 엉망인 어린 시절이 어떠했는지, 우리 부모가 나를 낳기 전에 뭘 하느라 바빴는지 뭐 그런 데이비드 코퍼필드류의 쓰레기겠지만 그런 이야기는 하고 싶은 기분이 아니다."

시작부터 영국 대문호 찰스 디킨스의 자전적 소설 <데이비드 코퍼필드>를 대차게 깝니다. 문학사상 가장 싹퉁머리 없는 첫 문장("오늘 엄마가 죽었다. 아니 어쩌면 어제.")으로 유명한, 알베르트 카뮈의 <이방인> 못지 않아요.

소설은 기숙학교에서 쫓겨난 홀든이 3일간 뉴욕을 떠도는 내용입니다. 그는 성적도 나쁘고 교사나 친구들과의 관계도 원만하지 않습니다. 학교를 벗어난 뒤 매춘부를 만나고 술집을 드나들며 방황하죠. 그러나 자신에게 무조건적 믿음과 애정을 보이는 여동생 피비를 보며 마음이 움직여 집으로 돌아갑니다.

소설 내내 홀든은 인간혐오론자처럼 투덜대지만, 사실은 피비를 비롯한 인간의 순수한 마음을 열망합니다. 그가 싫어하는 건 어른들의 허위와 속물 근성이죠.

이 복잡미묘한 반항아는 국내외 청춘들에게 사랑을 받아왔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7000만부 넘게 팔렸고, 꾸준한 인기에 국내에서는 민음사가 최근 새 번역을 입혀 개정판을 냈습니다.



새 번역을 맡은 정영목 이화여대 통번역대학원 교수 버전의 홀든은 좀더 신랄하고 직설적이에요. 말하자면, 요즘 말투죠. 이전 번역본에서 홀든은 부모님에 대해 "끔찍할 정도로 과민한 분들"이라고 표현했지만, 정 교수는 그 대신에 "겁나 예민하다"고 썼습니다. 일본에서는 소설가 무라카미 하루키가 이 작품을 번역했어요.

살인자들이 유난히 좋아하는 책이라는 불명예스러운 기록도 있습니다. '비틀즈' 멤버인 존 레논을 살해한 마크 채프먼은 도망가는 대신 범행 현장에서 이 책을 읽는 섬뜩한 짓을 했습니다. 케네디 대통령의 암살범인 리 하비 오즈월드도 이 소설을 즐겨 읽었다고 하고요.

작품을 둘러싼 여러 소동에도 샐린저는 '은둔의 작가'로 살았습니다. 소설이 성공하자 사람들이 찾아오는 게 싫다며 시골마을에 틀어박혔어요. 외부와 연락도 끊었죠. 영화 감독 엘리아 카잔이 이 작품을 영화로 만들고 싶다고 샐린저를 찾아갔을 때 "홀든이 싫어할 것"이라며 거절한 일화는 유명합니다.



샐린저는 영화 '꿈의 구장' '파인딩 포레스터' 등에 등장하는 '한 권의 베스트셀러를 쓰고 평생 잠적한 소설가' 캐릭터의 모티브가 됐습니다. 그는 평생을 사람들의 시선으로부터 도망쳤는데, 그의 아들 맷 샐린저가 1990년 개봉한 영화 '캡틴 아메리카' 주인공 등 배우로 활동해온 사실은 아이러니한 일입니다.

자꾸 숨어서 자꾸 호기심을 자극한 걸까요. 아예 샐린저에 대한 영화도 적지 않아요. 2018년 개봉한 영화 '호밀밭의 반항아'는 샐린저가 <호밀밭의 파수꾼>을 쓰기까지의 과정을 그렸어요. 2019년에는 샐린저의 탄생 100주년을 맞아 그의 일생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샐린저'가 개봉했습니다.



그가 얼마나 유난한 작가였는지 단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이 있죠. 민음사의 세계문학전집 중 유일하게 <호밀밭의 파수꾼>에는 표지 그림이 없습니다. 2001년 처음 출간됐을 때만 해도 다른 세계문학전집 책들처럼 표지 그림이 있었죠. 샐린저의 요청에 따라 이후 수정됐습니다.

저자 사진도 없어요. 1951년 미국 리틀 브라운 앤드 컴퍼니 출판사에서 첫 출간됐을 당시에도 책 뒷면에 샐린저 사진이 들어갔다가 항의 끝에 재쇄부터는 저자 사진을 뺐다고 하네요.

참고로, 세계문학전집 중 저자 사진이 없는 건 딱 두 권입니다(19세기 이후). J. D. 샐린저의 <호밀밭의 파수꾼>, 그리고 토머스 핀천의 <제49호 품목의 경매>. 핀천도 샐린저처럼 '운둔형'이었죠. 자신을 언론에 노출시키는 것을 너무 싫어해서 젊은 시절 사진만 겨우 전해질 정도죠. 오죽하면 '<호밀밭의 파수꾼>은 핀천이 J. D. 샐린저라는 필명으로 쓴 소설'이라는 설까지 있었다고 하네요.

<호밀밭의 파수꾼> 소설 제목은 홀든의 꿈에서 따왔습니다. "나는 그 모든 어린 꼬마들이 호밀밭이나 그런 커다란 밭에서 어떤 놀이를 하는 모습을 계속 그려봐. (생략) 그런데 나는 어떤 미친 절벽 가장자리에 서있어. 만일 꼬마들이 절벽을 넘어가려 하면 내가 모두 붙잡아야 해. (생략) 그게 내가 진짜로 되고 싶은 유일한 거야."

이쯤 되면 홀든이라는 이름도 의미심장하죠. 영어로 쓰면 Holden. '붙잡다'를 의미하는 'hold'의 과거분사형으로, '잡힌, 붙들린'이란 뜻입니다. 엄격하고 답답한 기숙학교에 붙잡혀있다는 뜻, 그리고 동심의 파수꾼이 되고 싶은 마음을 모두 담고 있는 듯합니다.

홀든이 꿈꾸는 '호밀밭의 파수꾼'은 진정한 어른, 선(善)과 정의라는 선(線)을 지키는 이상적인 사회 등으로 풀이됩니다. 혹은 문학 그 자체라고 볼 수도 있죠. 정여울 문학평론가는 올 초 출간한 책 <문학이 필요한 시간>에서 "문학은 항상 변함없이 그 자리에서 비틀거리는 우리를 붙잡아 주는 호밀밭의 파수꾼"이라며 "내가 절벽 위에서 뛰어내리고 싶을 때마다 문학은 내 어깨를 버텨주고 내 이마를 짚어주고 내 손을 잡아주었다"고 썼습니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