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리 덴트 “해장술(hair of the dog) 거품은 깨진다”! “내년 엔비디아 98% 폭락할 것”…강남 집값은? [한상춘의 지금세계는]

요즘 미 경제와 증시 관련해 붕괴론 많이 거론되고 있는데요. 이번에는 우리에게 인구 절벽이란 책으로 잘 알려진 해리 덴트가 을 들고 나오면서 내년 초에 S&P500지수는 86, 엔비디아 주가는 98 폭락한다고 내다봐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으로 본다면 강남 집값도 거품이 심한 곳으로 평가되고 있는데요. 이 이론을 적용할 경우, 강남 집값은 얼마나 떨어질지 도움 말씀에 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 나와 계십니다. Q. 앞서 말씀 드린 것처럼 최근 미국 경제와 증시 붕괴론이 많이 나오고 있고, 이번에 우리에게 잘 알려진 해리 덴트가 증시 대붕괴론을 거론하지 않았습니까? - 요즘 美 경제 망국론과 증시 붕괴론 잦아 - 로버트 기요사키 ‘美 경제 디폴트설’ 제기 - 다이먼 회장 "美 국채금리 8 급등하면서 붕괴" - 해리 덴트 “내년 초, 美 증시 대붕괴될 것” - 내년 초, S&P500 지수 -86·나스닥 -92 ‘폭락’ - 엔비디아 주가 98 붕괴하면서 휴지로 전락 - 美 3대 지수, 6월 FOMC 결과 기다리는 장세 Q. 전망이 맞고 안 맞고를 떠나 나스닥 지수가 92, 엔비디아 주가가 98 폭락한다는 예상 그 자체에 관심이 갈 수밖에 없는데요. 먼저 그 주장을 한 해리 덴트는 어떤 사람입니까? - 해리 덴트, 우리에게 알려진 경제 예측학자 - 2005년 버블론, 정치인을 중심으로 필독서 - "베이비부머 세대 은퇴…10년 이후, 美 경제 침체" - 증시 붕괴론 제시, 하지만 경제와 증시 호황 - 해리 덴트, 우리에게 알려진 경제 예측학자 - 2015년, 인구 절벽이라는 책으로 다시 등장 - 예측 실패로 다른 나라에서는 인기 끌지 못해 - 한국에서만 인기…당시, 강남 아파트 가격 전망 화제 - 10년 만에 등장, 美 경제와 증시 ‘붕괴론’ 주장 Q. 이번에 미국 경제와 증시가 붕괴될 것이라고 주장하는 근거가 독특한 데요. 그 내용을 말씀해 주시지요. - 해리 덴트, 인구통계학적 예측기법 선호 - 특정국 주가와 부동산, 자산계층에 의해 좌우 - 자산계층, 경제활동이 왕성한 35세~55세 - 이번에는 숙취 현상과 해장술 이론으로 예측 - 만취→숙취(hangover)→해장술(hair of the dog) - 위기→돈 살포→회수 전→위기→돈 살포→거품 - 美 경제와 증시, 해장술로 거품 낀 것으로 평가 - 붕괴 시점, 1년 전 예측 안 맞아…내년 초로 연기 Q. 작년 초에는 국내에서도 경기 대침체론과 증시 폭락설을 주장하는 사람들이 많았죠? 하지만 세계 경기와 증시는 활황을 보이지 않았습니까? - 해리 덴트, 국가 간 인구이동을 경시한 것 ‘단점’ - 제레미 시겔 교수, ‘글로벌 해법’ 제시 반박 - 간단한 생산함수(Y=f(K,L,A)로 설명 가능 - 세계는 하나, 생산함수 적용대상 세계로 확대 - 특정국 인구 수와 인구 구성상 한계 극복 가능 - 해리 덴트, 국가 간 인구이동을 경시한 것 ‘단점’ - 제레미 시겔 교수, ‘글로벌 해법’ 제시 반박 - 1가구 4인→1가구 1인…인구증가와 동일 - 유동성과 함께 코로나19 이후 집값 상승 주요인 Q. 우리 문제로 넘어가기 전에 궁금한 것은 요즘 들어 망국론과 증시 붕괴론 등이 많은데요.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것입니까? - 경제와 민주주의 간 불일치…비관론에 더욱 민감 - 경제는 효율성 중시, 불균형 심화될 수밖에 없어 - 빅테크 위주의 성장…중산층, 빈곤층으로 전락 - 1인=1표의 민주주의, 빈곤층 겨냥할 수밖에 없어 - 비관론과 망국론, 실제로는 잘 들어 맞지 않아 - 모든 사람, 어떤 형태로든 잘 살아보기 위해 노력 - 비관론 업고 승리한 정치인도 결국은 ‘경제 살리기’ - 경기, 침체기는 아주 짧고 성장기는 아주 길어 Q. 해리 덴트가 우리에게 잘 알려진 사람이기 때문에 이번에 주장한 것은 관심이 될 수밖에 없는데요. 일단 기존에 예측한 결과부터 말씀해 주시지요. - 2015년 인구 절벽, 핵심자산계층 근거로 예측 - 핵심자산계층인 45∼49세, 2018년 이후 급감 - "강남 아파트 가격, 장기 침체에 빠질 것" 예상 - 韓 부동산 가격, 대부분 해리 덴트식으로 예측 - '인구절벽과 저출산-고령화' 근거, 비관론 일색 - 2016년 5대 은행장 “다음 해, 집값 15 폭락할 것” - 인구통계학적 기법 근거 부동산 예측 빗나가 Q. 인구통계학적 기법에 의한 부동산 예측이 맞지 않아도 저출산과 고령화를 들어 우리나라 부동산 가격이 침체에 들어갈 것이라는 시각에는 동조하는 사람이 많지 않습니까? - 최근, 韓 저출산에 대한 경고 연일 나와 ‘눈길’ - NYT 칼럼, 韓 출산율 14세기 흑사병 당시와 비유 - 지난해 출산율 0.7명…OECD 회원국 중 최저수준 - 1960년 이후, 출산 감소율 86.4…세계에서 1위 - 인구 고령화 속도, 세계에서 가장 빠른 국가로 평가 - 최근, 韓 저출산에 대한 경고 연일 나와 ‘눈길’ - 인구절벽, 中 등 주요국에서 경제현안으로 대두 - 출산장려운동, 일본과 러시아 등 주요국에서 펼쳐 Q. 우리나라는 유독 위기설이 많이 나오고 외환위기를 겪어서 그런지 더욱 민감한 반응인데요. 오히려 이렇게 잦은 위기설은 경제와 증시에 부담이 되고 있지 않습니까? - 韓 경제 위기설, 1997년 이후 봇물 터지듯 나와 - 외환위기 이후 어조 지수 기준 1000번 이상 나와 - 콘텐츠 클릭용 위기, “이 징조 보이면 옵니다” - 심리와 네트워킹 효과 큰 시대, 위기설이 부담 - 외환위기 이후 韓 위기설, 한번도 발생하지 않아 - 정치인, 당리당략 차원에서 위기설로 국익을 손상 - 대통령, 민생 우선이라 하면서 ‘위기설’ 거론 금물 지금까지 도움 말씀에 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

자세히 보기

미국 천연가스 선물, 7% 이상 급등 [최보화의 글로벌 ETF·원자재 시황]

시장 혼조세 속에서 기술주 ETF가 선전, 금융주 ETF는 부진 미국 천연가스선물 8% 상승, 중국 경제 둔화 속 주요 금속선물 하락세 오늘 시장은 3대 지수와 해당 ETF들이 혼조세를 보였으며, 기술주 ETF는 상승한 반면 금융주 ETF는 하락했습니다. OPEC의 전망에 힘입어 국제유가가 소폭 반등했고, 미국 천연가스 선물은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주요 곡물선물은 혼조세를 나타냈으며, 중국의 경제 둔화 소식에 주요 금속선물 대부분이 하락했습니다. 미국 천연가스 펀드는 폭염으로 인한 냉방기 사용량 증가와 아시아 시장의 가스 물동량 변화로 인해 주목받았습니다. 암호화폐 시장은 미국의 경제 지표 발표와 연준 회의를 앞두고 긴장감이 고조되었으며,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모두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암호화폐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은 여전히 존재합니다. 최보화 외신캐스터

자세히 보기

美 10년물 국채입찰 응찰률 2.60배...수요 양호 [굿모닝 글로벌 이슈]

미국의 10년물 국채 입찰은 390억 달러 규모로 진행되었으며, 응찰률은 2.6배로 나타나 수요가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었습니다. 이는 6개월 평균치인 2.5배를 상회하는 수치로, 특히 해외 수요가 1년 4개월 만에 가장 높게 나타나면서 국채 물량을 소화했습니다. 이에 따라 입찰금리는 4.438%로 책정되어 시중금리보다 낮게 나왔습니다. 영국에서는 실업률이 2년 반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2월부터 4월까지의 3개월간 실업률은 4.4%로 집계되었으며, 이는 2021년 중반 이후 처음 있는 일입니다. 임금 상승률에 대한 해석은 엇갈리고 있으나, 민간 부문의 주당 평균 임금은 5.8% 증가했습니다. 이는 최저임금이 거의 10% 인상됐음에도 불구하고 2년 만에 가장 느린 증가세를 보였다고 평가되었습니다. 미국 증시에서는 제네럴 모터스(GM)가 60억 달러 규모의 자사주 매입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는 기존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이 이달 말에 완료됨에 따라 새로운 계획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GM은 이를 통해 전기차 사업의 수익성을 성장 및 개선하고, 자본을 효율적으로 배치하는 동시에 내연기관 자동차 사업도 개선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 외에도 시장은 내일 발표될 5월 소비자 물가지수(CPI)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결과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CPI는 계속해서 완화될 것으로 기대되며, FOMC 점도표에서는 올해 3회 인하 전망을 유지했습니다. 이번 발표에서 변화가 있을지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다양한 경제 및 증시 관련 이슈들이 글로벌 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투자자들은 이러한 변화에 주의 깊게 대응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조윤지 외신캐스터

자세히 보기
한국경제TV 채널을 구독하고
다채로운 소식을 받아보세요.
구독 좋아요!

TV광고 이미지

주식은 와우넷

베스트 수익률

송관종대표

HLB

송관종대표
106.74 %
  • 매도일시2024-03-29
  • 매도가105,890
송관종대표

알테오젠

송관종대표
99.55 %
  • 매도일시2024-03-29
  • 매도가197,998
강준혁대표

자람테크놀로지

강준혁대표
82.98 %
  • 매도일시2024-04-08
  • 매도가66,775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