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석주의 영감과 섬광] 어느 날 나는 누구인가, 라고 묻는다

입력 2024-03-05 18:06   수정 2024-03-06 00:08


최근 어느 저녁 귀가하다가 여행에의 욕구가 푸른 싹처럼 내면에서 돋아난 걸 깨달았다. 이것은 하나도 이상한 일이 아니다. 온갖 여행들로 직조되는 게 인생살이 아니던가! 여행과 마찬가지로 삶은 미지에로의 투신이다. 이 느닷없는 여행 욕구는 주변을 겉도는 느낌, 모호한 기분들, 허전함과 지루함과 쓸쓸함, 아무도 아닌 자로 사는 눅진한 권태에서 비롯되었을 테다.

양치질을 하다가 치약의 계면활성제가 구역질을 일으키고, 구두끈을 매다가 사는 게 왜 이렇게 재미가 없지, 하고 중얼거린다. 입춘 날 아침, 무심히 구름이 떠가는 하늘을 보다가 올해는 먼 곳으로 여행을 떠나리라 결심한다. 여행이란 먼 곳에서의 낯선 부름에 응답하는 일이다. 그 여정은 나에게서 출발해 나에게로 돌아오는 길이다. 하지만 여행이 나를 떠나 나에게로 돌아오는 일이라는 걸 사람들은 잘 믿지 않는다. 여행의 시작과 끝 중간에 여정이 자리한다. 마치 탄생과 죽음 사이에 삶이 발포성 음료 거품처럼 바글거리듯이.
먼 곳의 낯선 부름에 답하는 일
당신이 먼 곳에서 나를 부르지 않는다면 나는 언감생심 여행을 꿈꾸지 못했을 것이다. 눈 뜨고 깨어나면 그곳이 먼 외국이면 얼마나 좋을까, 하고 나는 상상한다. 이스탄불에서 트램을 타고 복잡한 도심을 가로지르거나, 하노이 도심 속 작은 공원을 산책하거나, 아테네 파르테논 신전 아래에 형성된 벼룩시장에서 고양이 주물 인형을 고른다. 바닷가에 흰 포말을 일으키며 파도가 부서지는 지중해와 올리브나무와 포도원이 있는 크레타섬을 꿈꾸지만 눈 뜨면 엄혹한 현실이 버티고 있다. 수요일엔 쓰레기 분리수거를 한다. 현실은 의외로 견고한 법이다. 현실의 견고함을 이루는 소규모의 계획과 일정들이 나를 옴짝달싹하지 못하게 한다.

나는 가끔 양말을 뒤집어 신고 지갑을 잊은 채 외출에 나선다. 나는 치과 치료를 위해 병원을 찾는 것이나 관공서에서 오는 전화를 아주 싫어한다. 나는 종종 먼 정거장에 우두커니 서 있고 싶다. 나는 잔병치레를 하지 않는다. 그 대신 비염 증세로 코가 막히고, 자다가 절박뇨 때문에 두어 번 깨어난다. 나는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을 미치도록 좋아하지만 피아노는 연주하지 못한다. 나는 가지 않은 도시의 경찰서에서 발부한 주차 위반 범칙금 고지서를 받은 적이 있다. 착오로 밝혀져 범칙금을 내지 않았지만 왜 그런 터무니없는 일이 일어났는지는 알지 못했다. 나는 서울의 복잡한 지하도에서 길을 잃어 헤맨 적이 있고, 외국 여행 중 입국 심사대에 서면 약간의 불안과 요의를 느낀다.

나는 누구인가? 누구나 외부의 영향 없이 온전한 자기로 사는 것은 불가능하다. 인간은 상호 영향을 받는 사회와 조직이 만드는 네트워크 속에서 산다. 네트워크들은 개인에게 책임과 의무를 씌운다. 나는 네트워크에 소속되기보다는 독립적 자아로 사는 걸 더 좋아한다. 그런 까닭에 매일 아침 8시면 넥타이를 매고 출근을 위해 집을 나서지 않는 걸 다행스럽게 여긴다. 나는 자율적으로 시간을 쓰는 사람이고, 그곳이 어디든 노트북을 켜고 앉는 자리가 내 일터다.

나는 트라피스트 교단이나 좌익 사회주의 혁명당원도, 이슬람 근본주의 정파 소속도 아니다. 나는 어떤 정당 활동도 하지 않는다. 나는 온건하고 평범한 사람이다. 누군가는 나를 보행자, 애묘인, 독서광, 작가로 알고 있을 것이다. 그 밖의 나는 아파트 입주민, 헬스클럽 회원, 넷플릭스 가입자, 종합소득세 과세 대상자, 2종 운전면허 소지자, 실손 보험 가입자, 국민건강보험 가입자라는 신분으로 살아간다. 물론 그렇게 사는 것은 좋은 일도 나쁜 일도 아니다.

나는 새벽에 고양이들과 함께 깨어난다. 고양이들이 모래에 묻은 똥과 오줌을 치우고, 냉장고에서 사과 한 알을 꺼내 먹는다. 나는 건강한 편이지만 건강을 염려한다. 나는 걱정이 많은 사람이다. 남극의 빙하가 녹는 것과 기후 위기를 걱정하고, 오르는 물가와 대도시의 교통난, 악의 범람, 핵전쟁의 위기, 팽창하는 우주의 미래를 염려한다.

당신은 폭우로부터 가뭄을 만들어낼 능력이 있는가? 이 엉뚱한 질문은 기원전 535년께 소아시아의 서안 에페소스에서 태어난 헤라클레이토스라는 철학자가 던진 것이다. 그는 누구의 가르침도 받지 않고 자기 자신을 탐구한 철학자다. 좋은 가문의 장남으로 태어나 집안의 재력으로 부귀와 영화를 누릴 수 있었지만 산속에 자발적으로 은둔한다. 혼자 살며 풀과 나뭇잎을 먹으며 살았던 탓에 수종이라는 질병을 얻었다. 그는 의사들에게 이처럼 수수께끼 같은 물음을 던진다. 그건 수종 치료법과 관련된 질문이었지만 사람들은 그 진의를 제대로 깨닫지 못했다.
오, 양초처럼 불타올라라!
사람은 폭우에서 가뭄을 만들거나 추위에서 더위를 만들어낼 수 없다. 인간은 인공 강우나 인공 눈을 만들지만 날씨를 마음대로 하지 못한다. 우리에겐 가뭄으로 땅이 쩍쩍 갈라질 때 비 한 방울 만들어낼 능력이 없다. 날씨는 하늘의 일이다. 폭우에서 가뭄을 만드는 일은 초능력이 있어야만 한다. 나는 비 오는 날엔 박쥐우산을 들고 나가고 이 불가해한 물음에 나를 투사한다. 지구에서 첫 인생의 리허설을 치르는 내게 두 번째 리허설이 허용될지는 모른다. 단 한 번만 산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왜 사람은 두 번 살지 못할까?

오, 양초처럼 불타올라라! 그것은 무언가를 도모하며 산다는 뜻이다. 나는 생명이 품은 가능성을 탕진한 채 먼지가 되어 흩어지리라! 지구가 자전하며 궤도를 도는 동안 내 생명의 시간은 째깍째깍 줄어든다. 와인잔의 적포도주가 차츰 줄 듯 내 인생의 쇠락은 명확하다. 어차피 사람은 제 생명을 다 쓴 뒤에는 이 세상과 작별한다. 나는 봄마다 앞으로 몇 번이나 모란과 작약이 피는 걸 볼 수 있을까를 혼자 가만히 짚어본다. 그건 가슴 저미도록 슬프고 아름다운 속셈이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