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인 줄" 원격으로 차 멈춘다…'GM 트랙스'부터 신기능 탑재 [신용현의 여기잇차]

입력 2024-05-21 08:00   수정 2024-05-21 10:21


스마트폰으로 차량 시동을 걸거나 에어컨을 미리 켜는 것을 넘어 도난 차량을 원격으로 멈춰 세울 수 있다면 어떨까요?

마치 영화에 등장하는 이야기 같지만 제너럴모터스(GM)의 자동차 커넥티비티 서비스 '온스타'에 탑재된 기능입니다. 위성을 통해 차량 위치를 추적해 원격으로 멈춰 세울 수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받는 서비스로 온스타 공식 유튜브 채널에 이 같은 내용의 영상이 공개되자 많은 관심이 쏠렸습니다.

다만 국내 GM 오너들에게는 스마트폰 원격제어조차 꿈같은 일이었습니다. 그동안 한국 시장에서 커넥티비티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자동차 관련 커뮤니티엔 "국내 시장은 버렸냐"는 볼멘소리가 나오기도 했습니다.

마침내 지난달 8일 GM은 국내에서도 온스타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쉐보레 2025년형 트랙스 크로스오버를 시작으로 쉐보레, 캐딜락, GMC 등 국내 출시되는 GM 신차에 단계적으로 제공하기로 했습니다.

서비스가 늦어진 만큼 국내 소비자를 위한 기능을 우선 탑재해 아쉬움을 달랬는데요. 디지털 활성화(액티베이션) 기능을 글로벌 최초로 도입한 겁니다. 해외에선 상담원과 통화 연결을 통해 온스타 활성화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국내에선 이런 번거로운 과정 없이 애플리케이션(앱)으로 가입과 차량 연동을 바로 할 수 있게 했습니다.

먼저 차 안에서 스마트폰 블루투스 연결을 통해 활성화 과정을 진행했습니다. 정상 작동하는 데까지 1~2분가량 시간이 소요됐습니다. 차량 밖으로 나가 문을 잠그고 스마트폰으로 시동을 걸자 시동이 걸렸습니다.

국내에선 온스타 앱으로 엔진 및 변속기, 에어백, 온스타 서비스, 배출가스 시스템 등 차량 주요 부품 상태도 확인할 수 있어 서비스센터 방문 없이도 상시 진단이 가능합니다. 다만 아직 미흡해 보이는 부분이 있었는데요. 온스타를 통해 원격으로 시동을 걸었지만, 차량에 탑승해 브레이크를 밟은 채 시동 버튼을 누르는 과정을 거쳐야 출발할 수 있습니다. 기어를 드라이브(D)로 변경하면 바로 출발할 수 있을 거란 기대와는 달랐습니다. 현장 관계자는 안전 운전을 위해 이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공조 기능이 없는 부분도 아쉬웠습니다. 더운 날씨에 원격 시동과 함께 에어컨을 미리 작동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기능은 지원되지 않는 겁니다. 신승빈 GM 한국사업장 온스타팀 부장은 "현재 온스타 서비스에서도 외부 온도에 맞춰 차량 온도를 조정하는 기능은 있지만, 세부 온도 조정 기능은 아직 도입이 안 됐다. 앞으로 출시되는 차량에 멀지 않아 적용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GM은 온스타 출시에 대해 "미래를 준비해 갈 수 있는 좋은 발판이 됐다"고 자평했습니다. 신 부장은 "자동차 업계가 SDV(소프트웨어 중심 차량) 방향성을 가지고 가는 상황에서 커넥티비티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부연했습니다.


온스타 시연이 끝난 뒤 GM 차주들이 궁금해했던 온스타가 국내에 늦게 출시된 이유를 물었습니다. 정세빈 부장은 "국내 적용은 다양한 비즈니스 상황에 맞는 부분을 고려하다 보니 조금 늦어졌지만 앞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 중"이라고 답했습니다.

향후 국내 온스타에 추가되는 기능에 대해선 "북미에서 서비스 중인 온스타 기능 중 어떤 것이 가장 한국 소비자들에게 우선순위가 될지 검토 중"이라면서 "GM 온스타 브랜드를 통해 GM의 새로운 기술들을 도입할 계획"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특히 원격 정지 기능에 대해 신 부장은 "도입을 검토했지만 실제로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는 결론과 국내 소비자 우선순위에서 밀린다는 판단이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실제 소비자들이 해당 기능의 필요성을 느낀다면 기술 도입에 속도를 내겠다"고 말했습니다. 온스타 서비스는 현재 2년의 무상기간이 제공됩니다.


쉐보레 트랙스 크로스오버는 한국GM(GM 한국사업장)의 실적을 이끌고 있습니다. 올해 1분기 트랙스 크로스오버는 미국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시장에서 약 40%의 압도적 점유율을 올렸습니다. 온스타 추가 등 상품성 강화에도 이전 모델과 가격이 동일한데요. 신형 트랙스의 가격은 LS 트림 2188만원, 액티브 트림 2821만원, RS 트림 2880만원입니다.



파주=신용현 한경닷컴 기자 yonghyun@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