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 불사' 트럼프에 세계 증시 쇼크

입력 2025-03-11 14:37   수정 2025-03-11 14:46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단순한 협상 도구가 아니라 미국 경제 체질을 바꾸기 위한 큰 그림이라는 게 알려지면서 세계 증시는 쇼크에 빠졌다. 그가 강한 미국 경제 재건을 위해서라면 경기 침체도 불사하겠다는 의지를 보이자 친시장적인 행보를 기대했던 세계 투자자들은 줄줄이 매도세에 동참했다.

10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727.90포인트(-4.00%) 급락한 17,468.33에 장을 마감했다. 2022년 9월 13일(-5.16%) 이후 2년 6개월 만에 최대 낙폭이다. 다우존스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890.01포인트(-2.08%) 내린 41,911.71에, S&P500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55.64포인트(-2.70%) 떨어진 5,614.56에 마감했다.

특히 뉴욕증시를 떠받치던 애플과 엔비디아, 테슬라 등 7개 대형 기술주를 뜻하는 매그니피센트 7의 시가총액이 하루 새 약 7700억 달러가 증발했다.

뉴욕증시의 매도세는 주말 사이 트럼프 대통령이 기업들의 미국 내 제조시설 건립을 위해서라면 경기 침체와 주가 하락을 감수하고도 관세 정책을 강행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내가 해야 할 일은 강력한 국가를 만드는 것”이라며 “주식시장을 너무 신경 써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촉발한 경기 침에 우려에 이날 뉴욕 유가도 1% 이상 하락 마감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근월물인 4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보다 1.01달러(1.51%) 떨어진 배럴당 66.03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5월 인도분은 전장보다 1.08달러(1.53%) 하락한 배럴당 69.28달러에 장을 마쳤다.

미국 증시 급락의 여파로 11일(현지시간) 아시아 주요 주가지수도 하락세를 보인다. 한국시간 오전 11시 45분 기준 일본 닛케이225 평균주가(닛케이·-1.74%)를 비롯해 국내 코스피(-1.50%), 대만 자취안 지수(-1.82%)가 일제히 하락 중이다.

한국시간 오전 11시 29분 기준 중국 본토의 상하이종합지수(-0.21%)와 상하이·선전증시 시가총액 상위 300개 종목으로 구성된 CSI 300 지수(-0.34%)도 내림세다.

뉴욕=박신영 특파원 nyusos@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