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60년대 한반도 끝자락 남해의 작은 마을. 태어날 때부터 어부의 삶을 살았던 곰치의 꿈은 ‘만선’이다. 이상 수온으로 근해에선 물고기가 씨가 마르고, 원양어선과 대규모 어업이 출현한 시기이자 전통적인 어업 방식을 고수하던 어민의 시름이 깊어지던 때였다. 객주의 횡포도 극에 달하던 상황에서 곰치는 풍랑 속에 뛰어든 어촌만의 파국을 상징한다.
‘만선’은 희극의 대가로 불리는 천승세 작가의 작품이다. 천 작가는 만선으로 제1회 한국연극영화예술상(현 백상예술대상)을 받았다. 기울어진 갑판처럼 기울어진 계급 관계가 상징적이지만 유려한 이야기 구성으로 극이 펼쳐진다.
바라는 건 만선뿐이던 순박한 어부 곰치는 평생 배를 타며 일밖에 모르고 살았다. 하지만 꿈에 그리던 만선으로 육지에 돌아왔어도 잡아들인 부서(보구치)는 모두 빚으로 넘어간다. 그의 배가 없었기 때문이다.
가난과 불안에 지친 아내 구포댁이 “어부 일을 그만두자”고 제안하며 곰치를 설득하지만 그는 아들과 함께 다시 한번 거친 바다로 나가고, 파도와 함께 불행이 곰치 가족을 덮친다.
1964년 처음 세상에 나온 만선은 환갑을 넘긴 작품이지만 진한 울림과 강렬한 메시지는 여전하다. 2020년 국립극단 70주년 기념작으로 각색해 다시 무대에 올려졌는데 이 과정에서 구포댁과 그의 딸인 슬슬이 등 주요 여성 캐릭터가 주체성을 지닌 인물로 각색돼 극의 몰입도를 높인 덕분이다.
아들 셋을 바다에서 잃은 후 ‘흑화’하는 구포댁은 원작보다 주체적이고 도전적인 모습으로 선보였다. 심재찬 연출은 “구포댁이 바뀌지 않으면 이 작품은 달라질 수 없었다”며 “운명에 순응하는 여인처럼 보이지 않길 바랐다”고 설명했다. 슬슬이 역시 미래를 약속한 사랑하는 사람을 바다에서 잃고 자신의 목소리를 낸다. 객주의 횡포에 휘말리지 않고 맞서는 슬슬이는 극의 갈등을 고조하는 주요 인물 중 하나로 묘사된다.
갑판을 형상화한 기울어진 무대에서 파도와 바람 소리가 어우러진 가운데 배우 김명수가 곰치 역, 정경순이 구포댁 역을 맡으며 극을 이끌었다. 중장년 원로 배우들의 단단한 연기와 쩌렁쩌렁한 발성이 110분간 극을 가득 채운다.
특히 후반부에 무대를 가득 적시는 폭풍우가 하이라이트다. 실제로 쏟아지는 5t 분량의 물줄기가 곰치와 구포댁뿐 아니라 관객까지 우울함에 젖게 한다. 오는 30일까지 서울 명동예술극장에서 상연된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