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벌그룹 '돈쌓기' 도 넘었다…유보율 사상 최고

입력 2013-04-28 05:50  

롯데 1만4천%, SK 5천900%, 포스코 2천400%, 삼성 2천200%신규투자 실종…전체 상장사 유보율도 900% 육박

세계 금융위기 이후 기업들이 내부 돈쌓기에만급급한 결과 10대 재벌그룹 계열 상장사의 유보율이 1천400%를 넘어섰다.

자본금의 14배가 넘는 돈을 투자하지 않고 곳간에 쌓아놓고 있는 셈이다.

28일 한국거래소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의 10대그룹 소속 12월 결산법인 69개사의 2012년도 유보율은 1천441.7%로 집계됐다.

2008년 말(923.9%)보다 무려 517.8%포인트나 증가한 것으로 사상 최고 수준이다.

잉여금을 자본금으로 나눈 비율인 유보율은 벌어들인 돈을 얼마나 사내에 쌓아놓고 있는지 나타내는 지표로 높으면 통상 재무구조가 탄탄한 것으로 본다.

하지만 투자 등 생산적 부분으로 돈이 흘러가지 않고 고여 있다는 부정적 의미도 있다.

10대 그룹 상장 계열사의 자본금은 28조1천100억원으로 2008년 말 당시 10대 그룹 상장사들의 자본금(25조4천960억원)보다 10.3% 늘어나는데 그쳤지만 잉여금은 같은 기간 235조5천589억원에서 405조2천484억원으로 72.0% 급증했다.

그룹별로는 롯데의 유보율이 1만4천208%로 가장 높았고, 이어 SK(5천925%), 포스코(2천410%), 삼성(2천276%), 현대중공업(2천178%), 현대차(2천84%) 등이 뒤를 따랐다.

유보율이 가장 낮은 그룹은 한화(568%)와 한진(589%)이었다.

전체 상장사 656곳의 유보율도 892.6%로 900%에 육박했다. 5년전 712.9%보다 179.7%포인트 높아진 것이다.

유보율이 가장 높은 기업은 한국타이어월드와이드로 무려 4만5천370%다. 3만%대는 태광산업[003240]과 SK텔레콤[017670], 2만%대는 롯데칠성음료와 롯데제과다.

남양유업과 영풍[000670], SK C&C, NHN[035420], 엔씨소프트[036570]의 유보율은 1만%대였고 삼성전자[005930]의 유보율도 1만2천224%에 달했다.

유보율이 2천%를 넘는 기업은 총 127개(19.3%)로 집계됐다.

김윤기 대신경제연구소 거시분석실장은 "대내외적 여건상 기업들이 투자를 적극할 상황이 아니다"라며 "이대로라면 한국경제의 중장기 성장 경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그는 "정부가 투자 활성화를 위해 규제 완화 등 지원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김학균 KDB대우증권 투자전략팀장은 "지난 이명박 정부가 대놓고 밀어줬을 때도 기업들은 투자를 하지 않았다"면서 "딱히 투자할 데가 없다는 것이 가장 큰문제인 만큼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는 것이 시급하다"고 역설했다.

hwangch@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