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국채發 위기에 금융시장 요동

입력 2013-05-28 11:01  

회의론 고개…아베노믹스 '기우뚱'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이끄는 '아베노믹스' 출범 이후 일본 주식·채권·외환 시장이 요동을 치고 있다.

아베노믹스의 실효성과 미래에 대한 의심이 국채 금리 상승으로 표면화하자 주가와 환율이 뒤따라 롤러코스터를 타고 있다.

28일 오전 닛케이 평균주가(닛케이 225 지수)는 14,000 아래인 13,943.62에 하락 개장했다가 오전 10시를 전후로 14,100∼14,200대를 오르내리며 불안정한 모습을이어가고 있다.

불과 며칠 전까지만 해도 일본 증시는 파죽지세였다.

민주당 정권의 국회 해산 선언이라는 전환점을 맞은 지난해 11월 14일 8,664.74였던 닛케이 225 지수는 이틀 만에 9,000 선을 상향 돌파했으며 해가 저물기 전에 10,000도 가볍게 넘겼다.

15,000 돌파도 오래 걸리지 않았다. 이달 15일 5년4개월 만에 15,000 선을 넘었다. 6개월 만에 70% 이상 급등한 것이다.

일본 주식시장 활황의 1차적 원인은 일본은행의 대대적인 양적 완화에 있다.

일본은행은 ƈ년 내 물가 2% 상승' 목표를 세우고 전례 없는 통화 공급에 나섰다.

역사상 여러 차례 반복됐듯이 시중에 풀린 돈은 실물경제에 닿기도 전에 증권을비롯한 자산시장으로 먼저 흘러들었다.

또 아베노믹스의 부산물인 엔화 약세가 이어져 경기가 활성화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팽배했고 이는 외국인 투자자들을 불러모았다.

지난해 11월 14일 달러당 79.91엔(도쿄 종가)이었던 엔화 환율은 1월 초 달러당90엔대로 급상승했다.

미국 경제 회복에 대한 기대감에 따른 달러화 강세와 만난 달러-엔 환율은 이달10일 100엔을 상향 돌파했다.

그러나 일본 금융시장의 거품에 대한 우려가 곧 고개를 들었고 이는 아베노믹스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으로 이어졌다.

불안감은 일본 국채 시장에서 먼저 가시화했다.

구로다 하루히코 일본은행 총재의 취임 전날인 3월 19일 0.60%였던 10년 만기국채 금리는 지난달 초 일본은행의 양적완화 조치 발표 직후 한때 사상 최저치인 0.

315%까지 떨어졌다.

하지만 일본 정부가 목표로 내건 물가 상승 실현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위험자산 투자가 늘어나자 금리는 급등했다.

이달 23일에는 한때 1%를 찍었고 27일에도 0.825%의 높은 금리를 유지했다.

국채 금리 상승은 상당한 수준으로 국채를 매입하고 있는 일본 정부 재정에 대한 우려를 높였다.

금리 상승에 따른 불안정성은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가능성과 맞물려 일본 주식시장에 반영됐다.

22일 15,627.26였던 닛케이 지수는 23일 중국 경제지표의 하락을 빌미로 7.3%폭락했다.

아베노믹스 초기 경기 개선에 대한 이른 기대감으로 팽창했던 시장이 거품 가능성을 의심하기 시작하자 곤두박질친 것.

외환시장도 바로 반응해 이달 중순 103엔대에 도달했던 엔화는 27일 100엔대까지 도로 내려갔다.

엔화 가치 절상에 대한 우려는 다시 증시에 부메랑이 돼 돌아갔다.

일본 주식시장은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높아지자 급등락이 계속되며 흔들리고 있다.

히로키 다카시 모넥스 수석 전략가는 "시장 참여자들은 단기간의 불확실성을 경계하므로 취약한 시장이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롤러코스터를 타고 있는 일본 금융시장을 진정시켜야 하는 과제를 아베 내각이어떤 식으로 풀어갈지 세계 경제가 주목하고 있다.

일 정부의 재정 자문단은 27일 보고서에서 "정부가 재정 개혁에 구체적인 성과를 내지 못한다면 일본은행의 향후 2년간 대대적인 채권 매입은 부채 양산으로 여겨질 것이며, 그에 따라 금리 급상승과 양적완화 효과 약화가 일어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특히 아베노믹스의 실효성 자체에 대한 회의감을 표시하는 시장 전문가들이 늘고 있다.

CNBC에 따르면 그레이엄 맥스턴 로마클럽 선임연구원은 빚을 늘려 인플레이션을일으키려는 아베노믹스를 '완전히 제정신이 아닌' 정책으로 표현하면서 "대체 왜 일본이 성장이 필요한가"라고 반문했다.

그는 일본을 "타당하게 안정적이고 사람들도 잘살고 있으며 실업률도 낮은 나라"라며 "성장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채 비율을 고쳐주지 못하고 인구 고령화 문제도 있는데, 이런 특징을 가진 나라가 성장을 해야 한다고 말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꼬집었다.

cherora@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