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 재계 순위 40위권 밖으로…금융계열 지켜낼까>(종합2보)

입력 2015-01-22 11:01  

<<동부그룹의 공정자산 규모 등 수치 정정과 일부 내용 보완.>>

국내 재계 순위 18위의 동부그룹이 매각 등으로 비금융 계열사를 대다수 떼어내면서, 대기업집단에서 제외돼 재계순위 40∼50위권 밖으로 밀려날 가능성이 커졌다.

동부그룹은 비금융 계열사를 70% 가까이 잃고 동부화재[005830]를 중심으로 종합금융사로 변신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김준기 회장 일가가 1조원 규모의 보유상장 주식을 상당수 담보로 잡힌 데다 동부인베스트먼트(DBI) 지원 등으로 밑 빠진독에 물 붓기 식의 상황에 처해 금융 계열사마저 지킬 수 있을지 주목된다.

◇ 동부그룹, 금융계열만 남으면 대기업집단서 빠질 듯 22일 금융당국과 금융투자업계 등에 따르면 재계 순위 18위인 동부그룹은 금융계열사만 남게 되면 올해 대기업집단에서 제외될 가능성도 있다. 이렇게 되면 재계순위로 보면 40위권 밖으로 밀려날 수 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매년 공정 자산 5조원 이상인 그룹(공기업 제외)을 대기업 집단으로 선정한다. 작년 4월 지정된 민간 대기업집단 수는 49개였다.

동부그룹의 공정 자산은 작년에 17조7천89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주요비금융 계열사를 뺀 금융계열사의 공정 자산 규모는 4조1천790억원으로, 5조원을 밑돈다. 동부대우전자(8천900억원)와 동부팜한농(1조2천억원) 등을 합쳐도 7조원대에그친다.

동부그룹의 한 관계자는 "주력 계열사인 동부제철과 동부건설[005960], 두 회사가 보유한 자회사 자산까지 모두 잃었다"며 "비금융계열사의 60∼70%가 무너져 주력사업인 건설·물류, 철강, 금융 등 3대 부문에서 금융만 남았다"고 말했다.

동부그룹은 지난 1년여간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진행했다. 2013년 11월 2조7천억원 규모의 자구계획을 발표하고선 시장에 내놓은 매각 대상 자산을 상당수 처분하거나 매각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동부건설은 작년 말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해 추후 매각 절차를 밟을것으로 관측된다. 동부그룹의 '모태기업'인 동부건설은 회사채와 차입금을 상환하며버텼지만, 결국 운영자금 압박을 이기지 못했다.

주력 계열사였던 동부제철은 채권단과 자율협약 체제로 들어가 경영정상화 이행계획 약정을 체결한 상태다.

동부발전당진은 작년에 SK가스로, 동부특수강은 현대제철[004020] 등 현대차그룹 3개사 컨소시엄에 각각 넘어갔다.

동부CNI[012030]도 IT부문을 900억원에 매각했고, 전자재료사업 부문 매각을 추진 중이다. 동부하이텍[000990]과 동부로봇[090710] 역시 매각을 추진하고 있으며,동부메탈은 2016년까지 매각해야 한다.

◇ 동부그룹, 종합금융사로 변신도 '산 넘어 산' 이런 상황에서 동부그룹은 금융계열사를 중심으로 회사를 재편하려는 움직임을보여 주목된다.

동부화재는 지난 19일 동부캐피탈 지분 49.98%에 대한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로선정됐다.

동부화재는 금융계열사 동부생명의 지분 99.84%, 동부증권 지분 19.92%, 동부캐피탈 지분 10%를 보유하고 있다.

또 동부증권이 동부자산운용의 지분 55.33%, 동부저축은행의 지분 49.98%를 갖고 있다.

따라서 동부화재가 동부제철이 내놓은 동부캐피털의 지분 49.98%를 취득하면 금융지주사로 변신을 꿈꿀 수 있다.

이신영 HMC투자증권 연구원은 "동부그룹은 동부화재를 주축으로 아래에 증권,저축, 생명 등 금융계열사를 정리하는 모양새"라고 언급했다.

김준기 동부그룹 회장이 채권단의 요구에도 일가가 보유한 동부화재 지분을 내놓지 않은 것도 금융지주사로 회사를 이끌어 가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그러나 김 회장 일가가 보유한 동부화재 지분 대다수가 담보로 잡혀 동부그룹의금융지주회사로의 제2의 도약을 실현하기까지 적지 않은 진통이 예상된다. 또 김 회장이 동부하이텍 재무 지원을 위해 설립한 동부인베스트먼트(DBI)도 담보 가치 보강을 위해 유상증자 등 추가 유동성이 수혈되고 있다.

김상조 경제개혁연대 소장(한성대 무역학과 교수)은 "오너 일가의 금융계열사지배력에 당분간 큰 문제가 생기지는 않겠지만, 한국 경제의 불안정성이 가시화되면가장 먼저 충격 받는 부문이 금융 쪽임을 염두에 둬야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돈을 빌려 지분을 유지한다고 해서 경영권을 계속 확보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사업 포틀폴리오의 전망을 냉정하게 평가하고, 적극적으로 구조조정 노력을 하는 것만이 경영권을 유지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일각에선 담보 제공에도 김 회장 일가가 동부화재 지키기에 문제가 없다는 시각도 있다.

금융감독당국 관계자는 "동부화재 주식이 어려운 계열사를 지원하려고 담보로잡힌 게 아닌데다, 주식 중 동부문화재단 등 (김 회장 일가의) 우호 지분이 많다"며"주식 담보가 경영권 유지에 방해가 된다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indigo@yna.co.kr, ykbae@yna.co.kr, gogogo@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