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대비로는 0.1% 성장했지만 전년 동기대비로는 작년 1분기 5.5%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성장세가 작년 4분기 -5.1%에서 1분기에는 0.1% 증가로 전환됐다.
시중에서는 경기저점 통과로 해석될 수도 있겠지만 순환변동치를 보면 우리 경기는 작년 2분기 이후 수축 국면이 아직 이어지고 있다고 보고 있다.
다만 작년 4분기 급속히 악화된 경기 하강세가 완화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0.1% 미약한 성장세로 돌아선 배경은 생산 측면에서 건설, 서비스업이 성장세로 돌아섰다. 내수 산업이 성장을 이끌었다고 볼 수 있다. 정부 소비, 건설투자의 성장 기여도가 1.6% 이상으로 나타났다.
1분기 중 교역조건이 상당히 개선됐다.
수출 단가 하락폭이 둔화됐지만 원유 등 국제 원자재 가격이 큰 폭 하락하면서 교역조건이 개선됐다. 앞으로도 큰 이변이 없는 한 지속될 것으로 보여 다음 분기에는 실질 GDI가 플러스 전환될 것으로 전망한다.
Q> 당초 0.2% 증가 전망했는데?
A> 조사국 전망이었는데, 0.2%나 0.1%는 큰 차이 없고 추세는 같다고 볼 수 있다.
성장세가 작년 4분기 -5.1%에서 1분기에는 0.1% 증가로 전환됐다.
시중에서는 경기저점 통과로 해석될 수도 있겠지만 순환변동치를 보면 우리 경기는 작년 2분기 이후 수축 국면이 아직 이어지고 있다고 보고 있다.
다만 작년 4분기 급속히 악화된 경기 하강세가 완화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0.1% 미약한 성장세로 돌아선 배경은 생산 측면에서 건설, 서비스업이 성장세로 돌아섰다. 내수 산업이 성장을 이끌었다고 볼 수 있다. 정부 소비, 건설투자의 성장 기여도가 1.6% 이상으로 나타났다.
1분기 중 교역조건이 상당히 개선됐다.
수출 단가 하락폭이 둔화됐지만 원유 등 국제 원자재 가격이 큰 폭 하락하면서 교역조건이 개선됐다. 앞으로도 큰 이변이 없는 한 지속될 것으로 보여 다음 분기에는 실질 GDI가 플러스 전환될 것으로 전망한다.
Q> 당초 0.2% 증가 전망했는데?
A> 조사국 전망이었는데, 0.2%나 0.1%는 큰 차이 없고 추세는 같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