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수도권 교통난을 덜어줄 것으로 기대되는 GTX, 즉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사업이 내년 착공을 목표로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GTX가 말 그대로 ''수도권의 교통혁명''으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연계된 교통체계 구축이 가장 시급한 사안으로 꼽힙니다.
보도에 이준호 기자입니다.
<기자>
시속 200km의 빠른 속도로 수도권 곳곳을 1시간대 생활권으로 연결시켜 줄 GTX 광역급행철도.
내년 착공을 시작해 오는 2016년에 3개 노선을 동시에 개통하는 방안이 현재 국토해양부의 타당성 검토를 받고 있습니다.
<인터뷰-김문수 경기도지사>
"GTX는 정부에서 마지막 검토단계에 들어가 조만간 발표된다..GTX가 빨리 되어야만 한국 철도가 세계 최고속, 최첨단 광역 지하 급행철도를 갖게 된다."
다만 GTX가 빠르고 편리한 교통수단이라고 해도 이용자의 역 접근성이 떨어질 경우 외면받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실제로 교통이 불편한 KTX 광명역의 경우 하루평균 이용자가 6천500명에 그치며 ''승객 없는 역사''라는 오명을 받고 있습니다.
<인터뷰-정병현 우송대학교 교수>
"GTX는 일본의 도시역 개발사례를 참고해서 미리 역 정비와 연계 환승체계 등이 동시에 이뤄져야만 승객들의 수요를 흡수 할 수 있을 것"
이에 경기도는 GTX 역을 중심으로 거미줄처럼 연계된 교통망을 구축하는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습니다.
우선 GTX 이용객들의 도시 내 통행시간을 줄이고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연계권 정비방안이 최우선적으로 논의됩니다.
여기에 GTX 역사에 오는 이용객이 편리하기 환승할 수 있는 환승권 정비방안도 함께 마련됩니다.
<인터뷰-서상교 경기도 녹색철도본부장>
"역에 접근하기 위해서 30분이 걸리고 GTX도 30분이 소요되면 문제가 된다..역을 중심으로 한 각종 지하철과 연계버스, 도로계획 등을 동시에 검토하고 있다."
GTX가 철도에 대한 고정관념을 넘어 수도권의 새로운 대중교통 수단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집니다.
WOW-TV NEWS 이준호입니다.
수도권 교통난을 덜어줄 것으로 기대되는 GTX, 즉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사업이 내년 착공을 목표로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GTX가 말 그대로 ''수도권의 교통혁명''으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연계된 교통체계 구축이 가장 시급한 사안으로 꼽힙니다.
보도에 이준호 기자입니다.
<기자>
시속 200km의 빠른 속도로 수도권 곳곳을 1시간대 생활권으로 연결시켜 줄 GTX 광역급행철도.
내년 착공을 시작해 오는 2016년에 3개 노선을 동시에 개통하는 방안이 현재 국토해양부의 타당성 검토를 받고 있습니다.
<인터뷰-김문수 경기도지사>
"GTX는 정부에서 마지막 검토단계에 들어가 조만간 발표된다..GTX가 빨리 되어야만 한국 철도가 세계 최고속, 최첨단 광역 지하 급행철도를 갖게 된다."
다만 GTX가 빠르고 편리한 교통수단이라고 해도 이용자의 역 접근성이 떨어질 경우 외면받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실제로 교통이 불편한 KTX 광명역의 경우 하루평균 이용자가 6천500명에 그치며 ''승객 없는 역사''라는 오명을 받고 있습니다.
<인터뷰-정병현 우송대학교 교수>
"GTX는 일본의 도시역 개발사례를 참고해서 미리 역 정비와 연계 환승체계 등이 동시에 이뤄져야만 승객들의 수요를 흡수 할 수 있을 것"
이에 경기도는 GTX 역을 중심으로 거미줄처럼 연계된 교통망을 구축하는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습니다.
우선 GTX 이용객들의 도시 내 통행시간을 줄이고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연계권 정비방안이 최우선적으로 논의됩니다.
여기에 GTX 역사에 오는 이용객이 편리하기 환승할 수 있는 환승권 정비방안도 함께 마련됩니다.
<인터뷰-서상교 경기도 녹색철도본부장>
"역에 접근하기 위해서 30분이 걸리고 GTX도 30분이 소요되면 문제가 된다..역을 중심으로 한 각종 지하철과 연계버스, 도로계획 등을 동시에 검토하고 있다."
GTX가 철도에 대한 고정관념을 넘어 수도권의 새로운 대중교통 수단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집니다.
WOW-TV NEWS 이준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