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1>예. 2차전지 육성안에 대한 리포트를 들어봤는데.
하반기 들어서 나온 첫 대규모 국책프로젝트라고 볼수 있는데요
취재기자와 자세한 내용 짚어보겠습니다.
김호성 기자 나왔습니다.
일단 내일 열린 녹색성장위 보고대회의 주 내용부터 정리해 볼까요?
<기자1>
우선 2차전지 개념을 간단히 설명드리자면,
다시 충전해 사용할수 있는 전지를 뜻합니다.
사서 한번 쓰고 버리는 개념과 상반해 2차전지라고 부르고
전기자동차와 휴대폰 시장이 커지면서 2차전지 시장이 상당히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식경제부가 전망한 전세계 2차전지 시장은 올해만 123억달러, 원화로는 12조원 훨씬 웃도는 수준인데,
10년뒤 2020년에는 6~7배 수준인 779억달러대로 확대될 것으로 지경부는 전망했습니다.
이번 보고안의 핵심은 2차전지 소재분야와 전문인력 양성 등을 위해 기업과 정부가 공동으로 2020년까지 15조원을 투자한다는 것입니다.
투입한후 목표는 2020년까지 2차전지 생산을 세계 1위, 소재 국산화율을 75% 수준까지 끌어올린다는게 목표입니다.
업계에 따르면 국내 2차전지 R&D 투자규모는 미국의 55분의1에 그치고 있고,
일본의 11분의1, 독일의 5분의1에 불과하며, 원천기술 수준(일본=100 기준)은 30에 그친 실정으로 평가됩니다.
<앵커2>굵은 정책은 나왔는데 , 앞으로 있을 세부사항들에 대해 시청자 분들이 궁금해 하실듯한데요.
발표된 내용 이외에 추가로 취재된 내용이 있습니까?
<기자2>
취재결과 삼성SDI와 보쉬의 합작사2차전지 주요 소재 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소재는 대표적으로 2차전지 핵심소재 음극활물질 개발인데요.
기존 2차전지에 들어갔던 흑연을 대체할수 있는 소재라고 보시면 됩니다.
SB리모티브(삼성SDI-보쉬 합작)를 비롯한 대기업군과 중소기업이 공동으로 추진해 국책과제로 연결할 계획인것으로 알려집니다.
이처럼 2차전지 경쟁력 향상을 위해서는 앞으로 핵심 소재 개발에 집중될 것으로 보입니다.
15조원 중에서 소재 개발에만 4~5조원을 투입한다는 내일 보고 내용도 핵심 소재 기술력 향상에 대해 정부도 깊이 인지했다는 해석이 가능합니다.
이번 보고 내용 중에 눈여겨 봐야 할 대목이
2차전지 핵심소재군중 양극활물질, 음극활 물질, 그리고 전해질 등 핵심소재 개발에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참여를 유도하고 있습니다.
말씀드린대로 SB리모티브를 비롯한 대기업과 중소기업들이 음극활물질 등 주요소재 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고,
개발현황을 바탕으로 관련 국책사업 결과도 구체적으로 발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 말씀드린 핵심소재군에도 구체적인 기업과 추진사항 지원규모들이 이번 녹색성장위 보고 이후 쏟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3>예.
정리를 하자면 내일 이대통령 주재 녹색성장위에서 2차전지 경쟁력 강화를 위한 보고 뿐 아니라 기업들이 핵심소재 개발을 추진중이고 이를 연계한 세부 국책과제가 앞으로 발표될 것으로 예상이 된다는거죠.
2차전지 소재는 중국이 대부분 생산을 하면서 이에 대한 문제의식이 높아져 왔죠?
<기자3>
예. 2차전지의 핵심물질은 디스프로슘, 그리고 네오디뮴 등 희토류라는 소재군에 속하는 물질등인데요.
방금 말씀 드린 용어, 상당히 생소하실겁니다.
희귀 금속들이라고 이해하시면 되구요,
디스프로슘이나 네오디뮴 등은 2차전지에 쓰이는 양극과 음극을 일으키는 자석기능의 소재, 이렇게 설명을 드릴수 있습니다.
근데 이런물질의 90% 이상을 중국에서 생산하고,
최근 중국이 독점적 지위를 이요해 수출을 중단하거나 채굴량을 제한해 가격이 이런 희귀금속 가격이 올해 두배 이상 폭등했습니다.
앞으로 2차전지 시장이 커진다고 해도 이런 희귀금속이 부족한 우리나라로 보면 사실 중국에 의존할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만.
이번 2차전지 정부정책은 자원이 부족하긴 하지만 소재 가공능력을 위주로 원천기술을 확보한다면 경쟁력을 충분히 끌어올릴수 있다는 정부와기업들의 의지로 해석할수 있습니다.
<앵커> 김기자 수고했습니다.
하반기 들어서 나온 첫 대규모 국책프로젝트라고 볼수 있는데요
취재기자와 자세한 내용 짚어보겠습니다.
김호성 기자 나왔습니다.
일단 내일 열린 녹색성장위 보고대회의 주 내용부터 정리해 볼까요?
<기자1>
우선 2차전지 개념을 간단히 설명드리자면,
다시 충전해 사용할수 있는 전지를 뜻합니다.
사서 한번 쓰고 버리는 개념과 상반해 2차전지라고 부르고
전기자동차와 휴대폰 시장이 커지면서 2차전지 시장이 상당히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식경제부가 전망한 전세계 2차전지 시장은 올해만 123억달러, 원화로는 12조원 훨씬 웃도는 수준인데,
10년뒤 2020년에는 6~7배 수준인 779억달러대로 확대될 것으로 지경부는 전망했습니다.
이번 보고안의 핵심은 2차전지 소재분야와 전문인력 양성 등을 위해 기업과 정부가 공동으로 2020년까지 15조원을 투자한다는 것입니다.
투입한후 목표는 2020년까지 2차전지 생산을 세계 1위, 소재 국산화율을 75% 수준까지 끌어올린다는게 목표입니다.
업계에 따르면 국내 2차전지 R&D 투자규모는 미국의 55분의1에 그치고 있고,
일본의 11분의1, 독일의 5분의1에 불과하며, 원천기술 수준(일본=100 기준)은 30에 그친 실정으로 평가됩니다.
<앵커2>굵은 정책은 나왔는데 , 앞으로 있을 세부사항들에 대해 시청자 분들이 궁금해 하실듯한데요.
발표된 내용 이외에 추가로 취재된 내용이 있습니까?
<기자2>
취재결과 삼성SDI와 보쉬의 합작사2차전지 주요 소재 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소재는 대표적으로 2차전지 핵심소재 음극활물질 개발인데요.
기존 2차전지에 들어갔던 흑연을 대체할수 있는 소재라고 보시면 됩니다.
SB리모티브(삼성SDI-보쉬 합작)를 비롯한 대기업군과 중소기업이 공동으로 추진해 국책과제로 연결할 계획인것으로 알려집니다.
이처럼 2차전지 경쟁력 향상을 위해서는 앞으로 핵심 소재 개발에 집중될 것으로 보입니다.
15조원 중에서 소재 개발에만 4~5조원을 투입한다는 내일 보고 내용도 핵심 소재 기술력 향상에 대해 정부도 깊이 인지했다는 해석이 가능합니다.
이번 보고 내용 중에 눈여겨 봐야 할 대목이
2차전지 핵심소재군중 양극활물질, 음극활 물질, 그리고 전해질 등 핵심소재 개발에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참여를 유도하고 있습니다.
말씀드린대로 SB리모티브를 비롯한 대기업과 중소기업들이 음극활물질 등 주요소재 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고,
개발현황을 바탕으로 관련 국책사업 결과도 구체적으로 발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 말씀드린 핵심소재군에도 구체적인 기업과 추진사항 지원규모들이 이번 녹색성장위 보고 이후 쏟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3>예.
정리를 하자면 내일 이대통령 주재 녹색성장위에서 2차전지 경쟁력 강화를 위한 보고 뿐 아니라 기업들이 핵심소재 개발을 추진중이고 이를 연계한 세부 국책과제가 앞으로 발표될 것으로 예상이 된다는거죠.
2차전지 소재는 중국이 대부분 생산을 하면서 이에 대한 문제의식이 높아져 왔죠?
<기자3>
예. 2차전지의 핵심물질은 디스프로슘, 그리고 네오디뮴 등 희토류라는 소재군에 속하는 물질등인데요.
방금 말씀 드린 용어, 상당히 생소하실겁니다.
희귀 금속들이라고 이해하시면 되구요,
디스프로슘이나 네오디뮴 등은 2차전지에 쓰이는 양극과 음극을 일으키는 자석기능의 소재, 이렇게 설명을 드릴수 있습니다.
근데 이런물질의 90% 이상을 중국에서 생산하고,
최근 중국이 독점적 지위를 이요해 수출을 중단하거나 채굴량을 제한해 가격이 이런 희귀금속 가격이 올해 두배 이상 폭등했습니다.
앞으로 2차전지 시장이 커진다고 해도 이런 희귀금속이 부족한 우리나라로 보면 사실 중국에 의존할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만.
이번 2차전지 정부정책은 자원이 부족하긴 하지만 소재 가공능력을 위주로 원천기술을 확보한다면 경쟁력을 충분히 끌어올릴수 있다는 정부와기업들의 의지로 해석할수 있습니다.
<앵커> 김기자 수고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