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식펀드의 주간 수익률이 코스피 지수의 숨고르기 조정에도 불구하고 7주째 플러스(+)를 기록했다. 해외 주식펀드도 유동성과 양적 완화에 대한 기대로 7주째 상승세를 이어갔다.
16일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14일 오전 공시가 기준으로 국내 주식펀드는 한 주간 평균 0.44%의 수익을 냈다. 같은 기간 코스피지수는 0.06% 하락했다.
중소형주의 상대적 강세에 중소형주펀드(15개)가 1.89% 수익률로 가장 높은 성과를 낸 반면 외국인의 매도가 집중된 대형주 중심의 코스피200 추종 인덱스펀드(121개)는 -0.38% 손실을 냈다. 일반주식펀드(513개)는 0.50% 상승했고, 배당주식펀드(40개)는 0.37% 올랐다.
순자산액 100억원 이상, 운용 기간 1개월 이상인 국내 주식펀드 457개 중 346개 펀드가 코스피지수보다 높은 수익률을 냈고, 이 중 329개 펀드가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해외 주식펀드는 한 주간 2.84%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미국 등 주요 선진국의 유동성 자원과 양적 완화를 통한 부양 기대로 해외 주식펀드는 7주째 상승 흐름을 유지했다.
중국 주식펀드는 외환보유고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 정부의 긴축정책에도 경기 회복이 지속될 것이라는 기대로 4.12%의 수익률을 내면서 해외 주식형펀드 중 가장좋은 성과를 올렸다.
특히 중국 본토펀드가 가장 성과가 뛰어났다. 반면 일본 주식펀드와 인도 주식펀드는 각각 -0.65%와 -0.23%의 손실을 냈다.
채권 펀드는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동결한데 따른 금리 폭락에 초강세를 보였다.
중기 채권 펀드가 0.60% 수익률을 기록하며 가장 좋은 성과를 보였다. 우량채권 펀드와 하이일드채권펀드도 각각 0.44%, 0.29%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금리 변동에 상대적으로 둔감한 초단기 채권펀드는 0.12% 상승하는데 그쳤다.
일반주식혼합펀드 75개는 0.42%, 일반채권혼합펀드 229개는 0.40% 수익을 냈다.
16일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14일 오전 공시가 기준으로 국내 주식펀드는 한 주간 평균 0.44%의 수익을 냈다. 같은 기간 코스피지수는 0.06% 하락했다.
중소형주의 상대적 강세에 중소형주펀드(15개)가 1.89% 수익률로 가장 높은 성과를 낸 반면 외국인의 매도가 집중된 대형주 중심의 코스피200 추종 인덱스펀드(121개)는 -0.38% 손실을 냈다. 일반주식펀드(513개)는 0.50% 상승했고, 배당주식펀드(40개)는 0.37% 올랐다.
순자산액 100억원 이상, 운용 기간 1개월 이상인 국내 주식펀드 457개 중 346개 펀드가 코스피지수보다 높은 수익률을 냈고, 이 중 329개 펀드가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해외 주식펀드는 한 주간 2.84%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미국 등 주요 선진국의 유동성 자원과 양적 완화를 통한 부양 기대로 해외 주식펀드는 7주째 상승 흐름을 유지했다.
중국 주식펀드는 외환보유고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 정부의 긴축정책에도 경기 회복이 지속될 것이라는 기대로 4.12%의 수익률을 내면서 해외 주식형펀드 중 가장좋은 성과를 올렸다.
특히 중국 본토펀드가 가장 성과가 뛰어났다. 반면 일본 주식펀드와 인도 주식펀드는 각각 -0.65%와 -0.23%의 손실을 냈다.
채권 펀드는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동결한데 따른 금리 폭락에 초강세를 보였다.
중기 채권 펀드가 0.60% 수익률을 기록하며 가장 좋은 성과를 보였다. 우량채권 펀드와 하이일드채권펀드도 각각 0.44%, 0.29%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금리 변동에 상대적으로 둔감한 초단기 채권펀드는 0.12% 상승하는데 그쳤다.
일반주식혼합펀드 75개는 0.42%, 일반채권혼합펀드 229개는 0.40% 수익을 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