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점업계가 11월에 두 달 째 두자릿수의 매출 증가세를 이어갔다.
지식경제부는 주요 백화점과 대형마트 각 3개 업체의 11월 매출을 집계한 결과, 백화점 매출은 추위 때문에 의류가 잘 팔리면서 작년 같은 달에 비해 10.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백화점업계는 10월에도 13.3%의 매출 증가율을 기록했었다.
반면 대형마트는 LCD TV, 김치냉장고, 난방가전의 판매 저조로 1.7% 증가하는 데 그쳤다.
상품별 매출 동향을 보면 백화점의 경우 전체 매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의류 부문이 아동ㆍ스포츠 17.3%, 모피 등 여성정장 9.8%, 여성캐주얼 9.6%의 증가율을 보이며 증가세를 이끌었다.
특히 명품 브랜드 매출도 10월에 이어 2개월 연속 두자릿수(11.9%) 증가율로 판매 호조에 기여했다.
그러나 대형마트에선 매출 비중이 전체의 절반에 육박하는 식품 분야가 5.8% 증가하는 데 그치고, LCD TV, 김치냉장고, 난방가전 등 ''가전ㆍ문화'' 분야로 분류되는 제품군 매출은 15.3%나 감소했다.
가전ㆍ문화 분야의 매출 하락은 양판점 및 온라인쇼핑의 확장으로 일부 영향을 받은 결과라고 지경부는 분석했다.
한편, 백화점에서의 구매 건수와 1인당 구매 단가(8만8천2원)는 각각 4.7%, 5.1% 증가한 반면 대형마트의 경우 구매 건수는 3.6% 늘었지만 1인당 구매 단가(4만2천931원)는 1.8% 낮아졌다.
지식경제부는 주요 백화점과 대형마트 각 3개 업체의 11월 매출을 집계한 결과, 백화점 매출은 추위 때문에 의류가 잘 팔리면서 작년 같은 달에 비해 10.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백화점업계는 10월에도 13.3%의 매출 증가율을 기록했었다.
반면 대형마트는 LCD TV, 김치냉장고, 난방가전의 판매 저조로 1.7% 증가하는 데 그쳤다.
상품별 매출 동향을 보면 백화점의 경우 전체 매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의류 부문이 아동ㆍ스포츠 17.3%, 모피 등 여성정장 9.8%, 여성캐주얼 9.6%의 증가율을 보이며 증가세를 이끌었다.
특히 명품 브랜드 매출도 10월에 이어 2개월 연속 두자릿수(11.9%) 증가율로 판매 호조에 기여했다.
그러나 대형마트에선 매출 비중이 전체의 절반에 육박하는 식품 분야가 5.8% 증가하는 데 그치고, LCD TV, 김치냉장고, 난방가전 등 ''가전ㆍ문화'' 분야로 분류되는 제품군 매출은 15.3%나 감소했다.
가전ㆍ문화 분야의 매출 하락은 양판점 및 온라인쇼핑의 확장으로 일부 영향을 받은 결과라고 지경부는 분석했다.
한편, 백화점에서의 구매 건수와 1인당 구매 단가(8만8천2원)는 각각 4.7%, 5.1% 증가한 반면 대형마트의 경우 구매 건수는 3.6% 늘었지만 1인당 구매 단가(4만2천931원)는 1.8% 낮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