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경제연구소 구본관 수석연구원은 30일 `동일본 대지진의 경제적 영향과 전망'' 보고서에서 "지진에 따른 재산 피해액이 1995년 고베 대지진의 최대 2.5배에 달하는 16조~25조엔에 이를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집중 피해지역인 미야기(宮城), 이와테(岩手), 후쿠시마(福島) 등 3개 현의 피해액은 최대 23조엔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구 연구원은 올해 일본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지진피해가 없었을 때보다 0.4~0.6%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피해복구 투자로 경제성장률이 0.7~1.1%포인트 상승하는 효과가 있겠지만, 생산설비 파손, 부품공급 차질, 전력난 등 생산 손실로 1.3~1.5%포인트 감소가 예상된다는 것이다.
더욱이 방사능 유출 문제가 장기화될 경우 직간접적인 GDP 감소 효과는 측정하기 어려울 정도로 커질 수 있다.
구 연구원은 "이미 일본은 GDP의 200%가 넘는 정부부채를 보유하고 있어 국가 신용등급이 하락해 있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발생한 피해복구 비용은 일본의 재정 부실화를 가속하고 정부의 정책운용을 어렵게 만들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 "지진 등 환경 리스크가 커짐에 따라 일본 기업은 물론 해외기업의 일본에 대한 투자심리가 위축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중장기적으로 지진 피해는 일본의 성장 모멘텀을 약화시켜 복구 투자가 종료되는 2015년 이후에는 일본 경제성장률이 1% 미만 수준으로 하락할 수 있다.
지진으로 인한 엔.달러 환율은 단기적으로는 80~82엔대에서 등락을 반복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증폭시킬 전망이다.
이는 일본과 강한 수직적 분업관계를 맺고 있는 한국 경제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수출이 1% 증가하면 대(對) 일본수입이 0.95% 증가하는 등 일본에 부품·소재 등 중간재 수입을 크게 의존하고 있다.
구 연구원은 "엔화가치 급변동에 따른 환율 변동성 확대는 경영환경의 불확실성을 높여 채산성 악화, 수출 둔화, 물가 상승 등을 가져올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