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창의적 과학기술 인재를 체계적으로 양성하고 과학기술자들이 연구에 몰입할 수 있도록 올해 과학기술인재 육성에 2조5천36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교육과학기술부는 1일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운영위에서 `제2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2011~2015년)` 가운데 이같은 내용의 올해 시행계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초·중등 △대학(원)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 △기업 △인프라 등 5개 분야에서 15대 중점 추진과제, 97개 세부사업을 선정하고 여기에 지원을 집중할 방침이다.
우선 초·중등 분야에서는 미래형 과학예술융합교육(STEAM) 강화 차원에서 2014년부터 적용될 교과개편을 올해 공시하고, 새 과학예술영재학교도 시범 지정한다.
올해말 초증등교육법·교육공무원법이 개정되는대로 이공계 석·박사를 교장·교사로 활용하는 방안도 추진되며, 지난해 1천150개였던 과학영재교육 기관 수를 올해 1천250개까지 늘릴 계획이다.
대학(원) 분야의 경우 선택과 집중을 통해 연구중심대학 육성에 박차를 가한다. WCU(세계수준 연구중심 대학), BK21(두뇌한국) 사업 등으로 분산된 대학원 재정지원사업을 WCU와 GPS 시스템으로 정리해 2015년까지 초일류대 3개를 포함, 연구중심대학 10개를 육성한다는 목표다. GPS 시스템은 학부에서 국가과학자에 이르기까지 우수 과학기술 인재의 경력을 단계별로 관리해 끊임없이 학업과 연구에만 몰입할 수 있도록 국가가 지원하는 제도를 말한다.
GPS 시스템 활성화 차원에서 올해 글로벌 박사 펠로십 300명과 대통령 박사후 연구자(포스트닥) 15명을 선발한다. 연구·개발(R&D)비와 함께 대학에 지원되는 간접비 비율도 기존 29%에서 올해 33%까지 높이고 대학측의 자율적 집행권을 키워준다.
출연연과 관련해서는, 기존 `프로젝트 기반 연구비지원제도(PBS)` 개선 차원에서 연구기관 인건비 가운데 정부 지원 비중을 70%까지 확대한다. 우수 연구자의 정년을 선별적으로 만 61세에서 만 65세로 연장하고 퇴직 후 연장근무제 적용 대상자도 105명에서 121명으로 늘린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과학벨트)에서 연구할 인력 3천여명도 올해부터 2017년까지 육성한다.
기업 측면에서는 산업단지캠퍼스 3개를 선정, 15개 산학융합연구실을 설치해 대학과 기업이 함께 석·박사 과정을 운영하고, 방송통신 융합기술 인력(500명)과 차세대모바일 전문인력(450명) 양성 작업도 시작한다.
인프라 분야의 경우 WCU 사업을 통한 해외 우수학자 유치 규모를 올해 1천194명(2010년 907명)까지, 정부초청장학사업(GSK)을 통해 국내로 불러들이는 외국인 이공계 유학생(석·박사 포함)도 9만명(2010년 8만3천명)까지 늘리는 방안 등이 중점 과제로 추진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1일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운영위에서 `제2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2011~2015년)` 가운데 이같은 내용의 올해 시행계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초·중등 △대학(원)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 △기업 △인프라 등 5개 분야에서 15대 중점 추진과제, 97개 세부사업을 선정하고 여기에 지원을 집중할 방침이다.
우선 초·중등 분야에서는 미래형 과학예술융합교육(STEAM) 강화 차원에서 2014년부터 적용될 교과개편을 올해 공시하고, 새 과학예술영재학교도 시범 지정한다.
올해말 초증등교육법·교육공무원법이 개정되는대로 이공계 석·박사를 교장·교사로 활용하는 방안도 추진되며, 지난해 1천150개였던 과학영재교육 기관 수를 올해 1천250개까지 늘릴 계획이다.
대학(원) 분야의 경우 선택과 집중을 통해 연구중심대학 육성에 박차를 가한다. WCU(세계수준 연구중심 대학), BK21(두뇌한국) 사업 등으로 분산된 대학원 재정지원사업을 WCU와 GPS 시스템으로 정리해 2015년까지 초일류대 3개를 포함, 연구중심대학 10개를 육성한다는 목표다. GPS 시스템은 학부에서 국가과학자에 이르기까지 우수 과학기술 인재의 경력을 단계별로 관리해 끊임없이 학업과 연구에만 몰입할 수 있도록 국가가 지원하는 제도를 말한다.
GPS 시스템 활성화 차원에서 올해 글로벌 박사 펠로십 300명과 대통령 박사후 연구자(포스트닥) 15명을 선발한다. 연구·개발(R&D)비와 함께 대학에 지원되는 간접비 비율도 기존 29%에서 올해 33%까지 높이고 대학측의 자율적 집행권을 키워준다.
출연연과 관련해서는, 기존 `프로젝트 기반 연구비지원제도(PBS)` 개선 차원에서 연구기관 인건비 가운데 정부 지원 비중을 70%까지 확대한다. 우수 연구자의 정년을 선별적으로 만 61세에서 만 65세로 연장하고 퇴직 후 연장근무제 적용 대상자도 105명에서 121명으로 늘린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과학벨트)에서 연구할 인력 3천여명도 올해부터 2017년까지 육성한다.
기업 측면에서는 산업단지캠퍼스 3개를 선정, 15개 산학융합연구실을 설치해 대학과 기업이 함께 석·박사 과정을 운영하고, 방송통신 융합기술 인력(500명)과 차세대모바일 전문인력(450명) 양성 작업도 시작한다.
인프라 분야의 경우 WCU 사업을 통한 해외 우수학자 유치 규모를 올해 1천194명(2010년 907명)까지, 정부초청장학사업(GSK)을 통해 국내로 불러들이는 외국인 이공계 유학생(석·박사 포함)도 9만명(2010년 8만3천명)까지 늘리는 방안 등이 중점 과제로 추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