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노총각은 옛말이 됐다.
9일 한국인구학회가 통계청의 의뢰로 작성한 `2010 인구주택 총조사 전수결과 심층분석을 위한 연구`에서 남성의 초혼 연령은 1990년 27.9세에서 2010년 31.8세로 3.9세나 늦춰졌다.
여성이 첫 결혼을 하는 나이는 같은 기간 24.8세에서 28.9세로 4.1세 많아졌다.
외환위기가 발생한 1997년을 기점으로 초혼 연령 증가 폭이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처음 결혼하는 나이가 늦어짐에 따라 연령별 미혼 비율 역시 증가했다.
30~35세 미혼 여성은 1995년엔 6.2%로 소수였지만 2010년에는 28.5%로 세를 불렸다.
상대적으로 결혼이 늦은 남성은 30~34세에 미혼 비율이 1995년 18.6%였으나 2010년엔 절반가량인 49.8%로 급증했다.
35~39세 남성은 2010년 현재 4명 중 1명은 결혼하지 않았다. 15년 전엔 이 연령대 미혼이 6.1%에 그쳤다.
예전이라면 대부분이 배우자가 있을 나이대인 40대에서도 독신 비율이 크게 늘었다.
40~44세 남성 중 미혼인 이들이 1995년엔 2.6%에 불과했으나 2010년엔 14.8%로 그 비율이 2.5배로 증가했다. 40대 초중반 7명 중 1명은 노총각인 셈이다.
45~49세 중 독신인 비율 역시 1995년 1.2%에서 2010년 8.2%로 급증했다.
고령 노처녀는 상대적으로 소수였다. 45~49세 여성 중 미혼인 비율은 1995년 1.1%였고, 2010년에도 3.3%에 불과했다.
이혼율은 가파르게 오르다가 2003년 이후 하향 안정되는 추세였다.
이혼하는 시기도 늦어졌다. 평균 이혼연령이 여성은 2000년 36.5세에서 2010년 41.4세로, 남성은 2000년 40.1세에서 2010년 45세로 높아졌다.
9일 한국인구학회가 통계청의 의뢰로 작성한 `2010 인구주택 총조사 전수결과 심층분석을 위한 연구`에서 남성의 초혼 연령은 1990년 27.9세에서 2010년 31.8세로 3.9세나 늦춰졌다.
여성이 첫 결혼을 하는 나이는 같은 기간 24.8세에서 28.9세로 4.1세 많아졌다.
외환위기가 발생한 1997년을 기점으로 초혼 연령 증가 폭이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처음 결혼하는 나이가 늦어짐에 따라 연령별 미혼 비율 역시 증가했다.
30~35세 미혼 여성은 1995년엔 6.2%로 소수였지만 2010년에는 28.5%로 세를 불렸다.
상대적으로 결혼이 늦은 남성은 30~34세에 미혼 비율이 1995년 18.6%였으나 2010년엔 절반가량인 49.8%로 급증했다.
35~39세 남성은 2010년 현재 4명 중 1명은 결혼하지 않았다. 15년 전엔 이 연령대 미혼이 6.1%에 그쳤다.
예전이라면 대부분이 배우자가 있을 나이대인 40대에서도 독신 비율이 크게 늘었다.
40~44세 남성 중 미혼인 이들이 1995년엔 2.6%에 불과했으나 2010년엔 14.8%로 그 비율이 2.5배로 증가했다. 40대 초중반 7명 중 1명은 노총각인 셈이다.
45~49세 중 독신인 비율 역시 1995년 1.2%에서 2010년 8.2%로 급증했다.
고령 노처녀는 상대적으로 소수였다. 45~49세 여성 중 미혼인 비율은 1995년 1.1%였고, 2010년에도 3.3%에 불과했다.
이혼율은 가파르게 오르다가 2003년 이후 하향 안정되는 추세였다.
이혼하는 시기도 늦어졌다. 평균 이혼연령이 여성은 2000년 36.5세에서 2010년 41.4세로, 남성은 2000년 40.1세에서 2010년 45세로 높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