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명 망토를 만들 수 있는 물질이 개발됐다.
서강대 강태욱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이 물질은 `메타물질`이라는 차세대 소재다. 이 소재는 질병 진단과 암세포 치료 등 의학 분야에도 활용할 수 있는 만능 물질로 공상 과학 영화에서나 볼 수 있었던 일을 가능케 한다.
강 교수는 "대칭이 깨진 금속 나노입자를 대량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며 "투명 망토나 스텔스 전투기 등을 만드는데 사용될 수 있는 기술이 발견된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기존 합성 방법보다 간편할 뿐만 아니라 비대칭 금속 나노입자 대량생산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메타물질` 가운데 하나인 비대칭 금속 나노입자는 대칭인 금속 나노입자에 비해서 우수한 광학특성을 지녀 굴절률이 0보다 작다. 따라서 3차원적으로 잘 배열하면 특정 파장을 지닌 빛에서는 사물을 안보이게 할 수 있어 투명망토와 같은 스텔스 기술로도 개발 될 수 있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나노과학 분야의 권위지인 `나노 레터`지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서강대 강태욱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이 물질은 `메타물질`이라는 차세대 소재다. 이 소재는 질병 진단과 암세포 치료 등 의학 분야에도 활용할 수 있는 만능 물질로 공상 과학 영화에서나 볼 수 있었던 일을 가능케 한다.
강 교수는 "대칭이 깨진 금속 나노입자를 대량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며 "투명 망토나 스텔스 전투기 등을 만드는데 사용될 수 있는 기술이 발견된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기존 합성 방법보다 간편할 뿐만 아니라 비대칭 금속 나노입자 대량생산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메타물질` 가운데 하나인 비대칭 금속 나노입자는 대칭인 금속 나노입자에 비해서 우수한 광학특성을 지녀 굴절률이 0보다 작다. 따라서 3차원적으로 잘 배열하면 특정 파장을 지닌 빛에서는 사물을 안보이게 할 수 있어 투명망토와 같은 스텔스 기술로도 개발 될 수 있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나노과학 분야의 권위지인 `나노 레터`지 온라인판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