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정부가 전체 발전량 대비 의무 공급비율을 제정하면서 신재생에너지 성장 촉진에 나서고 있습니다. 그런데 발전사들은 이 의무비율을 채우느라 정작 전력 확보에는 신경을 쓰기 어려워질 수 있는 상황입니다. 보도에 유기환 기자입니다.
<기자> 발전사들이 의무적으로 공급해야하는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맞추기 위해 허덕이고 있습니다.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제도(RPS)란 대규모 발전회사들에게 총 발전량의 일정 비율을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하는 것을 의무화하는 제도입니다.
RPS 비율은 올해 2%를 시작으로 2022년도에는 10%까지 확대될 계획입니다.
올해 RPS 목표량인 2%를 채우려면 각 발전사별로 약 500에서 800GWh의 전력을 신재생에너지에서 충당해야 합니다.
하지만 하반기 현재, 발전자회사들은 대부분 올해 의무공급량을 반도 채우지 못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최상규 한국수력원자력 차장
“한정된 신재생에너지 자원으로 대용량 설비 증설은 것은 부담. 올해부터 설정된 의무공급량 채우는 것도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문제는 발전사들이 과징금을 피하기 위해 당장 신재생에너지 확보에 주력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한전의 한 발전자회사는 2022년까지 RPS를 충족시키는 데 드는 총 비용이 최대 8조2천억 필요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이는 1000MW급 원전 세 기 가량을 확보할 수 있는 자금입니다.
발전사들이 RPS 확보를 위해 발전 효율이 떨어지는 신재생에너지에 투자해야하는 입장에 처한 것입니다.
발전사로서는 앞으로 발전소 증설을 계획할 때 RPS를 고려한 신재생에너지 확보까지 동시에 고려해야 하므로 증설 계획에 차질을 빚을 수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당장 전력난이 심각한 상황에서 효율이 떨어지는 신재생에너지 육성정책을 펼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WOW-TV NEWS 유기환입니다.
<기자> 발전사들이 의무적으로 공급해야하는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맞추기 위해 허덕이고 있습니다.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제도(RPS)란 대규모 발전회사들에게 총 발전량의 일정 비율을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하는 것을 의무화하는 제도입니다.
RPS 비율은 올해 2%를 시작으로 2022년도에는 10%까지 확대될 계획입니다.
올해 RPS 목표량인 2%를 채우려면 각 발전사별로 약 500에서 800GWh의 전력을 신재생에너지에서 충당해야 합니다.
하지만 하반기 현재, 발전자회사들은 대부분 올해 의무공급량을 반도 채우지 못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최상규 한국수력원자력 차장
“한정된 신재생에너지 자원으로 대용량 설비 증설은 것은 부담. 올해부터 설정된 의무공급량 채우는 것도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문제는 발전사들이 과징금을 피하기 위해 당장 신재생에너지 확보에 주력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한전의 한 발전자회사는 2022년까지 RPS를 충족시키는 데 드는 총 비용이 최대 8조2천억 필요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이는 1000MW급 원전 세 기 가량을 확보할 수 있는 자금입니다.
발전사들이 RPS 확보를 위해 발전 효율이 떨어지는 신재생에너지에 투자해야하는 입장에 처한 것입니다.
발전사로서는 앞으로 발전소 증설을 계획할 때 RPS를 고려한 신재생에너지 확보까지 동시에 고려해야 하므로 증설 계획에 차질을 빚을 수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당장 전력난이 심각한 상황에서 효율이 떨어지는 신재생에너지 육성정책을 펼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WOW-TV NEWS 유기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