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체조 국가대표 양학선(20·한국체대)이 여홍철의 꿈꿔왔던 한국 체조의 올림픽 도전 사상 첫 금메달의 한을 풀었다.
양학선은 7일(한국시간) 런던 노스그리니치 아레나에서 열린 남자 체조 도마 종목 결선에서 1, 2차 시기 평균 16.533점을 획득해 2위 데니스 아블랴진(러시아·16.399점)을 제쳤다.
1960년 로마대회부터 2008년 베이징대회까지 총 13차례 은4, 동4에 그쳤던 한국 체조 52년 ‘노골드’의 한(恨)을 양학선이 풀어냈다. 박종훈(1988년 서울올림픽 동메달), 유옥렬(1992년 바르셀로나 동메달), 여홍철(1996년 애틀랜타 은메달) 등 걸출한 선배들도 금메달의 문턱에서 주저앉았다.
양학선은 2010년 광저우 아시안게임, 2011년 세계선수권대회에 이어 올해 최고의 선수들이 참가하는 올림픽마저 정복하면서 세계 무대에 나선 지 2년 만에 도마를 완전히 평정했다.
예선 성적 2위로 결선에 오른 양학선은 8명이 나서는 결선에서 마지막 주자로 나섰다. 자신의 이름을 딴 세계 최고난도(7.4)의 기술 ‘양학선’을 완벽하게 소화해낸다면 금메달은 ‘떼어 놓은 당상’이었다. 기대가 큰 만큼 부담감도 컸다.
하지만 이날 양학선은 1차시기에서 전 세계에서 양학선이 유일하게 구사할 수 있는 7.4점짜리 초고난도 기술 ‘양학선’을 선보이며 16.466점을 획득했다. 이어 2차 시도에서는 7.00점짜리 고난도 기술로 16.600점으로 합계 16.533점으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여홍철도 1996 애틀랜타올림픽 당시 자신의 이름을 딴 `여 1` 과 `여 2` 기술을 선보이며 강력한 우승 후보자로 떠올랐지만 착지에서 결정적 실수를 저지르며 은메달에 그쳐야 했다.
한편 양학선과 여홍철은 체조 중에서도 같은 남자 도마 선수이고 자신의 이름을 딴 독창적 기술을 개발해냈다는 점과 광주체고 21년 선후배간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양학선은 7일(한국시간) 런던 노스그리니치 아레나에서 열린 남자 체조 도마 종목 결선에서 1, 2차 시기 평균 16.533점을 획득해 2위 데니스 아블랴진(러시아·16.399점)을 제쳤다.
1960년 로마대회부터 2008년 베이징대회까지 총 13차례 은4, 동4에 그쳤던 한국 체조 52년 ‘노골드’의 한(恨)을 양학선이 풀어냈다. 박종훈(1988년 서울올림픽 동메달), 유옥렬(1992년 바르셀로나 동메달), 여홍철(1996년 애틀랜타 은메달) 등 걸출한 선배들도 금메달의 문턱에서 주저앉았다.
양학선은 2010년 광저우 아시안게임, 2011년 세계선수권대회에 이어 올해 최고의 선수들이 참가하는 올림픽마저 정복하면서 세계 무대에 나선 지 2년 만에 도마를 완전히 평정했다.
예선 성적 2위로 결선에 오른 양학선은 8명이 나서는 결선에서 마지막 주자로 나섰다. 자신의 이름을 딴 세계 최고난도(7.4)의 기술 ‘양학선’을 완벽하게 소화해낸다면 금메달은 ‘떼어 놓은 당상’이었다. 기대가 큰 만큼 부담감도 컸다.
하지만 이날 양학선은 1차시기에서 전 세계에서 양학선이 유일하게 구사할 수 있는 7.4점짜리 초고난도 기술 ‘양학선’을 선보이며 16.466점을 획득했다. 이어 2차 시도에서는 7.00점짜리 고난도 기술로 16.600점으로 합계 16.533점으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여홍철도 1996 애틀랜타올림픽 당시 자신의 이름을 딴 `여 1` 과 `여 2` 기술을 선보이며 강력한 우승 후보자로 떠올랐지만 착지에서 결정적 실수를 저지르며 은메달에 그쳐야 했다.
한편 양학선과 여홍철은 체조 중에서도 같은 남자 도마 선수이고 자신의 이름을 딴 독창적 기술을 개발해냈다는 점과 광주체고 21년 선후배간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