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해외 활로를 모색하는 국내 기업들이 경쟁이 심화된 중국 대신 싱가포르로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홍콩 못지않은 교역 중심지이자 금융허브로 떠오른 싱가포르는 기업들의 아세안 지역 진출에 교두보가 될 전망입니다.
채주연 기자입니다.
<기자> 베이커리 매장에 손님들이 북적입니다.
국내 베이커리 브랜드로는 처음으로 싱가포르에 문을 연 파리바게트 매장입니다.
대형 쇼핑몰에 문을 연지 엿새밖에 안 됐지만, 하루 매출이 우리나라 돈으로 1천200만원 수준입니다.
서울에서도 유동인구가 많기로 꼽히는 강남역 매장의 하루 매출과 맞먹습니다.
<전화인터뷰> 이준무 / SPC 홍보부장
"싱가포르는 동남아 경제의 허브로 유수 업체들이 많이 진출해 있습니다. 베이커리 역시 경쟁이 치열한데, 국내 베이커리 최초로 진출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고, 현재 좋은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파리바게뜨는 싱가포르가 인근 동남아 국가는 물론 인도와 중동, 유럽시장에 진출하는 교두보가 될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2020년까지 싱가포르에 50개의 매장을 열어 글로벌 사업 확대를 위한 활로를 구축할 계획입니다.
화장품 업체 아모레퍼시픽도 싱가포르를 동남아권 공략 포인트로 삼았습니다.
한방화장품 브랜드 `설화수`로 싱가포르 유명 백화점에 진출했습니다.
올해 안에 대만과 태국에 매장을 열고, 2015년까지 말레이시아, 베트남 등 아세안 6개국에 진출하기 위한 초석을 싱가포르에서 다지기로 했습니다.
동남아시장 확대를 바탕으로 2020년까지 전체 매출의 45%인 5조원의 매출을 해외에서 올릴 계획입니다.
국내 기업들은 동남아시아의 물류중심지이자 유통업이 발달한 특성상 싱가포르가 아세안 지역 최대 시장이 될 것이라고 손꼽습니다.
싱가포르는 1인당 국민소득이 4만6천달러로 아시아 상위권에 드는데다, 작은 도시국가이다 보니 일찍부터 교역이 활발해 외국 기업 진입이 수월하다는 게 매력입니다.
진입이 까다롭고, 지역간 소득격차가 큰 중국에 비해 주변 국가로의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히 싱가포르 소비자들은 브랜드 선호도가 높은데 비해 외국브랜드에 거부감이 낮아, 글로벌 브랜드를 키워내는데 적합한 요건을 갖추고 있습니다.
싱가포르의 올해 경제 성장률 예상치는 1~3%. 친기업 정책과 적극적인 투자유치로 동남아시아 진출을 노리는 국내 기업들에게 새로운 기회의 땅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채주연입니다.
홍콩 못지않은 교역 중심지이자 금융허브로 떠오른 싱가포르는 기업들의 아세안 지역 진출에 교두보가 될 전망입니다.
채주연 기자입니다.
<기자> 베이커리 매장에 손님들이 북적입니다.
국내 베이커리 브랜드로는 처음으로 싱가포르에 문을 연 파리바게트 매장입니다.
대형 쇼핑몰에 문을 연지 엿새밖에 안 됐지만, 하루 매출이 우리나라 돈으로 1천200만원 수준입니다.
서울에서도 유동인구가 많기로 꼽히는 강남역 매장의 하루 매출과 맞먹습니다.
<전화인터뷰> 이준무 / SPC 홍보부장
"싱가포르는 동남아 경제의 허브로 유수 업체들이 많이 진출해 있습니다. 베이커리 역시 경쟁이 치열한데, 국내 베이커리 최초로 진출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고, 현재 좋은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파리바게뜨는 싱가포르가 인근 동남아 국가는 물론 인도와 중동, 유럽시장에 진출하는 교두보가 될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2020년까지 싱가포르에 50개의 매장을 열어 글로벌 사업 확대를 위한 활로를 구축할 계획입니다.
화장품 업체 아모레퍼시픽도 싱가포르를 동남아권 공략 포인트로 삼았습니다.
한방화장품 브랜드 `설화수`로 싱가포르 유명 백화점에 진출했습니다.
올해 안에 대만과 태국에 매장을 열고, 2015년까지 말레이시아, 베트남 등 아세안 6개국에 진출하기 위한 초석을 싱가포르에서 다지기로 했습니다.
동남아시장 확대를 바탕으로 2020년까지 전체 매출의 45%인 5조원의 매출을 해외에서 올릴 계획입니다.
국내 기업들은 동남아시아의 물류중심지이자 유통업이 발달한 특성상 싱가포르가 아세안 지역 최대 시장이 될 것이라고 손꼽습니다.
싱가포르는 1인당 국민소득이 4만6천달러로 아시아 상위권에 드는데다, 작은 도시국가이다 보니 일찍부터 교역이 활발해 외국 기업 진입이 수월하다는 게 매력입니다.
진입이 까다롭고, 지역간 소득격차가 큰 중국에 비해 주변 국가로의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히 싱가포르 소비자들은 브랜드 선호도가 높은데 비해 외국브랜드에 거부감이 낮아, 글로벌 브랜드를 키워내는데 적합한 요건을 갖추고 있습니다.
싱가포르의 올해 경제 성장률 예상치는 1~3%. 친기업 정책과 적극적인 투자유치로 동남아시아 진출을 노리는 국내 기업들에게 새로운 기회의 땅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채주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