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를 통한 데이터 소비가 국내총생산(GDP) 성장을 견인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1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는 딜로이트, 시스코와 공동 발간한 `이동통신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모바일 데이터 사용량이 GDP 성장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최초로 규명했다고 밝혔다.
한국 등 14개국의 2005~2010년 3세대(3G) 데이터 사용량과 경제성장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이 기간 3G 1회선당 데이터 소비량이 2배로 증가했다고 가정햇을 때 1인당 GDP성장률은 평균적으로 매년 0.5%포인트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데이터와 GDP의 상관관계는 데이터 사용량이 많을수록 뚜렷했다. 14개국 중 3G 회선당 데이터 사용량이 가장 많은 러시아는 1인당 GDP 성장률이 매년 1.4%포인트 증가하고, 한국과 영국은 1인당 GDP 성장률이 매년 약 1%포인트 늘어나는 것으로 계산됐다.
보고서는 96개 국가의 2008~2011년 자료를 분석한 결과, 2세대(2G) 서비스에서 3G로 전환한 가입자가 10% 증가하면 1인당 GDP 성장률이 평균적으로 매년 0.15%포인트 늘어난다고 설명했다. 또 캄보디아, 베트남 등 개발도상국의 1995년부터 2010년까지 경제성장 추이를 살펴본 결과 이동통신 가입자가 10% 증가하면 평균적으로 총요소생산성(TFP)이 4.2%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톰 필립스 GSMA 대외협력책임자는 "지금처럼 경제적으로 불확실성이 큰 시기에는 정부가 모바일 산업을 경제 성장의 핵심축으로 보고 통신 시설에 대한 투자를 늘려 생산성을 높이는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21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는 딜로이트, 시스코와 공동 발간한 `이동통신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모바일 데이터 사용량이 GDP 성장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최초로 규명했다고 밝혔다.
한국 등 14개국의 2005~2010년 3세대(3G) 데이터 사용량과 경제성장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이 기간 3G 1회선당 데이터 소비량이 2배로 증가했다고 가정햇을 때 1인당 GDP성장률은 평균적으로 매년 0.5%포인트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데이터와 GDP의 상관관계는 데이터 사용량이 많을수록 뚜렷했다. 14개국 중 3G 회선당 데이터 사용량이 가장 많은 러시아는 1인당 GDP 성장률이 매년 1.4%포인트 증가하고, 한국과 영국은 1인당 GDP 성장률이 매년 약 1%포인트 늘어나는 것으로 계산됐다.
보고서는 96개 국가의 2008~2011년 자료를 분석한 결과, 2세대(2G) 서비스에서 3G로 전환한 가입자가 10% 증가하면 1인당 GDP 성장률이 평균적으로 매년 0.15%포인트 늘어난다고 설명했다. 또 캄보디아, 베트남 등 개발도상국의 1995년부터 2010년까지 경제성장 추이를 살펴본 결과 이동통신 가입자가 10% 증가하면 평균적으로 총요소생산성(TFP)이 4.2%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톰 필립스 GSMA 대외협력책임자는 "지금처럼 경제적으로 불확실성이 큰 시기에는 정부가 모바일 산업을 경제 성장의 핵심축으로 보고 통신 시설에 대한 투자를 늘려 생산성을 높이는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