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이 지속적으로 해외 생산기지를 확보하면서 연간 해외생산 매출액이 수출액의 절반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식경제부는 수출액 대비 해외 생산 매출액 비율이 2005년 24.6%에서 2010년 51.4%까지 올라갔고 지난해에는 이보다 더 높은 수치를 기록한 것으로 추산된다고 16일 밝혔습니다.
지난 2001년부터 2011년까지 자본재 수출 비중은 41.6%에서 48.7%, 원자재는 29.1%에서 36.3%로 증가했습니다.
중화학공업 중심의 산업구조 고도화와 해외 생산기지로의 설비·부품 수출이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무선통신기기와 자동차 부품, 기계류 등 자본재 수출이 크게 늘었는데, 특히 현대·기아차의 해외 생산기지 확충으로 인해 자동차 부품 수출은 2001년 22억2천만 달러에서 2011년 230억8천만 달러로 늘어났습니다.
반면, 가전과 의류 등 소비재 수출 비중은 29.2%에서 14.9%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역별로도 소비재 수출 비중이 전반적으로 낮아지는 가운데 최대 교역국인 중국은 올해 5%까지 떨어졌고 아세안도 6.7%로 하락해 가격과 품질 경쟁력확보가 시급한 상황입니다.
지식경제부는 수출액 대비 해외 생산 매출액 비율이 2005년 24.6%에서 2010년 51.4%까지 올라갔고 지난해에는 이보다 더 높은 수치를 기록한 것으로 추산된다고 16일 밝혔습니다.
지난 2001년부터 2011년까지 자본재 수출 비중은 41.6%에서 48.7%, 원자재는 29.1%에서 36.3%로 증가했습니다.
중화학공업 중심의 산업구조 고도화와 해외 생산기지로의 설비·부품 수출이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무선통신기기와 자동차 부품, 기계류 등 자본재 수출이 크게 늘었는데, 특히 현대·기아차의 해외 생산기지 확충으로 인해 자동차 부품 수출은 2001년 22억2천만 달러에서 2011년 230억8천만 달러로 늘어났습니다.
반면, 가전과 의류 등 소비재 수출 비중은 29.2%에서 14.9%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역별로도 소비재 수출 비중이 전반적으로 낮아지는 가운데 최대 교역국인 중국은 올해 5%까지 떨어졌고 아세안도 6.7%로 하락해 가격과 품질 경쟁력확보가 시급한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