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 what - 정경호의 벼랑 끝 소통이야기] 5편. 나를 완성하는 소통리더십 - 자기소통과 자기성찰
소통리더십의 첫 번째 핵심적 요소는 우선 자기소통이라 할 수 있다.
그럼 자기소통은 무엇으로부터 시작해야 하는 걸까.
첫 번째는 자기비움이다. 스스로가 가진 교만함속에서 쓸데없는 자존심을 다 버리고 오로지 부끄러운 자신의 실체에 대한 냉정한 인식만이 필요하다. 그래서 얼마나 내가 나와 타인에게 감정적이었고 적대적이었는지 자신에 대해 몰랐던 치열한 비움의 작업이 필요하다.
자기비움은 이기적이고 교만했던 자신과 정면으로 만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한 과정에서 모든 상처와 아픔 그리고 분노에 대한 솔직한 인정과 집착을 내려놓는 치열한 자기와의 싸움을 하는 것이다. 그 어떤 것에도 마음을 두지 않고 온전히 자신의 존재와 직면하며 모든 것을 내려놓은 것이다..
두 번째는 자기정리다. 나를 진실로 알아가는 작업과 더불어 진실로 마음의 주름을 피는 작업을 해야 한다. 타인에 대한 무조건적이고 적대적 비난을 건강한 인정과 온전한 판단으로 바꾸어 가기 위해 스스로에게 진실 되게 이야기하는 고백과 자기정리가 필요하다. 즉 자신의 자아와 대화를 하며 자신의 삶에 대한 질서를 잡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의 결과로 본인 스스로 약속의 과정이 필요하다. 스스로의 삶에 대한 자존감과 자신감을 회복하며 함께하는 세상에 좋은 영향력을 끼치기 위한 다짐과 약속을 하는 것이다.
자기정리는 개인의 신념과 확신을 넘어 자신을 향한 진실하고 순수한 믿음에서 출발하는 것이다.
자기소통은 사실 이 두가지의 프로세스로 축약할 수 있지만 저자가 생각하는 최고의 방법은 조용한 공간에서 본인 스스로에게 질문을 통한 무언의 대화를 시작하는 것이다. 어디든 상관없다. 오로지 자신에게만 집중할 수 있는 그런 공간과 절대적 시간만 있으면 된다.
소통리더십의 완전한 시작은 완전한 자기소통이다.
소통리더십의 구체적 시작을 위한 두 번째 과제는 자기성찰이다.
자기성찰은 일종의 기도와 같다. 여기서 기도란 종교상의 기도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기도의 원뜻은 원래 자신보다 능력이 뛰어나다고 생각하는 어떠한 절대적 존재에게 비는 것 혹은 그런 의식을 말한다. 말하자면 자기성찰은 자기낮춤이며 솔직한 자아인식으로 구체적인 삶의 변화를 위한 온전한 비움인 동시에 채움의 과정인 것이다.
자기소통의 과제를 통해 비우고 자기정리의 과정을 거쳤지만 부족하고 혼동스러운 자신을 다스리기 위한 자기성찰의 과정은 온전한 소통리더십을 위한 핵심중의 핵심이다.
우리는 보통 어떠한 지식과 스킬들을 익히고 배우며 바로 실전에 적용하려 애를 쓴다.그런데 이것이 소통에 있어서 만큼은 결코 쉽지 않다. 왜냐하면 관계에 대해서는 많은 변수와 조건들이 존재하기에 그 각각의 상황에 대처하기가 결코 쉽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자기소통과 자기성찰의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제대로 된 소통리더십이 발휘될 수 있는 것이다.
미국의 로키산맥 해발 3000m 높이에는 수목 한계선이 있다. 이 지대의 나무들은 외관상 매서운 바람으로 인해 곧게 자라지 못하고 무릎을 꿇고 있는 모습을 한 채 서 있다. 생존을 위한 처절한 몸부림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세계적으로 가장 공명이 잘 되는 명품 바이올린은 바로 이 ‘무릎을 꿇은 나무’로 만들어진다고 한다. 우리 인간도 고난과 시련을 이겨내면서 제대로 된 한사람으로 만들어지는게 아닌가 싶다. 역사적으로 아름다운 영혼을 갖고 인생의 절묘한 선율을 내었던 사람들은 아무런 고난 없이 좋은 조건에서 살아온 사람이 아니라 온갖 역경을 통해 거듭난 사람들이다.
소통의 리더십도 이와 같다.
무릎을 꿇는 나무와 같이 거대한 자연앞에서 전심을 다한 겸손과 생존의 처절함을 겸허히 받아들인 사람만이 진정한 소통리더로서 거듭날 것이라 생각한다.
<정경호 엔학고레 소통아카데미 대표>
소통리더십의 첫 번째 핵심적 요소는 우선 자기소통이라 할 수 있다.
그럼 자기소통은 무엇으로부터 시작해야 하는 걸까.
첫 번째는 자기비움이다. 스스로가 가진 교만함속에서 쓸데없는 자존심을 다 버리고 오로지 부끄러운 자신의 실체에 대한 냉정한 인식만이 필요하다. 그래서 얼마나 내가 나와 타인에게 감정적이었고 적대적이었는지 자신에 대해 몰랐던 치열한 비움의 작업이 필요하다.
자기비움은 이기적이고 교만했던 자신과 정면으로 만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한 과정에서 모든 상처와 아픔 그리고 분노에 대한 솔직한 인정과 집착을 내려놓는 치열한 자기와의 싸움을 하는 것이다. 그 어떤 것에도 마음을 두지 않고 온전히 자신의 존재와 직면하며 모든 것을 내려놓은 것이다..
두 번째는 자기정리다. 나를 진실로 알아가는 작업과 더불어 진실로 마음의 주름을 피는 작업을 해야 한다. 타인에 대한 무조건적이고 적대적 비난을 건강한 인정과 온전한 판단으로 바꾸어 가기 위해 스스로에게 진실 되게 이야기하는 고백과 자기정리가 필요하다. 즉 자신의 자아와 대화를 하며 자신의 삶에 대한 질서를 잡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의 결과로 본인 스스로 약속의 과정이 필요하다. 스스로의 삶에 대한 자존감과 자신감을 회복하며 함께하는 세상에 좋은 영향력을 끼치기 위한 다짐과 약속을 하는 것이다.
자기정리는 개인의 신념과 확신을 넘어 자신을 향한 진실하고 순수한 믿음에서 출발하는 것이다.
자기소통은 사실 이 두가지의 프로세스로 축약할 수 있지만 저자가 생각하는 최고의 방법은 조용한 공간에서 본인 스스로에게 질문을 통한 무언의 대화를 시작하는 것이다. 어디든 상관없다. 오로지 자신에게만 집중할 수 있는 그런 공간과 절대적 시간만 있으면 된다.
소통리더십의 완전한 시작은 완전한 자기소통이다.
소통리더십의 구체적 시작을 위한 두 번째 과제는 자기성찰이다.
자기성찰은 일종의 기도와 같다. 여기서 기도란 종교상의 기도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기도의 원뜻은 원래 자신보다 능력이 뛰어나다고 생각하는 어떠한 절대적 존재에게 비는 것 혹은 그런 의식을 말한다. 말하자면 자기성찰은 자기낮춤이며 솔직한 자아인식으로 구체적인 삶의 변화를 위한 온전한 비움인 동시에 채움의 과정인 것이다.
자기소통의 과제를 통해 비우고 자기정리의 과정을 거쳤지만 부족하고 혼동스러운 자신을 다스리기 위한 자기성찰의 과정은 온전한 소통리더십을 위한 핵심중의 핵심이다.
우리는 보통 어떠한 지식과 스킬들을 익히고 배우며 바로 실전에 적용하려 애를 쓴다.그런데 이것이 소통에 있어서 만큼은 결코 쉽지 않다. 왜냐하면 관계에 대해서는 많은 변수와 조건들이 존재하기에 그 각각의 상황에 대처하기가 결코 쉽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자기소통과 자기성찰의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제대로 된 소통리더십이 발휘될 수 있는 것이다.
미국의 로키산맥 해발 3000m 높이에는 수목 한계선이 있다. 이 지대의 나무들은 외관상 매서운 바람으로 인해 곧게 자라지 못하고 무릎을 꿇고 있는 모습을 한 채 서 있다. 생존을 위한 처절한 몸부림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세계적으로 가장 공명이 잘 되는 명품 바이올린은 바로 이 ‘무릎을 꿇은 나무’로 만들어진다고 한다. 우리 인간도 고난과 시련을 이겨내면서 제대로 된 한사람으로 만들어지는게 아닌가 싶다. 역사적으로 아름다운 영혼을 갖고 인생의 절묘한 선율을 내었던 사람들은 아무런 고난 없이 좋은 조건에서 살아온 사람이 아니라 온갖 역경을 통해 거듭난 사람들이다.
소통의 리더십도 이와 같다.
무릎을 꿇는 나무와 같이 거대한 자연앞에서 전심을 다한 겸손과 생존의 처절함을 겸허히 받아들인 사람만이 진정한 소통리더로서 거듭날 것이라 생각한다.
<정경호 엔학고레 소통아카데미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