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헤지펀드는 설립된지 1년을 맞아 투자원금 규모가 1조원 이상으로 커졌으나 글로벌 헤지펀드들은 명암이 엇갈리고 있다. 헤지펀드 리서치와 전문자문업체인 헤네시 그룹과 등에 따르면 헤지펀드의 투자원금 규모가 2조 달러가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가장 왕성하게 활동했던 금융위기 직전 1조 2천억 달러였던 점을 감안하면 일단 투자원금 규모로만 본다면 위기 직전보다 무려 80% 이상 늘어난 셈이다.
글로벌 헤지펀드들의 투자원금 규모가 늘어나는 것은 수익률 여부와 관계없이 금융위기가 당초 예상보다 빨리 극복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 4년 동안 헤지펀드 활동이 대폭 규제된 점을 감안하면 이미 위기가 상당 수준 극복되고 있음을 뒷받침해 주는 현상이다. 기준에 따라 엇갈리고 있지만 위기극복 3단계 이론으로 볼 때 지금은 7부 능선이 지나가고 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글로벌 헤지펀드의 투자원금이 늘어난 또 하나의 요인은 선진국의 양적완화 정책으로 유동성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미국 등 선진국들의 양적완화와 중국 등 신흥국들의 환율방어 차원에서 불태환 정책이 수반되지 않는 시장개입으로 글로벌 유동성이 사상최고수준이다. 위기 이후 퇴장(hoadinding)됐던 통화도 서서히 시중에 방출(dishoarding)되는 것도 유동성이 키지는 요인으로 가세되고 있다.
하지만 헤지펀드의 또 다른 상징인 레버리지 비율(증거금대비 총투자 가능금액)은 투자원금 규모만큼 회복되지 못하고 있다. 현재 각종 헤지펀드들의 레버리비 비율은 평균 5배 내외로 위기 직전 한때 15배에 달했던 때에 비해서는 ‘3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그만큼 주식과 같은 위험자산을 가장 먼저 투자하는 ‘스마트성과 투기성’이 크게 제약을 받고 있다는 것을 의미다.
여러 가지 요인 가운데 미국의 단일금융개혁법이 추진된 것이 가장 크다. 그 중에서 핵심인 ‘불커 룰(Volker`s rule)’에 따라 복잡한 파생상품과 레버리지 비율을 강력하게 규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제 헤지펀드는 다른 사모펀드와 차이가 없고, 미국 대통령 선거과정에서 나타났듯이 벌써부터 금융산업 발전과 투자자의 다양한 욕구를 해결하기 위해 규제를 다시 풀어줘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같은 맥락에서 헤지펀드들의 활동을 보면 그대로 들어난다. 투자대상별 헤지펀드를 구분할 때 최근 들어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고 투자성과를 내는 것은 글로벌 매크로 펀드와 상대 가치형 펀드다. 글로벌 매크로 펀드는 통화와 채권을 주로 투자하고, 상대 가치형 펀드는 저평가된 투자처를 발굴해 수익을 내고 있다.
이 같은 투자패턴은 다른 투자주체들과 별다른 차이가 없다. 글로벌 매크로 펀드가 통화와 채권에 투자하는 것은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심화되고 있는 경기와 정책, 금리, 통화가치상의 양극화를 겨냥한 투자전략이다. 상대 가치형 펀드가 신흥국과 프런티어 마켓에 투자해 수익을 내는 것은 세계경제 중심축이 빠르게 이들 지역으로 이동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헤지펀드의 전형이라 할 수 있는 주식헤지용 펀드의 활동은 여전히 위축돼 있다. 유럽위기와 같은 위험요인이 많았긴 했지만 2009년 2분기 이후 증시가 추세적으로 회복된 여건 속에서 주식헤지용 헤지펀드들의 활동이 살아나지 못하는 것은 의외의 현상이다. 헤지펀드의 대부인 조지 소로스는 자산이 운영하는 일부 헤지펀드의 투자원금을 고객에게 돌려준데 이어 최근에는 다이어몬드뱅크 캐피털도 동일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또 한 가지 눈여겨봐야 할 것은 헤지펀드들의 활동처가 바뀌고 있는 점이다. 금융위기 이전에 헤지펀드들은 주로 조세회피처에서 활동했으며 당시 세계 3대 조세회피처로는 케이먼 군도와 말레이시아 북동부, 아일랜드가 꼽혔다. 그 중에서 헤지펀드들이 본거지로 가장 많이 택했던 곳은 조세천국지역₁으로 인식됐던 케이먼 군도였다.
하지만 최근에는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등으로 다변화되고 온라인상으로도 빠르게 옮겨지는 추세다. 룩셈부르크 등은 상대적으로 금융위기 충격이 적었던 데다 온라인과 함께 강화된 규제를 회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금융위기 이후 국내 금융시장에 룩셈부르크와 네덜란드를 통해 들어온 외국인 자금이 많았던 것도 같은 맥락이다. 위기재발 방지를 위해 국가별 혹은 오프라인과 온라인별 금융규제를 평준화시켜야 가능하다는 점을 시사해주는 새로운 변화다.
금융위기 이후 세계경제최고단위인 G20 회담의 많은 성과 가운데 앞으로 헤지펀드와 대형 금융사들의 영업형태에 미칠 영향이 가장 클 것으로 보이는 합의사항은 경상수지목표제와 국제통화기금(IMF)의 쿼터 조정이다. 각국이 이번 합의대로 이행된다면 경상수지흑자나 적자규모가 아무리 많다 하더라도 소득의 일정범위내로 축소해야 한다. 이 경우 금융위기 이후 세계경제와 국제금융질서에 최대 현안으로 등장하고 있는 글로벌 불균형과 이에 따른 환율분쟁, 통상마찰을 해소하는데 상당한 효과가 기대된다.
개별국가 차원에서도 커다란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중국처럼 경상수지 과다흑자국은 경기와 통화가치, 금리와 주가 등 자산가격이 높거나 높아질 것이라는 기대가 형성되고 있다. 반면 경상수지 과다적자국은 그 반대의 현상이 벌어져 투자수익면에서 이들 두 국가 간의 격차가 심하게 벌어지는 것이 관례다.
최근처럼 각국간 금리차와 환차익을 중시해 자금이동이 심해지는 여건에서는 각종 자금이 경상수지 과다적자국에서 과다흑자국으로 흐르게 마련이다. 특히 실물경제에 비해 과다하게 유동성이 풀리고, 온라인 발전 등으로 모든 것이 보이는 ‘증강현실’ 자금이동 여건에서는 자본유출입이 심하게 나타난다. 이 때문에 경상수지흑자국은 과다한 글로벌 자금유입으로 거시경제정책 운용이 제한되고 자산부문의 거품이 심하게 발생돼 어려움을 겪는다.
하지만 미국처럼 경상수지 과다 적자국이라 하더라도 안전통화와 자산인 달러와 국채의 자본유입 효과에 따라 완충시켜주는 국가도 있지만 대부분 적자국들은 과다한 자본유출로 거시경제정책 운용상에 어려움을 겪게 되고 자산가격 폭락으로 실물경기가 극심한 침체국면에 빠지는 것이 이미 정형화된 사실이다.
앞으로 세계 각국이 이번 합의사항을 이행해 나간다면 과다한 경상수지 흑자국과 과다한 적자간의 통화가치와 금리차가 줄어들어 이들 국가 간에 극심한 자본유출입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이 경우 실물경기와 금융시장이 안정되고 각국의 자본도 본국으로 회귀시켜 금융이 실물에 보다 충실해지는 부수적인 효과도 기대해 볼 수 있다. 내년에는 헤지펀드들의 활동이 더 활발해지면서 세계경제와 글로벌 증시가 기대를 갖게 하는 대목이다.
<글. 한상춘 <a href=http://sise.wownet.co.kr/search/main/main.asp?mseq=419&searchStr=039340 target=_blank>한국경제TV 해설위원 겸 한국경제신문 객원논설위원(schan@hankyung.com)>
글로벌 헤지펀드들의 투자원금 규모가 늘어나는 것은 수익률 여부와 관계없이 금융위기가 당초 예상보다 빨리 극복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 4년 동안 헤지펀드 활동이 대폭 규제된 점을 감안하면 이미 위기가 상당 수준 극복되고 있음을 뒷받침해 주는 현상이다. 기준에 따라 엇갈리고 있지만 위기극복 3단계 이론으로 볼 때 지금은 7부 능선이 지나가고 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글로벌 헤지펀드의 투자원금이 늘어난 또 하나의 요인은 선진국의 양적완화 정책으로 유동성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미국 등 선진국들의 양적완화와 중국 등 신흥국들의 환율방어 차원에서 불태환 정책이 수반되지 않는 시장개입으로 글로벌 유동성이 사상최고수준이다. 위기 이후 퇴장(hoadinding)됐던 통화도 서서히 시중에 방출(dishoarding)되는 것도 유동성이 키지는 요인으로 가세되고 있다.
하지만 헤지펀드의 또 다른 상징인 레버리지 비율(증거금대비 총투자 가능금액)은 투자원금 규모만큼 회복되지 못하고 있다. 현재 각종 헤지펀드들의 레버리비 비율은 평균 5배 내외로 위기 직전 한때 15배에 달했던 때에 비해서는 ‘3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그만큼 주식과 같은 위험자산을 가장 먼저 투자하는 ‘스마트성과 투기성’이 크게 제약을 받고 있다는 것을 의미다.
여러 가지 요인 가운데 미국의 단일금융개혁법이 추진된 것이 가장 크다. 그 중에서 핵심인 ‘불커 룰(Volker`s rule)’에 따라 복잡한 파생상품과 레버리지 비율을 강력하게 규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제 헤지펀드는 다른 사모펀드와 차이가 없고, 미국 대통령 선거과정에서 나타났듯이 벌써부터 금융산업 발전과 투자자의 다양한 욕구를 해결하기 위해 규제를 다시 풀어줘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같은 맥락에서 헤지펀드들의 활동을 보면 그대로 들어난다. 투자대상별 헤지펀드를 구분할 때 최근 들어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고 투자성과를 내는 것은 글로벌 매크로 펀드와 상대 가치형 펀드다. 글로벌 매크로 펀드는 통화와 채권을 주로 투자하고, 상대 가치형 펀드는 저평가된 투자처를 발굴해 수익을 내고 있다.
이 같은 투자패턴은 다른 투자주체들과 별다른 차이가 없다. 글로벌 매크로 펀드가 통화와 채권에 투자하는 것은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심화되고 있는 경기와 정책, 금리, 통화가치상의 양극화를 겨냥한 투자전략이다. 상대 가치형 펀드가 신흥국과 프런티어 마켓에 투자해 수익을 내는 것은 세계경제 중심축이 빠르게 이들 지역으로 이동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헤지펀드의 전형이라 할 수 있는 주식헤지용 펀드의 활동은 여전히 위축돼 있다. 유럽위기와 같은 위험요인이 많았긴 했지만 2009년 2분기 이후 증시가 추세적으로 회복된 여건 속에서 주식헤지용 헤지펀드들의 활동이 살아나지 못하는 것은 의외의 현상이다. 헤지펀드의 대부인 조지 소로스는 자산이 운영하는 일부 헤지펀드의 투자원금을 고객에게 돌려준데 이어 최근에는 다이어몬드뱅크 캐피털도 동일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또 한 가지 눈여겨봐야 할 것은 헤지펀드들의 활동처가 바뀌고 있는 점이다. 금융위기 이전에 헤지펀드들은 주로 조세회피처에서 활동했으며 당시 세계 3대 조세회피처로는 케이먼 군도와 말레이시아 북동부, 아일랜드가 꼽혔다. 그 중에서 헤지펀드들이 본거지로 가장 많이 택했던 곳은 조세천국지역₁으로 인식됐던 케이먼 군도였다.
하지만 최근에는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등으로 다변화되고 온라인상으로도 빠르게 옮겨지는 추세다. 룩셈부르크 등은 상대적으로 금융위기 충격이 적었던 데다 온라인과 함께 강화된 규제를 회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금융위기 이후 국내 금융시장에 룩셈부르크와 네덜란드를 통해 들어온 외국인 자금이 많았던 것도 같은 맥락이다. 위기재발 방지를 위해 국가별 혹은 오프라인과 온라인별 금융규제를 평준화시켜야 가능하다는 점을 시사해주는 새로운 변화다.
금융위기 이후 세계경제최고단위인 G20 회담의 많은 성과 가운데 앞으로 헤지펀드와 대형 금융사들의 영업형태에 미칠 영향이 가장 클 것으로 보이는 합의사항은 경상수지목표제와 국제통화기금(IMF)의 쿼터 조정이다. 각국이 이번 합의대로 이행된다면 경상수지흑자나 적자규모가 아무리 많다 하더라도 소득의 일정범위내로 축소해야 한다. 이 경우 금융위기 이후 세계경제와 국제금융질서에 최대 현안으로 등장하고 있는 글로벌 불균형과 이에 따른 환율분쟁, 통상마찰을 해소하는데 상당한 효과가 기대된다.
개별국가 차원에서도 커다란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중국처럼 경상수지 과다흑자국은 경기와 통화가치, 금리와 주가 등 자산가격이 높거나 높아질 것이라는 기대가 형성되고 있다. 반면 경상수지 과다적자국은 그 반대의 현상이 벌어져 투자수익면에서 이들 두 국가 간의 격차가 심하게 벌어지는 것이 관례다.
최근처럼 각국간 금리차와 환차익을 중시해 자금이동이 심해지는 여건에서는 각종 자금이 경상수지 과다적자국에서 과다흑자국으로 흐르게 마련이다. 특히 실물경제에 비해 과다하게 유동성이 풀리고, 온라인 발전 등으로 모든 것이 보이는 ‘증강현실’ 자금이동 여건에서는 자본유출입이 심하게 나타난다. 이 때문에 경상수지흑자국은 과다한 글로벌 자금유입으로 거시경제정책 운용이 제한되고 자산부문의 거품이 심하게 발생돼 어려움을 겪는다.
하지만 미국처럼 경상수지 과다 적자국이라 하더라도 안전통화와 자산인 달러와 국채의 자본유입 효과에 따라 완충시켜주는 국가도 있지만 대부분 적자국들은 과다한 자본유출로 거시경제정책 운용상에 어려움을 겪게 되고 자산가격 폭락으로 실물경기가 극심한 침체국면에 빠지는 것이 이미 정형화된 사실이다.
앞으로 세계 각국이 이번 합의사항을 이행해 나간다면 과다한 경상수지 흑자국과 과다한 적자간의 통화가치와 금리차가 줄어들어 이들 국가 간에 극심한 자본유출입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이 경우 실물경기와 금융시장이 안정되고 각국의 자본도 본국으로 회귀시켜 금융이 실물에 보다 충실해지는 부수적인 효과도 기대해 볼 수 있다. 내년에는 헤지펀드들의 활동이 더 활발해지면서 세계경제와 글로벌 증시가 기대를 갖게 하는 대목이다.
<글. 한상춘 <a href=http://sise.wownet.co.kr/search/main/main.asp?mseq=419&searchStr=039340 target=_blank>한국경제TV 해설위원 겸 한국경제신문 객원논설위원(sc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