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아파트의 평균 전세금이 도시 근로자의 5.4년(약 5년5개월)치 소득과 맞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근로자가 번 돈을 한 푼도 안 쓰면서 모을 때 서울 시내 아파트 전세 보증금 마련에 걸리는 기간을 뜻하는 것으로
5년전에 비해 평균적으로 1년3개월여 더 늘어난 것이다.
그만큼 주거 공간 마련이 힘들어졌다는 이야기다.
서울만 그런 것이 아니고 수도권 아파트 전세금은 3.9년치, 전국은 3.1년치의 소득에 각각 달하면서
소득 대비 전세금 부담이 최근 10년 사이 모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부동산114는 지난 9월말 현재 전국 아파트 704만여 가구의 전세금과
통계청의 도시근로자 가구(2인 이상 기준) 소득을 비교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나 최근 10년 사이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고 26일 밝혔다.
서울은 올해 9월말 평균 전세가가 3억13만원으로,
직전 1년간 소득(5,546만원)의 5.41배로 높아졌다.
소득에 대한 서울 시내 아파트의 전세가 배율은
글로벌 금융위기의 영향이 큰 2008년 말에는 4.12배였다.
그러다가 2011년 말 5.28배로 최고치를 기록한 뒤 작년 말 5.15배로 다소 완화됐으나
올해 다시 급등, 종전 최고치를 경신한 것이다.
서울 시내 주요 구별로는 서초 9.22배, 강남 8.56배, 송파 7.54배, 용산 7.35배 등 순으로 높았고
그나마 평균 전세가가 낮은 지역인 노원(3.30배), 도봉(3.32배) 등도 3배는 넘었다.
수요가 많은 공급 면적 99∼132㎡(30평형대) 크기 아파트는
서울이 5.60배, 수도권이 4.16배, 전국이 3.49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