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칩, 삼라만상(森羅萬象)이 겨울잠을 깨는 날!...꽃샘 추위는 왜?

입력 2014-03-06 14:59  



5일은 경칩(驚蟄)으로 이십사절기의 세 번째 절기(節氣)이다.

우수(雨水)와 춘분(春分) 사이에 들며, 양력 3월 5일경이며 이날은 개구리가 긴 겨울잠에서 깨어나는 날로 잘 알려져 있다.
`경칩이 되면 삼라만상(森羅萬象)이 겨울잠을 깬다`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유명하지만, 정작 정확한 경칩의 뜻을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봄이 온다는 경칩에도 불구하고 오늘 날씨는 꽃샘추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경칩은 24절기 중 입춘과 우수 다음으로 찾아오는 세 번째 절기로 겨울잠을 자던 동물들이 깨어나고 초목의 싹이 돋기 시작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3월은 겨울에서 봄으로 계절이 빠르게 바뀌는 달이다. 만물이 겨울잠에서 깨어나는 시기인 이즈음이 되면 겨울철의 대륙성 고기압이 약화되고 이동성 고기압과 기압골이 주기적으로 통과하게 되어 한난(寒暖)이 반복되어 기온은 날마다 상승하며 마침내 봄으로 향하게 된다.

경칩은 ‘우수와 경칩이 지나면 대동강물이 풀린다’고 하여 완연한 봄을 느끼게 된다는 말로도 쓰여 왔다.

이 절기는 태양의 황경(黃經)이 345도에 이르는 때로 동지 이후 74일째 되는 날이다.


국립민속박물관 세시풍속 사전에 따르면 경칩은 농경사회 시절 우수와 경칩은 새싹이 돋는 것을 기념하고 본격적인 농사를 준비하는 중요한 절기였다.

그렇기에 농촌에서는 산이나 논의 물이 괸 곳을 찾아 몸이 건강해지기를 염원하면서 개구리(또는 도롱뇽) 알을 건져다 먹곤 했다.

또한 조상들은 경칩에 흙일을 하면 탈이 없다고 하여 벽을 바르거나 담을 쌓기도 하며, 빈대가 없어진다고 하여 일부러 흙벽을 바르기도 한다.

위장병이나 속병에 효과가 있는 고로쇠 물을 채취해 마시는 풍습도 갖고 있던 절기다.


이처럼 경칩은 만물이 생동하는 시기로 움츠려 보냈던 겨울이 끝나고 새로운 생명력이 소생하는 절기이다.


이를 접한 네티즌들은 "경칩 개구리 깨는 날이구나~정말 겨울에서 봄 사이군!", "경칩을 62번째나 맞는구나..내 나이가 벌써 62~ 아! 무상한 세월이여~", "경칩 뜻이 뭔가 했다근데 왜 꽃샘추위?" 등의 반응을 보였다.

(사진=한국경제 통합DB)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