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중소기업들은 자사의 기술력수준을 동종업계 세계최고를 100으로 봤을 때, 평균 76.6점에 해당된다는 자체평가 조사결과가 나왔습니다.
전경련 중소기업협력센터가 매출액 10억원 이상 500억원 미만 국내 355개 중소제조업체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동종업계 세계최고(=100점) 대비 기술력 수준이 70~90점대에 속한다고 응답한 중소기업이 43.3%로 가장 많았고 90~100점 구간은 29.0%, 70점 이하는 27.7%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보유기술 특성과 관련해 응답 중소기업의 64.2%는 `중간기술 이하`로 자사 기술을 평가했습니다.
응답기업의 35.8%는 보유한 기술을 ‘일부 선진기업의 독과점 기술·제품과 경쟁하거나, 수입대체를 이루는 기술’(15.4%),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는 특허 또는 원천기술’(8.1%) 등 ‘고기술’이라고 답했습니다.
응답 중소기업들은 기술혁신이 필요한 목적으로 ‘신제품 개발과 신사업 진출’ (28.9%), ‘기존제품의 성능과 품질 개선’(18.3%), ‘공정개선, 효율화로 생산성 향상’ (16.5%), ‘제품의 고급화·다양화’(15.1%) 등의 순으로 꼽았습니다.
가장 기술혁신이 요구되는 분야로는 ‘기술개발’(33.5%)과 ‘제품개발’(28.4%)이 꼽혔으며, ‘국내외 판로개척’ (23.9%), ‘효율적인 생산을 위한 ‘공정개선’(10.7%), ‘기술 및 제품개발 아이디어’(3.2%) 순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응답 중소기업 10곳 중 8곳 이상은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촉진을 위해 기술개발자금과 우수인력 확보를 요구했습니다.
중소기업 기술혁신의 걸림돌로는 ‘기술개발과 사업화 자금부족’(51.7%), ‘기술개발 인력부족’(26.0%)을 꼽았으며,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촉진을 위한 제1 정책과제 또한 ‘기술개발자금과 세제지원 확대’(60.9%)가 가장 많았고, ‘기술인력 육성과 공급’(21.4%)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중소기업들은 정부의 기술개발 지원제도를 이용할 때, 가장 불편을 겪는 애로사항으로 ‘복잡한 심사절차’(39.8%)와 ‘과도한 서류요구’(31.6%), ‘지원제도 홍보 부족’(11.2%) 등을 지적했습니다.
양금승 중소기업협력센터 소장은 “국내 중소기업이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발돋움하고, 신성장동력 창출이 활성화되기 위해 세계최고 수준으로 기술력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이를 위해 정부는 유망 중소기업에 기술개발자금과 세제지원을 확대하고, 대기업은 휴면특허나 지식재산권 이전, R&D 시설 제공, 기술인력 파견 등으로 중소기업의 기술력 향상에 도움을 줘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전경련 중소기업협력센터가 매출액 10억원 이상 500억원 미만 국내 355개 중소제조업체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동종업계 세계최고(=100점) 대비 기술력 수준이 70~90점대에 속한다고 응답한 중소기업이 43.3%로 가장 많았고 90~100점 구간은 29.0%, 70점 이하는 27.7%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보유기술 특성과 관련해 응답 중소기업의 64.2%는 `중간기술 이하`로 자사 기술을 평가했습니다.
응답기업의 35.8%는 보유한 기술을 ‘일부 선진기업의 독과점 기술·제품과 경쟁하거나, 수입대체를 이루는 기술’(15.4%),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는 특허 또는 원천기술’(8.1%) 등 ‘고기술’이라고 답했습니다.
응답 중소기업들은 기술혁신이 필요한 목적으로 ‘신제품 개발과 신사업 진출’ (28.9%), ‘기존제품의 성능과 품질 개선’(18.3%), ‘공정개선, 효율화로 생산성 향상’ (16.5%), ‘제품의 고급화·다양화’(15.1%) 등의 순으로 꼽았습니다.
가장 기술혁신이 요구되는 분야로는 ‘기술개발’(33.5%)과 ‘제품개발’(28.4%)이 꼽혔으며, ‘국내외 판로개척’ (23.9%), ‘효율적인 생산을 위한 ‘공정개선’(10.7%), ‘기술 및 제품개발 아이디어’(3.2%) 순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응답 중소기업 10곳 중 8곳 이상은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촉진을 위해 기술개발자금과 우수인력 확보를 요구했습니다.
중소기업 기술혁신의 걸림돌로는 ‘기술개발과 사업화 자금부족’(51.7%), ‘기술개발 인력부족’(26.0%)을 꼽았으며,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촉진을 위한 제1 정책과제 또한 ‘기술개발자금과 세제지원 확대’(60.9%)가 가장 많았고, ‘기술인력 육성과 공급’(21.4%)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중소기업들은 정부의 기술개발 지원제도를 이용할 때, 가장 불편을 겪는 애로사항으로 ‘복잡한 심사절차’(39.8%)와 ‘과도한 서류요구’(31.6%), ‘지원제도 홍보 부족’(11.2%) 등을 지적했습니다.
양금승 중소기업협력센터 소장은 “국내 중소기업이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발돋움하고, 신성장동력 창출이 활성화되기 위해 세계최고 수준으로 기술력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이를 위해 정부는 유망 중소기업에 기술개발자금과 세제지원을 확대하고, 대기업은 휴면특허나 지식재산권 이전, R&D 시설 제공, 기술인력 파견 등으로 중소기업의 기술력 향상에 도움을 줘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