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짐 보디guide 인터뷰③]마케터 이우제, 짐 메이트를 꿈꾸다

입력 2014-11-19 08:51  

`휘트니스 센터`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미지가 뭔가요? 바늘로 찔러도 들어가지 않을 것 같은 단단한 근육으로 무장한 트레이너들? 아니면 여성인데도 식스팩이 선명한 초콜릿 복근을 가진 미녀들? 그 와중에 끼어서 온몸의 군살을 자랑(?)하며 낑낑대고 있을 자신을 생각하면 운동해볼 생각을 하다가도 처량해지기 일쑤입니다.

그러나 뭐든지 아는 만큼 보이는 법입니다. 휘트니스 센터란 결코 `몸 좋은` 사람들만 당당히 운동하는 이상한 장소가 아니며, 그곳에서 일하는 사람들 또한 두뇌까지 근육으로 돼 있을 것 같은 그런 사람들이 아니었습니다. 운동을 시켜 무조건 조각 같은 몸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자세 교정부터 올바른 식습관까지 휘트니스 센터가 챙겨야 할 사항들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두뇌까지 근육이어서는 결코 버틸 수 없는 직장이기도 한 곳이 휘트니스 센터입니다.

글로벌 휘트니스 브랜드 `월드짐`에서 일하고 있는 현직 직원들을 만나봄으로써 머릿속에 `몸 좋은 사람들` 이미지만 가득했던 기자 또한 이 사실을 알 수 있었습니다. 휘트니스에 직업적인 관심이 있거나 장기적으로 스포츠의학 또는 스포츠 영양학 등에 관심을 갖고 있다면 이번 `보디guide 인터뷰`가 주옥 같은 정보가 될 수도 있을 겁니다. `보디guide 인터뷰`가 이번에는 남부러울 것 없는 학벌과 대기업 재직 기회를 마다하고 휘트니스 센터 마케터로 일하고 있는 월드짐 이우제 사원을 만나봤습니다.

-마케팅 담당자이면서 `짐 메이트`이기도 하다는 설명을 들었습니다. 가능한 일인가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사실입니다. 원래 저는 마케팅 담당입니다만, 회사가 새로운 비전을 갖고 조직을 변화시키는 과정에서 짐 메이트 팀에도 속하게 됐습니다. 사실 제가 고집을 부려서 이렇게 된 거지요.

-짐 메이트는 회원 컨설팅과 운동, 영양 상담으로 구성된 통합 시스템인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마케팅 담당을 하면서 어떤 일을 함께 하고 계시나요?

현장에서 필요한 일은 다 합니다. 팀장님이 시키시는 거라면 뭐든지요.(웃음)

-진로 선택 과정도 남다르셨다고 들었어요.

서강대에서 신문방송학과와 스포츠경영학과를 복수전공했습니다. 그리고 취미로 주짓수를 해 왔는데, 큰 흥미를 가져서 운동과 좀 더 가까운 직장을 가지고 싶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래서 대학 졸업 뒤 모 제지회사 경영혁신팀에 입사했지만, 그만두고 재취업을 하게 됐지요.

-제지회사를 그만두고 휘트니스 센터에 입사한다고 하니까 주변의 걱정은 없었나요.

다들 미쳤다고 했습니다만...왜냐하면 주변에도 이런 직종에서 일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거든요. 하지만 입사해서 쇼크를 받았습니다. 제가 지금까지 접해 온 트레이너들은 일반적으로 매우 형편없었는데, 이렇게 지적이고 전문적인 트레이너 집단도 있구나 싶었거든요.


-주짓수에 그렇게 큰 관심을 갖게 된 연유가 궁금하네요.

어릴 때부터 몸이 약해서 맞고 다니는 아이였어요. 하지만 문제가 있으면 혼자 해결해 보려는 성격이어서 신체적인 열세를 운동으로 극복하고 싶어졌습니다. 주짓수는 2009년부터 시작했는데, 주짓수를 하면서 트레이닝에도 관심이 많아졌어요. 그래서 첫 직장을 그만뒀을 땐 사실 미국이나 브라질로 가서 주짓수에 관련된 일을 해 볼까 하는 생각까지 했었는데 그건 다소 비현실적이라는 생각이 들었고, 결국 작년 7월에 이곳으로 재취업했습니다. 제 이상에 잘 맞는 일인 것 같아요.

-마케팅 담당자로서는 어떤 업무를 소화하고 있나요.

글과 사진, 영상 등 콘텐츠를 통해 월드짐과 이곳의 시스템을 알리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일반인이 쉽게 알 수 있는 메시지를 통해 소통하려는 생각을 가지고 글을 쓰고 있고요. 블로그와 SNS 운영도 거의 다 맡고 있습니다. 월 2회 `건강뉴스`라는 콘텐츠를 시즌별 테마에 맞춰 만들어서 회원들에게 뉴스레터로 발송하기도 합니다.

-그 일만 해도 바쁠 것 같은데 짐 메이트 일원으로서 트레이너 소양까지 쌓고 있는 게 대단하네요.

직접 운동에 대해 배우면서, 마케팅 담당자로서도 보다 제가 하는 말에 대해 자신감을 가질 수 있게 됩니다. 똑같은 운동 얘기를 써도 제가 좀 더 잘 아니까 저 자신을 믿고 설명할 수가 있는 것이죠. 저처럼 운동하던 사람이 아닌 경우에 오히려 일반인들에게 더 설명을 잘 한다고도 하더라고요.

-그래도 어려움도 만만치 않을 것 같은데요.

아무래도 운동에 대한 전문성이 다소 떨어지니 콤플렉스가 있지요. 그리고 휘트니스 센터 분야 자체가 레드오션이라 짐메이트 시스템, 의학 체력생체나이 측정 등 다른 곳에서 하지 않는 것들을 마케팅 담당으로서 더 차별화시켜야 하는데 그것도 저의 과제이고요.

-마지막으로 트레이너와 일반인의 중간자적 입장으로서 앞으로 휘트니스 분야가 어떻게 발전했으면 하시는지 말씀 부탁드립니다.

이제 소비자들도 다이어트 일색의 정보보다는 좀 더 진정성 있는 건강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해요. 사람들은 영어를 잘 하고 싶으면 전문 영어 선생님한테 배우면서도, 평생 건강을 좌우하는 운동에 대해서는 굉장히 가볍고 단순하게 생각하거든요. 그냥 죽어라 운동하고 굶으면 원하는 건강과 몸매를 잡을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그렇지가 않아요. 그 사실부터 더 널리 알려졌으면 하는 바람이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이예은 기자
yeeuney@bluenews.co.kr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