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가 홍성담, '리퍼트 대사 피습' 그림 논란…어떤지 봤더니

입력 2015-09-08 11:38   수정 2015-09-08 15:32




서울시립미술관이 대안적 아트페어를 표방하며 올해 처음 시도한 `예술가 길드 아트페어`에 지난 3월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 피습 상황을 묘사한 그림이 출품돼 논란이 일고 있다.

8일 서울시립미술관에 따르면 지난 4일 서울시립 남서울생활미술관에서 시작한 이 아트페어 출품작 중 홍성담 작가의 `김기종의 칼질`이 포함됐다.

작품은 테이블을 가운데에 두고 황색 옷을 입은 남성이 양복을 입은 남성의 넥타이를 당기고 한쪽 손으로는 칼을 겨누는 모습을 묘사했다.

테이블 위에는 빽빽하게 적어 자세히 들여다봐야 읽을 수 있는 작가의 글이 길게 나열돼 있다.

자세히 보면 "김기종이는 2015년 3월 모월 모시에 민화협 주최 조찬강연회에서 주한미국대사 리퍼트에 칼질을 했다"는 말로 시작해 "얼굴과 팔에 칼질을 당한 리퍼트는 붉은 피를 질질 흘리며 병원으로 실려가고 김기종은 `한미연합 전쟁훈련을 중단하라` 고래고래 외치면서 경찰서로 끌려갔다"고 적혀있다.

이어 "독도문제든, 위안부문제든, 남북문제든 요것들의 문제를 한발 더 깊이 들어가보면 우리민족 스스로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절망적인 상황을 만나게 된다"며 "한국의 역사를 왜곡시키고 있는 친일파의 문제도 결국 미국의 이해관계에 따라 그 맥을 같이 한다고 봐야 할 것이다"라고 적었다.

홍성담 작가는 "나는 이러한 문제들에 대해서 이미 절망한지 오래됐었다"며 "그러나 이 절망감에 대해서 나는 입을 다물었고 김기종은 비록 과도이긴 하지만 칼로써 표현한 것이다"라고 이어갔다.

홍성담 작가는 "조선침략의 괴수인 이토 히로부미를 총으로 쏴죽인 안중근 의사도 역시 우리민족에 대한 절망감의 표현이었을 것이다"라며 "대부분 사람들은 조선에게 형님의 나라인 일본의 훌륭한 정치인을 죽인 깡패도적쯤으로 폄하했을 것이다"라고 적었다.

대사 피습 사건의 범인을 안중근 의사에 비유하고, 자신은 상황을 절망했지만 김기종은 칼로써 표현했다고 썼다는 점에서 리퍼트 대사에 대한 범죄 행위를 옹호하는 듯한 뉘앙스를 풍긴다.

친일파를 비판하던 홍성담 작가는 "이런저런 맥락을 살펴보면 당시 한민족 대부분은 일제식민지 36년 동안 자기네들 나라가 일본의 식민지였다는인식을 하지 못했던 것 같다"고 이어갔다.

홍성담 작가는 "미국에게 전시작전권을 바치고 서울 한복판에 외국군대의 병영이 존재하는 것을 보면 일제 강점기 때나 지금이나 별로 달라진 것이 없어 보인다"고 적었다.

홍성담 작가는 "일제 강점기 당시 한민족 대다수에겐 한반도가 일제의 식민지가 아니었듯이 지금 우리는 미국의 식민지가 결단코 아니다"라며 "암튼 김기종이가 간질을 앓았던, 수전증이 있던, 과대망상증이던…나이 56에 병없는 사람이 있을까만… 그는 칼질로써 자신의 절망감을 표현했다"고 썼다.

홍성담 작가는 "그러나 나는 그를 `극단적이고 폭력적인 민족주의자`라고 넌지시 욕을 했다"고 적었다.

홍성담 작가는 지난해 광주비엔날레에서도 대통령을 풍자한 그림으로 논란을 일으켰다.

홍성담 작가는 리퍼트 대사 피습 그림에 대해 "그 사건을 옹호한 게 아니라 그 사건 자체가 왜 일어나게 됐는지, 우리 삶과 어떤 연관관계가 있는지를 돌아보고 의논하고 토론하고 정리해야 한다는 생각에서 작품을 제작했다"고 밝혔다.



★ 무료 웹툰 보기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