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주택총조사 조사원 수난 들어보니 '충격'…사망한 사례도?

입력 2015-10-22 12:00   수정 2015-10-22 13:41




다음달 1일부터 5년 만에 인구주택총조사가 이뤄지는 가운데 가가호호 방문하는 통계청 조사원들의 수난이 눈길을 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김현미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이 통계청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현장 조사원들의 업무 환경은 매우 열악한 실정이다.

2010년 8월부터 올해 7월까지 4년간 현장조사원이 당한 안전사고(인구주택총조사 관련 제외)는 총 117건이다.

이중 교통사고가 93건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넘어짐 41건, 개에게 물림 24건, 벌에 쏘임 9건이었다.

야산에 설치된 덫에 걸려 다치거나 농기구를 잘못 취급해 당한 부상 사례도 있었다.

숫자로 집계되지 않은 우여곡절도 많다.

조사원 C씨는 한 섬에 어업 관련 조사 차 출장을 갔다가 으슥한 밤길에서 몰던 차가 도랑에 빠지는 아찔한 경험을 했다.

C씨는 사고 차량을 폐차하고 병원비를 개인보험으로 처리했다.

주점과 노래방 등 개인사업체를 방문 조사하던 D씨는 한 사업주가 부탁한 대로 오후 10시가 돼서 들렀다.

그런데 갑자기 온몸에 문신을 한 남자들이 들이닥쳐 "못 볼 꼴 보기 전에 나가라"고 윽박지르는 통에 혼비백산한 채로 황급히 빠져나왔다.

알코올 중독인 응답자 가구에 들렀다가 얼굴에 물 세례를 받은 경우도 있었다.

또 조사 대상인 청년실업자가 농약을 먹고 자살하는 바람에 조사원이 애꿎게 범인으로 몰린 사례가 있었다.

5년에 한 번 수만 명 규모의 조사인력이 한꺼번에 활동하는 인구주택 총조사(센서스) 때는 더 많은 일이 생기게 마련이다.

11만9천 명이 투입된 2010년 센서스 때는 총 437건의 사건·사고가 발생했다.

한 조사원은 교통사고로 숨졌다.

각종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등록센서스` 방식이 처음 도입돼 다음달 1일부터 15일간 진행되는 올해 인구주택 총조사에는 5년 전보다 절반 이상 줄어든 5만 명가량의 조사원이 투입된다.

통계청은 조사원들에게 안전수칙과 현장조사 요령을 철저히 숙지시키고 비상시에 사용할 수 있는 경보기와 손전등을 개인장구로 지급할 예정이다.

또 야간이나 취약·우범지역에는 2명 이상이 함께 다니도록 하는 한편 필요에 따라 경찰의 협조까지 받도록 할 방침이다.

하지만 전국적으로 진행되는 대규모 조사여서 사고 위험은 여전할 수밖에 없다.

김 의원은 "통계법에 따라 모든 국민이 통계조사에 성실히 응할 의무가 있고, 이번 조사에 많은 국민의 협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통계청과 각 지방자치단체는 조사원들이 현장에서 사고를 당하지 않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