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내년 구조개혁…한계기업 잇딴 부도·금융 불안 가능성

입력 2015-12-28 06:33   수정 2015-12-28 13:43




중국이 내년에 과잉생산 업종에 대한 구조조정 등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면 중국내 한계기업의 부도가 잇따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는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신흥국의 경기위축과 금융시장 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된다.

해외 투자은행(IB)들은 내년 중국 경제성장률이 올해(6.9%)보다 낮은 6.5%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중국 경제성장률이 1%포인트 하락하면 다른 아시아 신흥국 성장률은 1년후 0.9% 포인트 떨어질 것으로 추산했다.

◆ 中기업 부도 내년 본격화 우려

28일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비금융기업부채는 지난 2분기에 163%로 홍콩(226%)과 함께 18개 신흥국중 1위와 2위를 다툰다.

중국의 GDP대비 비금융기업 부채는 2010년 124%에서 2012년 136%, 2013년 147%, 2014년 157%로 급상승하고 있다.

올해 2분기 한국과 중국을 포함한 12개 신흥국의 비금융 기업부채 23조4,850억 달러 가운데 중국이 가장 많은 17조2,730억 달러를 차지했다

씨티그룹은 "내년에는 중국 기업들이 상환해야 할 이자부담이 크게 늘어나 부도발생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씨티그룹에 따르면 내년 3월로 예정된 중국 기업들의 이자상환 규모는 670억 달러로 올해 12월부터 내년 2월까지 월 평균의 2배로 늘어난다.

여기에 중국 상업은행의 부실채권(NPL) 비율 상승세가 내년에도 이어질 경우 중국 기업들이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아질 전망이다.

중국의 산업별 NPL 비율은 제조업이 2012년 말 1.6%에서 작년말 2.42%로 확대됐으며, 광업은 같은 기간에 0.22%에서 1.04%로, 건설업은 0.57%에서 0.72%로 각각 늘어났다.

이런 가운데 중국 정부는 기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구조개혁에 본격 착수할 전망이어서 올해에 이어 내년에 한계기업의 부도가 속출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중국 정부는 올해 5중 전회와 경제공작회의에서 앞으로 5년간 주요 정책과제로 기업경쟁력 제고를 제시하면서 국유기업을 중심으로 한 기업 합병과 부실기업에 대한 퇴출 등 구조개혁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중국 정부는 글로벌 경쟁력 확충을 목적으로 철강, 교통, 에너지, 통신 등 전 영역에 걸쳐 정부주도의 기업합병을 추진하는 한편, 3년 연속 적자기업의 시장 퇴출을 추진하고 철강, 구리, 시멘트 국유기업들의 감산과 감원을 진행하고 있다.

국제금융센터는 `내년 중국경제 전망` 보고서에서 "중국 정부가 과잉생산 업종의 구조조정을 강화해 한계기업의 부도가 늘어날 수 있다"며 "중국의 비금융기업부채가 큰 폭으로 증가한 만큼, 제조업내 한계기업 부도 증가로 부실채권 처리와 관련된 불확실성이 커질 가능성이있다"고 지적했다.

이렇게 중국 기업들의 신용위험이 급증하면, 이는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금융시장의 불안을 키워 금융시스템 위기로 확산되거나, 급격한 경기 위축을 가져올 수 있다.

노무라증권은 "중국은 금융권에 대한 정부의 영향력이 큰 점 등을 고려해 볼 때에 기업부도가 금융시스템위기로 확대될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지적했다.

◆ 내년 중국 경제 6.5% 성장…"금융시장 변동성 등 유의"

한국 국제금융센터와 해외 투자은행(IB)들은 내년 중국 경제의 리스크로 기업부도 속출 가능성 외에 부동산시장의 더블딥(경기 상승후 다시 하강), 미국 금리정상화에 따른 자본유출로 인한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등을 꼽았다.

중국 부동산시장은 현재 불안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주택거래량 증가율이 8월부터 크게 둔화한데다 부동산 경기지수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저점을 밑도는 수준이라고 센터는 지적했다.

중국 부동산시장이 더블딥에 직면할 경우 은행부실 등으로 파급되면서 전반적 경기위축을 불러올 가능성이 있다.

아울러 미국의 기준금리 추가 인상, 위안화 절하 압력 등에 따라 중국의 자본유출이 지속되면서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증폭시킬 수 있다고 센터는 설명했다.

여기에 3~6개월내 중국 선전(深<土+川>)과 홍콩증시의 교차거래를 허용하는 `선강퉁`(深港通)이 실시되고, 내년 6월초 MSCI신흥국지수 편입, 내년중 적격개인투자자제도(QDII2) 시행 등이 이뤄지면 증시 변동성이 확대될 전망이다.

해외 IB들은 내년 중국 경제성장률이 완만한 상고하저를 보이면서 연간성장률은 6.5%를 소폭 웃돌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올해 IB들의 연간성장률 전망치(6.9%)를 크게 밑돈다.

IB들의 내년 분기별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 전망치는 내년 1분기 6.7%, 2분기 6.6%, 3분기 6.4%, 4분기 6.5%다.

JP모건은 중국의 성장둔화가 중국과 교역·금융시장 연계성이 높은 아시아 국가들에 직접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내다봤다.

아시아 역내 교역 중 절반 정도가 중국과 연계돼 있기 때문에 중국의 성장률이 1%포인트 하락할 경우 다른 아시아 신흥국의 성장률은 4분기 후 0.9%포인트 낮아질 것으로 JP모건은 추산했다.

국제금융센터는 "내년에도 중국의 경기개선을 기대하기 어렵고 금융시장 불안 가능성도 상당히 있다"며 "중국발 위험 지속으로 전 세계적인 저성장-저물가 압력이 지속되는 가운데, 신흥국 위기 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국제금융센터는 이어 생산 가능 인구 감소와 소득불균형 확대 등으로 중국의 성장둔화가 장기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온라인뉴스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