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양어선 ‘선상 살인’...선상반란 일으킨 범죄자들 ‘충격과 공포’

입력 2016-06-21 00:00  




원양어선 선상반란 소식이 주변을 안타깝게 하고 있다.

원양어선 선상반란으로 인해 허술한 외국인 선원 채용 문제도 도마 위에 올랐다.

원양어선 선상반란은 일으킨 범죄자들은 말 그대로 ‘흉악범’들이었기 때문.

인도양에서 조업 중이던 우리나라 국적 원양어선에서 베트남 선원 2명이 한국인 선장과 기관장을 살해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1996년 페스카마호 사건 이후 20년 만에 원양어선 `선상살인` 사건이 발생한 것이다.

지난 20일 오전 1시 58분께 인도양 세이셸 군도 인근 해상에서 조업 중이던 부산 광동해운 소속 참치연승 원양어선 `광현 803호`(138t)에서 베트남 선원 B(32)씨와 C(32)씨가 선장 양모(43)씨와 기관장 강모(42)씨를 흉기로 찔러 살해했다.

양씨는 조타실에서, 강씨는 기관장방에서 각각 변을 당했다.

베트남 선원들은 다른 선원 10여 명과 양주 2병을 나눠 마신 뒤 만취 상태에서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네시아 선원이 가장 먼저 발견해 선실에서 휴식 중이던 항해사 이모(50)씨에게 알렸다.

항해사 이씨는 곧바로 선장 등이 숨진 것을 확인하고 배에 숨어 있는 가해 베트남 선원들을 찾아냈다.

그는 몸싸움 끝에 흉기를 빼앗고 다른 선원들을 시켜 가해자들을 감금함으로써 사건은 일단락됐다. 이 과정에 이씨는 가벼운 상처를 입었다.

이씨는 그러나 곧바로 선사에 연락했고, 선사는 다시 해경 당국에 신고했다.

광현 803호에는 숨진 선장과 기관장 등 한국인 선원 3명, 베트남 선원 7명, 인도네시아 선원 8명 등 총 18명이 탑승했다.

지난해 2월 10일 출항해 인도양 등지에서 참치를 잡아온 광현 803호는 두 달 뒤 한국으로 돌아갈 예정이었다.

이처럼 베트남 선원들이 인도양에서 조업 중 한국인 선장 등을 살해한 `선상반란 사건`을 계기로 외국인 선원 채용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2000년대 이후 원양어업이 쇠퇴하며 한국인 선원 비중은 급격히 줄고 대신 외국인 선원 비율이 크게 늘었지만, 이들을 채용하는 과정은 여전히 허술해 각종 선상 범죄가 일어난다고 업계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실제로 광현 803호(138t)처럼 원양어선들은 외국인 선원을 중심으로 선상폭력 같은 돌발상황이 발생했을 때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는 처지다.

선사 경영사정이 열악해 경비인력 승선은 상상도 못 하고, 이렇다 할 안전장치나 매뉴얼도 마련돼 있지 않은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이다.

원양업계에 따르면 선박 크기와는 상관없이 원양어선 대부분이 배 위 돌발상황에 대비한 안전장치나 매뉴얼이 없는 형편이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