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 '브렉시트'에서 '연준'으로… 재주목하는 '필립스 곡선' 논쟁

입력 2016-07-05 09:47  

    생방송 글로벌 증시 2부
    한상춘의 지금 세계는- `브렉시트`에서 `연준`으로… 재주목하는 `필립스 곡선` 논쟁


    Q > 브렉시트 이후, 美금리인상 신중론 급부상
    6월 회의 이전, 연준 이사 `매파적` 발언
    6월 회의, 만장일치로 현 금리수준 동결
    매파 대표 블라드 총재, 18년까지 1차례 인상
    美 학계와 월가, `인플레 논쟁` 재조명

    Q > 美 `인플레 논쟁` 재조명
    올해 3월 `NABE 연례회의`에서 제시
    스탠리 피셔, 고용개선으로 물가상승
    실업률과 물가 간 필립스 곡선 인정
    래리 서머스, 피셔 주장을 정면 반박
    경기부양을 위해 재정지출 등 추진

    Q > 스탠리 피셔 vs 래리 서머스
    스탠리 피셔, Fed 부의장으로 실무총괄
    Fed의 현 의장 재닛 옐런의 스승
    래리 서머스, 현재 美 하버드대 교수
    클린턴 정부 때 재무장관, 신경제 주역
    힐러리 클린턴 부상, 서머스 재주목
    Q > 1958년 영국 경제학자 필립스가 첫 주장
    임금상승률과 실업률간 `負(부)의 관계` 입증
    1960년대 사무엘슨과 솔로우 교수 재조명
    임금상승률을 인플레이션율로 대체, 무난
    금융위기 이후 약화, 옐런과 피셔 인정
    Q > 올해 들어 물가 고개, 필립스 관계 강화
    지난해 말까지 실업률 하락 불구 물가 정체
    또 하나의 `D` 공포인 디스인플레이션
    2월 근원 PCE 물가, 1.7% 목표 근접
    5월 실업률 4.7%, 근원 PCE 물가 하락

    Q > Fed 양대 책무, 고용창출과 물가안정

    필립스 관계, 물가 조만간 목표치 도달
    인플레 목표 2%, 통화정책 시차 9개월
    `preemptive` 중시, 금리 조기에 올려야
    조기 추가 금리인상, 美 경기 더 둔화

    Q > 베버리지 곡선
    58년 美 MIT 다이나마이트 교수 주장
    구인률과 실업률 간 `負(부)의 관계` 입증
    뒤늦게 인정받아 노벨경제학상 수상

    Q > 필립스 곡선 vs 베버리지 곡선
    필립스 곡선, 고용시장 질적 관계 미조명
    베버리지 곡선, 고용시장 질적 관계 조명

    Q > 5대 dashboard 지표 미개선, 옐런 당혹

    실업률 개선, 정책요인 만만치 않게 작용
    오바마 정부, 일자리 창출대책 우선순위
    자발적 실업, 실업률 하락 질은 더 악화
    경제고통지수, 필립스보다 베버리지 적합


    양경식
    ksyang@wowtv.co.kr


    [자세한 내용은 영상을 참조하세요]
    [한국경제TV 5시30분 생방송 글로벌증시]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