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평균소득이 가장 높은 집단은 연 13억5천만원이 넘는 금융소득자(주주)로 분석됐다.
한국노동연구원 홍민기 연구위원은 29일 사회경제평론 최신호에 실린 `최상위 소득 집단의 직업 구성과 직업별 소득 분배율` 보고서에서 국세청의 국세통계연보, 고용노동부의 임금구조기본통계조사 자료를 토대로 전체 직업을 16개로 세분화 해 평균소득을 분석한 결과 이렇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2011∼2014년 직업별 비중을 평균해 분석한 결과 최상위 소득 0.1% 집단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집단은 관리자(28.7%)였고, 의사(22.2%), 사업주(12.7%), 금융소득자(12.5%), 금융인(7.2%) 등의 순이었다.
전문경영인인 관리자와 (개인)사업주를 합할 경우 경영자(41.4%)가 10명 중 4명이 넘었다.
주주를 의미하는 금융소득자(12.5%)와 부동산을 임대해 소득을 얻는 부동산업자(4.3%) 등 이른바 `금수저`인 재산소득자의 비중은 16.8%였다.
의사(22.2%)와 금융전문가(7.2%), 과학·공학전문가(0.9%), 교수·학원강사(0.4%), 법률전문가(1.9%)를 합한 전문가 집단이 전체의 32.6%였다.
최상위 0.1% 소득계층에 공무원과 서비스종사자는 전무했고, 생산직 중에서는 일부 기능직 근로자(0.1%)가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상위 0.1%의 경계값은 2014년 기준 3억5천900만원이었다. 상위 0.1% 집단내의 직업별로는 금융소득자가 평균소득 13억5천200만원으로 유일하게 10억원대를 기록하면서 다른 직업군을 압도했다.
다음으로 금융전문가(9억4천200만원), 관리자(9억3천800만원), 교수·학원강사(8억2천100만원), 법률전문가(7억6천900만원) 등의 순이었다.
보고서는 "2000년대에 최상위 소득 0.1% 내에서도 금융소득자와 관리자, 사업주에게 소득 분배가 편중됐다"면서 "최상위계층으로의 소득집중을 주도한 집단은 주주와 경영자라고 할 수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이어 최상위 0.1% 소득집단의 구성을 미국과 비교한 결과 한국은 의사가 22.2%를 차지했지만 미국은 5.9%에 불과했다.
반면 금융 및 법률 전문가의 비중은 한국은 7.2%와 1.9%에 그쳤지만 미국은 18%와 7.3%였다.
보고서는 "전문가 가운데 한국에서는 의사가 최상위 0.1%에 많이 포함된 반면 미국에서는 금융 및 법률 전문가 비중이 높다"면서 "이는 각 나라에서 의료와 금융, 법률 부문의 시장 규모가 상대적으로 다른 것을 반영한다"고 설명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