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에는 중국 내에서 할 수 있는 경제적 보복 조치는 다하고 있다는 거군요. 결과적으로 통상에도 영향을 주겠다는 거구요.
<기자>
맞습니다. 사실 중국의 이런 조치들은 자세히 들여다보지 않으면 눈에 잘 띄지가 않습니다.
당사자들만 알고 있는 사실인데요.
사드 배치 이후 한중 지방자치단체간 교류와 협력도 크게 위축되고 있습니다. 지역경제가 더 어려워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화면으로 준비했습니다.
<기자>
지난주 인천공항, 중국 동북 3성 공무원 25명이 경기도 방문을 마치고 귀국길에 올랐습니다.
중국 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에서 온 이들은 경기도의 사막화 방지 사업·유기농산물 재배 현장 등을 시찰하고 도청과 협력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인터뷰> 리궈중 랴오닝성 임업청 외자사업판공실 부주임
"초청연수와 사막화조림사업 등을 통해서 양 기관의 교류 협력을 더 강화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더욱더 협력이 증진 될 수 있도록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번 행사는 올 여름 정부의 사드배치 발표 이후 난항을 겪다가 가까스로 성사됐습니다.
하지만 경기도와 동북 3성이 함께 추진해온 사업의 상당수는 동력을 잃고 중단된 상태입니다.
매년 12월 양 지자체의 기업인들이 모이는 한중경제인 포럼이 중국 측의 요구로 취소됐고, 도내 투자 유치 사업 등은 백지화됐습니다.
<인터뷰> 박재현 경기도청 아주협력팀장
"기존에 관계가 좋을 때 함께 공식, 비공식 채널을 통해서 준비하고 합의된 부분이 실제 시작하는 단계에서는 보류되거나 막히는 부분이 있다. 중국 공무원 시스템속에서 도움받고 진행되야 하는 부분이 많은데 그런 것들에 대해 신규적으로 하려면 난색을 표합니다."
다른 지자체들도 상황은 마찬가지입니다.
전라남도와 광주광역시 출연기관인 광주전남연구원은 올 9월 중국 베이징과 인근 지역 공무원들을 친환경농업단지에 초청하는 행사를 무기한 연기했고, 부천시는 중국 충칭시와 공동으로 주최해 온 만화콘텐츠 피칭쇼를 올해 열지 못했습니다.
행사규모가 축소되거나, 초청 인사의 직급이 한두단계 낮아지는 일도 이전보다 빈번합니다.
현재와 같은 교류 위축 분위기는 수출과 관광 등 지역 경제에 직접적인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게 실무자들의 전망.
최근 5년간 전국 광역지자체 수출 가운데 중국 비중이 평균 21.8%에 이를 만큼 의존도가 높기 때문입니다.
충청, 경기 등 네 곳은 30%를 넘습니다
<인터뷰>조창완 광주전남연구원 환황해연구센터장
"관광객 감소로 이어지면 지역에서는 상당한 문제가 될 것 같다. 농업이 주산업이어서 중국 쪽으로 수출 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인데 농업 수출쪽으로 문제가 발생한다."
한중 지자체간 교류와 협력이 장기간 위축될 경우, 지역 경제가 곧바로 직격탄을 맞을 거란 전망이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이지수 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