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출범 이후 집값 `훨훨`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이후 집값은 어떻게 됐을까. 한국감정원의 5월 전국주택가격은 지난달보다 0.14% 상승했다. 4월(0.10%)보다 상승폭이 커졌고, 지난해 같은 기간(0.03%)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다. 새 정부 출범에 따른 정치 불확실성 해소와 저금리 기조가 집값 상승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감정원은 "하반기 정부 규제책으로 관망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8월 대책 예고, 부동산시장 `벌벌`
문재인 대통령이 8월중 관계부처 합동으로 가계부채 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금융권에 따르면 LTV(주택담보인정비율)와 DTI(총부채상환비율) 강화, DSR(총부채권리금상환비율) 도입 등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LTV와 DTI는 박근혜 정부에서 완화해 가계부채가 늘어난 게 사실이다. 두 제도는 7월을 끝으로 효력이 사라지는데 이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손보겠다는 거다. DSR은 문 대통령이 가계부채 해결 방안으로 내세운 대표적 공약이다. 공약집에도 들어 있다. 쉽게 설명해 원금에다가 이자를 포함해 대출을 갚을 수 있는 능력을 보자는 것이다. 실제 이 제도가 시행될 경우 부동산시장은 적지 않은 충격이 불가피하다. 문재인 정부의 첫 부동산대책을 시장이 예의주시하는 이유다.
"참여정부 풍선효과 잊지 말아야"
故 노무현 전 대통령이 집권한 참여정부는 부동산 문제로 몸살을 앓았다. 10여차례 부동산 대책에도 불구하고 집값은 급등했기 때문이다. 참여정부 임기 5년 동안 전국 아파트값은 63.72% 뛰었다. 정부가 `누르면 누를수록` 시장은 `더 오른` 셈이다. 1분기 현재 1400조원에 달하는 가계부채의 몸통은 주택대출이다. 집값은 오르는데 소득은 제자리 걸음이다 보니 수요자들은 은행 빚을 지는 거다. 부동산 투기는 무조건 잡아야 한다. 하지만 서민들의 내집마련 기회마저 빼앗는 건 문제다. 때문에 8월 가계부채 대책은 무리한 대출 규제보다 서민 주거안정에 방점이 찍혀야 한다는 목소리가 많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이 강조한 `소득주도 성장` 원칙과 맞물려야 실효성을 낼 수 있다는 지적이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