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도시재생 사업 지역의 부동산 실거래가를 전수조사한 결과 도시재생사업지와 서울 전체의 매매가 증가율이 차이가 없었다고 22일 밝혔습니다.
서울시는 1단계 도시재생활성화사업으로 지정된 13개 지역 가운데 주택거래건수가 부족한 창동상계와 장안평, 세운상가 등을 제외한 9개 지역(서울역, 창신숭인, 가리봉, 상도, 성수, 신촌, 암사, 장위, 해방촌)을 분석한 결과 도시재생사업지역의 주택매매가 증가율은 3년간 평균 7~8%로, 서울 전체 주택 매매가 증가율인 8%와 거의 차이가 없었습니다.
도시재생활성화 사업구역의 주택가격 증가율과 해당 자치구의 전체 주택매매가 증가율을 분석한 결과 역시 비슷하거나 오히려 도시재생사업지의 증가율이 더 낮았습니다.
해방촌 지역의 경우 단독과 다가구의 매매가 증가율은 12.4%로 용산구 평균인 14%에 못미쳤고, 아파트의 매매가 증가율 역시 6.2%로 용산구 평균인 8.2%보다 낮았습니다.
창신숭인과 가리봉, 장위 지역은 일부주택 유형의 매매가 증가율이 해당 자치구보다 높았습니다. 이에 대해 서울시는 재생사업 시행에 따른 영향이라기보다 해당지역의 정비사업이 해제되면서 신축 수요가 집중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같은 기간 서울 강남4구의 재건축 아파트 주택매매가 증가율은 서울 전체지역의 증가율인 8%보다 높은 12.4%로 나타났습니다.
서울시는 시민들이 여전히 강남권 아파트를 선호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라며 도시재생활성화사업보다는 재건축과 같은 행위가 주택가격 상승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이번 도시재생활성화사업 지역 주택 매매가격 분석 결과를 보면 도시재생활성화사업 지정과 부동산 투기는 큰 연관성이 없고 오히려 현재까지도 강남 중심의 아파트 수요가 여전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아파트 가격을 안정화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저층주거지 환경개선을 통해 강남 중심의 아파트 수요를 분산해 나가야한다"며, "투기가 우려되는 지역은 모니터링 등을 통해 사전에 감지하고 투기를 예방하도록 정책역량을 집중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번 조사는 앞서 지난 8.2부동산 대책에서 내년도 정부의 도시재생 뉴딜 사업지 선정 시 투기과열지구인 서울시가 완전히 배제된 데 따른 것으로, 국토부가 이번 조사결과를 수용할 지 관심이 쏠립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