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고용노동부와 한국노동연구원의 주최하고 한국경제신문이 주관한 '산업과 지역 중심의 일자리정책 추진방향 토론회'가 개최됐습니다. 참석자들은 일자리 정책이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중앙정부 차원의 정책은 물론 기업단위 제대로 집행될 수 있도록 기업 스스로 일자리 창출하도록 만들어내는 것도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보도에 박준식 기자입니다.
<기자>일자리를 늘리기 위해서는 역시 기업의 역할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정부는 산업별로 보다 세분화되고 섬세한 핀셋 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14일 열린 '산업과 지역 중심의 일자리정책 추진방향 토론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종합선물세트 같은 일자리 정책은 더 이상 효과를 거두기 힘들며 산업계와 지역별 맞춤형 정책이 더욱 확대대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인터뷰)박철우 한국산업기술대 교수
"실제로 정책을 하다보면 여러 산업 것을 다 모아서 대책을 마련한다. 청년대책도 청년 유형이 굉장히 많음에도 불구하고 다 모아서 발표한다. 이러다보니 정책 종합화로 섬세함이 사라진다. 실행되는 단계에는 실행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정부도 이러한 현장의 요구를 반영해 올해부터는 산업과 지역별로 세분화한 고용영향 평가를 실시하는 등 일자리 정책에 변화를 꾀하고 있습니다.
(인터뷰)이성기 고용노동부 차관
"지역 산업별 필요성 특성도 다르고 시급성도 다르기 때문에 각각 산업별 지역별 특성이 반영돼 있는 이런 정책들이 만들어져서 펼쳐질 때만 고용정책 실효성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행사를 주관한 한국경제신문의 이봉구 상무는 인구 고령화 등 노동시장 문제의 해결에 노력하고 있다며 새정부의 달라지고 있는 일자리 정책이 효과를 거둘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인터뷰)이봉구 한국경제신문 상무
"중앙정부 주도로 진행돼온 그동안 일자리 대책과 달리 산업현장과 지역에서 효율적으로 가동될 수 있는 정책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으로 한걸음 더 나아갔다"
한국경제TV 박준식입니다.
한국경제TV 박준식 기자
parkjs@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