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원사업 풀리는데…금천구 집값은 '냉랭'

이근형 기자

입력 2018-07-24 18:06  

    <앵커> 올들어 서울 금천구에서는 주민들의 숙원 개발사업들이 하나둘씩 절차를 밟아가는 모습니다.

    하지만 각종 개발호재에도 이 지역의 집값 상승률은 서울에서 노원구 다음으로 낮았습니다. 이유가 무엇인지 이근형 기자가 정리해봤습니다.






    <기자>





    금천구의 대표 숙원사업들이 속속 풀려가고 있습니다.



    공터로 방치됐던 옛 대한전선 부지에는 이르면 올 연말 종합병원이 착공에 들어갑니다.



    12만 제곱미터 규모의 독산동 공군부대 부지 역시 지난 5월부터 이전 후 개발을 위한 용역에 착수했습니다.



    옛 도하부대 이전부지에 짓고 있는 롯데캐슬에는 대형 마트의 입점도 예고된 상태입니다.



    하지만 잇단 개발호재에도 금천구의 집값 상승률은 저조하기만 합니다.



    올들어 서울 집값이 지난해보다 크게 높아진 가운데서도 금천구의 매매가 상승률(1.51%)은 노원구 다음으로 낮습니다.



    자족기능을 갖지 못한 채 도심의 배후주거지 기능도 구로구 등에 내주고 있다는 점이 이유로 꼽힙니다.



    [인터뷰] 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연구실장

    “서울 외곽에 있으면서 실질적으로 도시가 주는 서비스가 크지 않고 그 지역이 갖고 있는 생산성 자체가 높지 않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주택가격에 대한 상승압력이 높지 않은 것 같습니다”




    낡은 부지의 정비를 넘어 교육과 교통, 복지와 여가시설 확대 등 주거지 기능 자체를 보완할 필요성이 제기됩니다.



    전문가들은 다만 금천구가 노후 지역 개발여력이 많다는 점은 장기적으로 기대할만한 요인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인터뷰]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 리드

    “아파트는 많지 않고 대신 빌라·다세대들이 많아서 향후 재개발과 관련된 정비사업이나 이런 부분의 여력들은 기대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고 생각되네요"




    유성훈 신임 금천구청장이 내걸고 있는 지역 내 IT·패션 산업 육성과 금천구청역 복합역사 개발, 어린이 돌봄시스템과 같은 공약의 이행속도도 주목해 봐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한국경제TV 이근형입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