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2월 5일) 개봉영화 <시인할매>, 순수함의 '치유계'

입력 2019-01-20 13:22   수정 2019-01-21 13:15


다음 달 설날(2월 5일) 개봉되는 영화 <시인할매>(프로듀서 배영호, 감독 이종은)는 한글을 늦게 배운 후 시(詩)를 쓰는 전남 곡성군 입면 서봉리 탑동마을 할머니들 이야기다. 헐리우드 스타일로 대단한 스토리나 영상 효과가 있는 영화는 아니지만 가공되지 않은 순수함이 빛나는 영화라 할 수 있다.

순수함의 치유효과에 오타쿠들이 주목한 대표적 콘텐츠로 `치유계`장르가 있다. 소위 모에요소(癒し系)라 불리는 것들이다. 보기만해도 마음이 위로받는 속성의 콘텐츠를 일컫는다. 일본에서는 동영상 뿐 아니라 뉴에이지 음악이나 명상 요법등 보다 폭넓게 사용된다. 치유계 캐릭터들의 특징으로 천연스런 순진함이 자주 거론된다. 치유계 캐릭터들을 보며 `정화`작용을 느낀다는 것이다. 바로 <시인할매>에 나오는 일곱분의 곡성 할머니 시인들과 일치하는 캐릭터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시학>에서 언급한 카타르시스 작용과 유사하다.

한국에서 `치유계`장르의 원조격으로 언급되는 콘텐츠는 애니메이션 아리아(ARIA)가 있다. 아리아의 콘텐츠적 속성으로 세가지가 언급된다. `일상의 새로운 발견`, `옛 것에 대한 그리움`, `깔끔한 화면과 배경 묘사`가 그것이다. 휴먼다큐 <시인할매>는 이 세가지 요소를 두루 갖춘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제작을 맡은 배영호 프로듀서는 "시(詩)는 학식이나 재능보다 세월에도 때 묻지 않은 동심(童心)같은 순수함이 쓰는 것이란 사실을 느끼게 될 것이다. 혼자 가서 함께 울기 좋은 영화"라고 작품소개를 대신했다.

이 영화가 담고 있는 `순수함`은 이런 이들을 위해서 좋은 치료제가 될 수 있을 듯하다.

울어도 울어도 가슴속에 모래바람만 푸석한 이, 스스로가 미워 보이는 이, 스스로가 바보 같아 보이는 이, `백성`이나 `민중`이란 단어에 점점 실망해 가는 이, 잊을만 하면 "순진해"나 "나이브해"라고 손가락질 받는 이, 혼밥이 점차 편안해지는 이(비록 그것이 최신 트렌드라 해도), 기도할 때 조차 직장 상사 목소리가 들리는 이, 나를 남들이 항상 욕하는 거 같은 이, 그래서 남들이 그냥 미워 보이는 이, 페이스북에 올릴 이야기나 사진이 별로 없는 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음 속 `동심(童心)`이 푼수처럼 날뛰는 이.

네이버TV에서 `시인할매`를 치면 동영상 예고편을 볼 수 있다.(사진=스톰픽처스코리아)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