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제안한 '동아시아 철도공동체' 실현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국제세미나를 국토교통부가 서울에서 처음 열었습니다.
한국을 비롯해 중국, 몽골, 러시아는 차관급이 정부 대표로 참석했지만, 일본, 미국, 북한은 정부 대표단을 보내지 않았습니다.
보도에 조현석 기자입니다.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제안한 동아시아 철도공동체.
남·북한과 일본, 중국, 러시아, 몽골 등 동북아 6개국과 미국이 참여하는 협의체로, 철도를 중심으로 인프라 투자와 경제협력 사업을 추진해 평화·번영을 이루자는 구상입니다.
1주년을 기념해 이 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국제세미나가 서울에서 처음으로 열렸습니다.
<인터뷰> 김상균 한국철도시설공단 이사장
"동아시아철도공동체 추진을 위한 첫 국제세미나로서 참여대상국의 각계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세미나에서는 동아시아철도공동체 실현 로드맵이 제시됐습니다.
내년까지 참여국 정부 차원의 양자·다자 협의체를 구성하고, 2022년 시범운송사업 등을 추진한 뒤 2023년 말까지 국제기구를 출범시키자는 겁니다.
또 이를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4개 철도노선도 제시됐습니다.
(서울∼평양∼선양∼울란바트로∼울란우데, 서울∼평양∼선양∼하얼빈∼치타, 서울∼원산∼나진∼하산∼하바롭스크, 부산∼강릉∼원산∼나진∼히바롭스크 노선)
하지만 앞날이 순탄치는 않아 보입니다.
구체적 실현 방안을 논의하는 첫 세미나부터 북한, 미국, 일본 등 핵심 당사국이 불참하면서 아쉬움을 남겼습니다.
일정 등을 불참 이유로 댔지만, 미중 무역전쟁, 한일 갈등, 남북, 북미관계 경색 등 악화일로인 한반도와 동아시아 정세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됩니다.
특히 철도공동체 사업의 핵심인 남북 철도연결과 북한의 철도시설 현대화 등은 북미 관계가 교착상태에 빠진 뒤 몇달째 진전이 없는 상황입니다.
<인터뷰> 김헌정 국토부 철도정책과장
"중국 러시아 몽골보다도 북한이 더 큰 관심을 갖고 있을 것으로 저희는 기대를 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말씀드리기는 힘들지만 그런(물밑협상) 노력들을 러시아 중국들과 함께 추진하고 있습니다. "
문재인 대통령이 제안한 동아시아 철도공동체 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첫 국제논의가 1년만에 서울에서 시작됐지만, 출발부터 삐걱거리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조현석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