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바이오 성장 흔드는 공매도...자사주 방어 '맹점' 파고들어

양재준 선임기자

입력 2019-10-28 14:46   수정 2019-10-28 15:12


최근 바이오기업의 주가가 급등하면서 공매도 물량 또한 기승을 부리고 있다.
하지만, 이들 기업들은 근거없는 소문과 함께 주가가 급등락하고, 공매도에 대처하기 위한 자사주 매입 등의 여력이 부족하다는 점에서 공매도 먹잇감으로 전락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지난 달 에이치엘비의 유럽종양학회(ESMO) 임상3상 발표후 이 달 들어 바이오기업들의 공매도 잔량은 주가가 반등하거나 급등하면서 다소 줄어들기는 했지만, 여전히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셀트리온의 공매도 잔량은 지난 달 30일 1,352만주에서 23일 1,275만주로 77여만주 감소했으며, 삼성바이오로직스의 경우 같은 기간 250만주에서 233만주로 17만여주 줄었다.
셀트리온헬스케어도 지난 달 30일 공매도 잔량이 609만주에서 이 달 23일 533만주로 감소했으며, 글로벌 임상3상 성공의 호재를 바탕으로 주가가 급등한 에이치엘비도 지난 달 30일 604만주에서 484만주로 줄었다.
반면 헬릭스미스의 경우 지난 달 30일 196만주에서 지난 23일 264만주로 68만여주 증가했다.
이 달 공매도 잔량이 줄어든 것은 에이치엘비 `리보세라닙`의 임상3상이 성공적이라는 평가가 쏟아지면서 주가가 급등하자 공매도 투자자들이 숏스퀴즈에 나섰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숏스퀴즈는 주가가 상승할 때 매도 포지션을 취했던 투자자들이 손실을 줄이기 위해 매도 포지션을 커버, 청산하는 행위이다.
바이오기업에 대해 공매도 포지션을 취했던 투자자들은 최근 예상외로 주가가 급등하면서 대규모 평가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지난 25일(미국 현지시간 24일) 에이치엘비 자회사인 엘리바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신약허가(NDA)를 위한 사전미팅(Pre NDA Meeting)을 마쳤다.
하지만, 주식시장에서는 특수관계인 등을 포함한 대주주 지분 매각설이 돌면서 에이치엘비의 주가가 급락했다.
지난 6월과 마찬가지로 25일 에이치엘비는 공매도가 대규모로 나오기 시작하면서 FDA 미팅 불발설, 대주주 지분매각설, 엘리바 신약개발연구원 도피설, 회사 홈페이지 운영자 도피설, 합병 불발설 등 허황된 루머들이 우후죽순 터져 나왔다.
이에 대해 에이치엘비 관계자는 "FDA는 미팅 후 한달 내 미팅의사록( Meeting Minute)을 보내준다"며 "미팅 의사록은 신약 허가시까지 FDA 규정상 외부로 공개할 수 없다는 점을 악용해 대주주 지분 매각설 등 근거없는 소문들이 돌았다"고 말했다.
바이오기업 대부분이 재료에 따라 주가가 출렁이거나 주가 하락 방어를 위한 자사주 매입 여력이 없는 점도 공매도 투자자들에게는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
올 들어 헬릭스미스를 비롯해 코오롱생명과학, 신라젠, 강스템바이오텍 등이 잇따라 임상3상에서 실패하거나 의약품 허가가 취소되면서 바이오기업 전반에 대한 악재가 표출됐다.

하지만, 이들 기업은 연구개발(R&D)비용을 지속적으로 투자해야 한다는 점에서 자사주 매입 등의 여력이 없는 것 또한 사실이다.
특히 바이오기업 오너이자 대주주들이 주식담보대출을 통해 지분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실제 김선영 헬릭스미스 대표는 글로벌 임상3상 결과 도출 실패를 발표한 직후 주식담보대출 연장이 어려워지면서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한 증권사 리서치센터 바이오섹터 담당자는 "신약 개발의 불확실성이 커지다 보니, 개발에 대해 낮은 확률에 베팅을 하는 (공매도) 투자자들이 많은 편"이라며 "하지만, 바이오텍 기업 입장에서는 대처하기가 사실상 불가능 할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K바이오의 경우 외국 바이오기업과 달리 임상 정보 비대칭성도 높은 편"이라며 "공매도 투자자들은 바이오텍 주가가 급등할 경우 높은 밸류에이션을 공격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이 점을 노려 헤지펀드를 운용하는 자산운용사들이 공매도 수익률 극대화를 위해 사실상 외국계 공매도 펀드와 연합해 국내 바이오 기업에 대해 공동으로 집중공격을 가하고 있는 행태도 나타나고 있다.

바이오업계는 지난 5월 22일 문재인 대통령이 바이오헬스 국가비젼을 선포식에서 바이오헬스를 차세대 선도산업으로 육성하겠다고 밝힌 만큼 중소 바이오텍이 연구개발에 매진할 수 있는 금융환경도 만들어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바이오업계 관계자는 "자산운용사나 헤지펀드 등이 무차입 공매도나 업틱룰(주식을 공매도 할 때에 매도호가를 직전 체결가 이상으로 제시하도록 제한한 규정)을 위반하더라도 금융감독기관의 제제 수위가 낮은 게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규정한 제도를 위반하더라도 공매도를 통해 얻는 수익이 과징금에 비해 높다라는 점에서 징벌적 과징금제 도입도 논의할 때가 됐다"고 덧붙였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