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신산업 성장세 빠르지만 美·日에 규모 크게 뒤쳐져…"규제가 관건"

김정필 부장

입력 2019-11-18 11:00  


-韓 상장기업 총자산증가율 1.7%…美 5.9%·日 10.8%
-韓·美·日 헬스케어·IT·CS 등 신성장산업 높은 성장세
-신산업 자산비중 증가속도 美 1위…변화에 `역동적`
-신산업 韓 1위·美·日 1위간 규모차 경제규모 보다 커
-규제개혁 통한 기업 신성장·신산업 모멘텀 확보 시급

최근 우리나라 기업 성장률이 미국과 일본보다 둔화되고 있고, 성장세를 보이는 헬스케어(HS)와 IT, CS 분야에서도 우리나라 기업과 미국, 일본 기업 간의 규모 차가 매우 큰 것으로 조사됐다.
규제개혁을 통한 기업성장의 모멘텀 확보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8일 한국경제연구원은 ‘한·미·일 최근 기업성장 분석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다.
* 韓 상장기업 총자산증가율 美·日보다 훨씬 낮아
한경연은 보고서를 통해 자산증가율로 대표되는 우리나라의 최근 기업 성장세가 경제규모가 더 큰 미국, 일본의 보다 낮고 이 추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한경연이 S&P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2018년 OECD 국가들의 금융부문을 제외한 상장기업의 총 자산증가율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는 1.72%로 OECD 중간 수준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제규모가 훨씬 더 큰 미국 5.92%, 일본 10.76% 보다 낮은 수준이다.
보고서는 기업성장률과 경제성장률 간에는 뚜렷한 관계가 있다고 분석하면서 지금까지의 경제성장률을 볼 때 올해 기업성장률은 더욱 둔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태규 한경연 연구위원은 “현대 자본주의 시장경제에서는 기업이 부가가치의 대부분을 창출하기 때문에 기업성장이 둔화된다는 것은 부가가치 증가의 둔화로 이어진다”고 지적했다.
* 신성장산업 비중, 美 가장 높고 증가 속도도 빨라
한국은 근래 신성장산업으로 일컬어지는 헬스케어와 (HS), IT, Communication Service(CS) 부문의 기업성장률이 전체 산업 평균보다 훨씬 더 높게 나타났다.
이 같은 현상은 미국에서도 동일하게 관찰됐다고 한경연은 설명했다.
일본의 경우는 헬스케어와, IT 부문보다는 CS 부문의 기업성장이 두드러진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또한 한·미·일 모두 전체 상장기업의 총 자산 중 헬스케어와, IT, CS 등 신성장산업 기업의 자산비중이 높아지는 산업구조 변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신성장산업의 비중은 미국이 가장 높고 변화속도도 미국이 가장 빠른 것으로 분석된 가운데 일본의 경우 헬스케어와, IT 부문의 비중은 오히려 감소했다.
이태규 연구위원은 “미국경제는 그 규모가 매우 큼에도 불구하고 혁신적 기업의 비중이 빠르게 증가하는 등 산업구조의 변화가 한·미·일 세 나라 중 가장 역동적인 경제”라고 평가했다.

[도표1] 기업자산증가율과 GDP성장률 변동성 비교
한편 보고서는 한국이 헬스케어와, IT, CS 부문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산업에서의 기업규모는 아직 미국, 일본에 크게 못 미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헬스케어 부문에서 한국은 일본보다 성장세가 빠르지만, 일본 1위 헬스케어 기업의 규모가 한국 1위 헬스케어 기업의 9.4배에 이르는 등 규모의 격차는 여전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美 S/W 1위 기업 규모, 韓 1위 기업 규모의 446배
미국과 비교했을 경우 전 부문에서 1위 기업 간 규모차이는 더욱 벌어지는데, 소프트웨어 분야의 경우 미국 1위 기업과 한국 기업의 규모차이는 445.5배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서는 분석했다.
이태규 한경연 연구위원은 “2018년 경상 GDP 기준으로 일본은 한국의 약 3.1배, 미국은 약 12.7배 경제규모인데 상당수 산업에서 한국과 미국·일본 간의 기업규모 격차는 전체 경제규모 격차를 훨씬 웃돌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빠르게 성장하는 헬스케어, IT, CS 산업에서 미국, 일본과의 기업규모 격차를 줄이기 위해 개인정보 관련 규제, 원격의료 규제 등 신성장 분야 기업의 성장을 가로막는 해묵은 규제의 개선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도표2] OECD국가중 금융부문 제외 상장기업자산증가율 상위 10개국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