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U+, 지난해 영업익 6,862억…'5G 출혈' 전년비 7%↓

신동호 기자

입력 2020-02-07 15:31  

LG유플러스는 지난해 5G 출혈로 영업이익 하락을 겪었지만, 4분기 영업입익은 이통 3사 중에서는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LG유플러스는 7일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이 12조3,820억원으로 전년 대비 5.6% 증가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6,862억원으로 7.4% 감소했다.
당기순이익은 4,388억원으로 8.9%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영업이익 감소 원인은 5G 주파수 비용을 포함한 5G 네트워크 투자, 마케팅 비용 증가로 인한 것이다.
지난해 4분기 연결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3조2,938억원과 1,851억원이다.
매출액은 전년동기대비 3.8%, 영업이익은 77.8% 증가했다.
특히 영업이익은 시장전망치(최대 1500억원)을 크게 상회함은 물론 이동통신 3사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는 영업수익 증가와 효율적 비용집행에 따른 것이라고 LG유플러스는 설명했다.
지난해 서비스수익 중 무선수익은 전년 대비 1.4% 성장한 5조5,168억원을 기록했다.
5G를 비롯한 가입자 순증이 지속되며 총 가입자는 전년 동기 대비 112만8천명(8%)가 증가해 1525만6천명을 넘어섰다. 특히 5G는 12월 말 기준 시장점유율 약 25%(116만4천명)를 차지하며 고착화된 5:3:2 구조에 변화를 이끌고 있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이는 혁신적인 서비스와 요금제로 고객가치를 확대한 데에 따른 것"이라며 "서비스는 VR·AR 기능 중심으로 고도화하고, 요금제는 업계 최초 청소년·시니어 대상 월 4만원대 상품을 선보였다"고 설명했다.
MVNO 가입자는 전년 대비 42.1% 증가해 109만1천명을 기록했다. 업계 최초로 무제한 데이터 및 기간형 포함 총 6종의 로밍요금제와 매달 150GB의 대용량 LTE 데이터를 제공했으며, KB국민은행과 손잡고 금융업계 최초의 알뜰폰을 선보이는 등 시장 활성화에 앞장선 결과다.
유선수익은 스마트홈 수익 증가 등으로 전년(3조8,551억원) 대비 4.5% 상승한 4조289억원을 달성했다. 스마트홈 수익은 전년 대비 10.9% 상승해 2조462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IPTV 수익은 처음으로 1조원을 넘어섰다. IPTV는 작년 대비 16.6% 증가한 1조323억원을, 초고속인터넷 수익은 9% 증가한 8,135억원을 달성했다.
IPTV 가입자는 전년 대비 11.4%가 증가하며 447만7천명을 기록했다.
기업 수익은 1조 9,827억원을 기록, 전년 대비 1.3% 감소했다.
국내 및 글로벌 대형 고객 수주가 이어진 IDC 사업의 성장으로, 전자결제 등 e-Biz, 전용회선, 전화 매출 하락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했다. 연간 마케팅비용은 5G 서비스 상용화에 따른 광고선전비, 공시지원금 총액 증가 등으로 전년 대비 8.7% 증가한 2조2,460억원을 기록했다.
4분기에는 인당 가입자 유치비용의 지속적인 절감으로 전 분기 대비 0.5% 감소했다.
CAPEX는 5G 기지국 구축 본격화에 따른 네트워크 투자 등으로 2조6,085억원을 집행, 전년 대비 86.7% 증가했다.
LG유플러스는 올해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DX)을 통해 모든 사업영역에서 고객경험 혁신을 추진할 방침이다.
5G는 B2C, B2B 사업에서 미래 성장동력을 발굴한다.
5G 3.0 서비스 출시 등을 통해 B2C 시장의 서비스경쟁을 선도하고 B2B 분야는 스마트팩토리, 원격제어, 커넥티드카, 스마트스쿨, 드론 등으로 사업기회를 확대해나갈 예정이다. 5G 네트워크는 본격적인 인빌딩 셀 구축을 통해 통화품질을 개선하고, SA기반 5G 상용화 준비에도 박차를 가한다.
아울러 IPTV, AIoT 등 스마트홈 사업의 지속적인 성장도 이어나갈 계획이다.
특히 지난해 인수한 LG헬로비전과 함께 다양한 융복합 서비스를 발굴하는 등 시너지 창출에 주력할 방침이다.
이혁주 LG유플러스 최고재무책임자(CFO·부사장)는 “생활영역으로 5G서비스의 고객가치를 확대하고 국내외 일등 사업자와 협력을 추진하며 서비스 개선에 역량을 집중해왔다”며 "올해는 소모적인 획득비 경쟁을 지양하고 전 사업에서 고객경험 혁신을 통한 서비스 차별화와 수익성 중심 경영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